• Title/Summary/Keyword: 주민유대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Effects of the Local Community Resident-Participation Factors an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지역사회 주민참여 결정요인과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마을만들기' 참여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 Lee, Ins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7 no.2
    • /
    • pp.237-25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ocal community resident-participation factor on the local community resident-participation determinant an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ccordingly,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for 389 residents in A-dong that have participated in community building projects in Busan region to analyze their demographical factor & residential area factor and local community resident-participation factors of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environment,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upport, local attachment and neighbor connectedness effec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satisfaction of outside support and neighbor connectedness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Second, the satisfaction of outside support, local attachment and neighbor connectedness showed meaningful effects in the state where these factors were controlled. Third, the effects of each social capital sub-element were verifi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rust and network had meaningful effects on satisfaction of outside support, local attachment and neighbor connectedness effects, norm of reciprocity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gender, house ownership status, local attachment and neighbor connectedness, thereby showing differences.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 PDF

Study of the Influence of a Park Project within Unpleasant Facilities on Residents'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 Targeting Maru Park (Tancheon Sewage Treatment Center) - (혐오시설 공원화에 따른 주민만족도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마루공원(탄천 물 재생센터)을 대상으로 -)

  • Choi, Bong-Soo;Cho, Yeong-Eun;Kang, Eun-Jee;Kim, Yo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6
    • /
    • pp.39-49
    • /
    • 2014
  • Unpleasant facilities have been unwelcomed by residents within the region since they are considered to negatively influenc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region. Yet recently, a park project within these unpleasant facility areas has begun to improve the negative impression of the region and th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has been shown to be very high. Also a park project within unpleasant facilities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munity, including resolving conflicts and building mutual friendships among residents by creating pleasant living condition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ark project within unpleasant facilities changes the satisfaction level of local residents and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In order to do so, surveys were given to visitors of Seoul Maru Park, which was turned into a park from a sewage treatment cent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fter the sewage treatment center was recreated as Maru Park, citizen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very high. The sense of community that the visitors feel was found to be high in general, but the 'sense of connection and neighbor bonds' turned out to be lower compared to the 'sense of settlement and belonging.'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visitor satisfac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s a result, in the division of 'sense of settlement and belonging,' the satisfaction with ecological health was affected the most,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scenic beauty, whereas satisfaction with cleanness had no influence. In the division of 'sense of connection and neighbor bond,' none of the satisfaction with cleanness, ecological health and scenic beauty showed any influence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a park project within unpleasant facilities bring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nse of settlement and belonging,' yet in order to improve the 'sense of connection and neighbor bond,' which is not influenced by the project, the adequate facilities and activity program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to change the residents' of sense of community.

The Typology of the Perception on Community Welfare using the Q Methodology (Q방법론을 활용한 지역사회복지 인식의 유형화)

  • Lee, Doh-Hee;Park, Hee-Jung;Kim, Won-S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3
    • /
    • pp.615-62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community welfare', a domain of social welfare. First of all, we used the Q methodology, a qualitative research, to typology the recognition of community welfare. For the analysis, we have obtained various terms (Q samples) that have been discussed and learned in the community welfare, and examined the types of recognition of these terms. For the analysis, 29 samples of 29 samples were obtained from 29 samples of P samples. As a result of analysis, three types were defined. In other words, emphasizes 'participation of residents', 'building ties', and 'improvement of life quality of residents' is named it "Quality of residents life-Relationship Type". emphasizes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 needs' and named it "Quality of residents life- Desire for community needs Type". emphasizes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nd named it "Participation of Residents-Quality of Life Type".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community welfar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 we hope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the hypothesis abductive approach and to extend the study to future quantitative research.

Japanese case of community partnership for Healthy City Projects (일본 건강증진사업의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대 구축 사례: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파트너 쉽 형성 사례)

  • Hoshi, Ta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197-230
    • /
    • 2005
  • 일본의 Soyo town에서 진행된 건강도시사업은 건강증진 프로그램 모형을 통하여 건강한 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슬로건을 가지고 주민들이 참여하여 자신의 건강관리능력을 함양하고 서로의 장점을 공유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 삶의 만족도 향상, 정서적 유대감 향상, 수입증가 그리고 조기사망의 감소를 구체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매우 실제적이며 수량화된 목표들이 설정되어 있다. 1992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1996년과 2002년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내용과 과정에는 보건의료전문가와 시설에 대한 정비, 평가에 대한 계획, 학교를 포함한 포괄적인 보건의료시스템이 포함된다. 모든 부문은 자신들이 설정한 보건정책 결과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적절한 정책을 다시 설정하고 수량화된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수행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사업의 기획, 수행, 평가 과정에 주민이 최우선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Soyo town은 사업을 위하여 학교 및 지역 내 사조직과 협력하고 모든 사업의 기획과정에 다양한 구성원들을 참여시켰는데 이는 건강자원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실천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특히 모든 Soyo town의 주민들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주민들은 건강관련 자원의 배치상태와 과학적 근거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사업을 선정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사업의 과정에 참여하였다. 바람직한 생활양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품회사, 자원단체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 그리고 지역의 단체급식시설, 식당 등이 파악되었으며, 요양원, 가사도우미, 공중보건간호사, 방문간호사, 사회사업가로 구성된 보건의료 시설과 인력들이 협력하였다. 사업이 주민의 건강을 향상시켰는가와 건강향상에 사업이 효과적이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평가가 진행되었는데, 서비스 제공자 뿐 아니라 소비자와 주민들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Soyo town의 건강도시사업의 평가 결과, 조기사망률이 1988년 22.1%이 1992년 18.2%로, 1998년 15.6%로 감소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1988년 48%에서 1992년 67.1%로, 1998년 71.5%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관계망,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증가하였으며, 조기사망, 의료비용은 감소하였다. 한편 보건의료부문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왔으며, Soyo town은 건강한 도시의 명성을 얻게 되었다. 사업의 효과성을 향상시킨 요인은 주민 개개인들에게 사업의 기획과정에 처음부터 참여할 기회가 주어졌다는 점과 자원개발에 있어 기존자원의 재개발에 우선순위를 두었다는 점이었다. 효과적인 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행정부, 주민, 건강관련 단체들은 수단과 방법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의 기획단계에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여 각자의 역할분담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며, 건강증진은 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의 개선과 자원의 개발을 통해서 달성되는 것이므로 주민들은 건강증진을 위한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 PD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Performance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순찰지구대 운영성과에 대한 지역경찰의 인식분석)

  • Son, Neung-Su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4
    • /
    • pp.285-309
    • /
    • 2007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n performance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and its performance. Secondly, the analytical framework is formulated based on three levels developed for performance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such as efficiency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partnership between police and citizen, and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the efficiency is below the average in all factors. Secondly, In relation to partnership between police and citizen is below the average in the level of the citizens' preference and partnership. Thirdly,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normal. Fourthly, compared in the level of the area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n four factors in efficiency and three factors in partnership. Finally,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is explored.

  • PDF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의 실적과 계획 - 지원금 대폭 증액, 다양한 사업 신설

  • 이인복
    • Nuclear industry
    • /
    • v.16 no.2 s.156
    • /
    • pp.22-28
    • /
    • 1996
  •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은 발전소주변지역의 개발을 지원하여 지역사회와의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지역이기주의의 심화 등으로 날로 어려워지고 있는 신규발전소 건설입지를 적기에 확보하고 원전 등 기존 발전소의 원활한 운영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전력공사에서 90년부터 시행하여 왔다. 특히 95년에는 지원법을 획기적으로 개정하여 지원금 규모를 전기판매 수입금의 0.5$\%$ 이내에서 0.8$\%$ 이내로 대폭 증액시켰다. 또 사업내용도 다양화하여 종전에 시행해 오던 소득증대사업$\cdot$공공시설사업 및 육성사업 외에 원자력발전소주변지역에 대한 전기요금 보조, 주민복지지원 융자, 기업유치 융자 및 발전소 건설지역에 대한 특별지원사업 등을 추가로 시행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90년부터 시행한 지원사업실적과 96년도 지원사업계획을 중심으로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의 내용을 살펴본다.

  • PDF

A Development of Retrieval Program for North Korea Dialect (북한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 두길수;황호천;김법균;안동언;정성종;이신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501-503
    • /
    • 2003
  • 이 연구는 남한의 방언과 북한의 방언 및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쓰이고 있는 한국어 방언을 컴퓨터로 검색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 우리 민족 구성원들이 상호 의사소통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통일 이후에는 남북한 주민들이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서 민족 구성원간의 유대를 다지고 나아가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민족문화의 창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방언 검색 프로그램 개발 과제의 일부로서 2001년에 남한 방언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고, 2002년에 북한 방언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방언 검색 시스템의 개발 개요와 방언 검색 방식에 대해서 다룬다.

  • PDF

The Effect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MTE) on Destin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기억할만한 관광경험(MTE) 측정척도 기반의 관광지만족도 및 충성도 연구)

  • Yoon, Yooshik;Yoo, Hana Hyunkyung;Kim, Miseong;Song, Raeheun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28
    • /
    • pp.175-184
    • /
    • 2017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component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MT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loyalty. Research method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Using the advance research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theory, the measurement scales were developed for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ajor cities in Dajeon, Korea between Jun. 1~Jul, 10, 2016. Of the 295 surveys collected, the researchers retained 274 usable responses. Data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characteristic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onent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comprise nine factors. Moreover, part of the factors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determining how tourism operators should prioritize their business resources in developing tourism programs.

The Effects of Memorable Travel Experiences, Tourism Brand Equity and Tourism Loyalty - Focus on Foreign Tourists in Seoul -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과 관광목적지 브랜드 자산 및 관광목적지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 서울지역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

  • Wang, Jia Ying;Yan, Wen Yan;Yoon, Yoo Shik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29
    • /
    • pp.189-20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s and to grasp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and the tourism destination brand equity and the loyalty of the tourism destination. The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are derived from the survey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foreign tourists who are visiting Korea,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feasibility analysis are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is analyz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ested exotic experiences, experience with local guides, and local residents' hospitality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m destination brand assets. Based on this, And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Development of GZF Assessment System on Rating Curve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GZF 평가 시스템 개발)

  • Lee, Yeon-Kil;Shim, Eun-Jeung;Kim, Hyoung-Seop;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54-1858
    • /
    • 2007
  • 수자원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과업 중의 하나는 고품질의 유량측정 자료를 확보하여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수공구조물 설계, 친수 하천공간 조성, 친환경적인 하천의 설계, 하천 관리수량 산정, 홍수 예 경보 운영 등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신뢰성 있는 곡선식은 계측장비의 개량과 유량관측 기준의 강화 등을 통하여 축적된 양질의 유량측정 자료로부터 개발될 수 있으며, 또한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도특성과 통제구조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는 것도 곡선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제단면의 가장 낮은 부분의 수위로 정의되는 흐름이 0인 수위인 GZF(Gauge Height of Zero Flow)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GZF의 변화에 따라 곡선식의 신뢰도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엑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GZF 평가 시스템은 입력자료 구축 모듈,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도 단면 입력 모듈, GZF 설정 모듈, GZF 평가 모듈의 4개 모듈로 구성되었다. 입력자료 구축 모듈은 기 개발된 곡선식의 GZF 적정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는 모듈이며, 하도 단면 입력 모듈은 수위관측소 지점의 하상의 변화 유무와 구간분리, 기간분리 등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GZF 설정 모듈은 GZF의 변화가 곡선식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GZF 평가 모듈은 기 개발된 곡선식의 GZF와 금회 개발될 곡선식의 GZF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할 때 GZF 산정의 오류를 감소시켜 앞으로 개발될 곡선식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일반 지방관아와 서민들의 일상용기 생산으로 전락하여 소규모화 되었을 것이라고 사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