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머니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8초

조직배양기술을 통한 털복주머니란과 복주머니란 기내증식 (Micropropagation of Cypripedium guttatum and Cypripedium macranthos)

  • 배기화;최용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3-13
    • /
    • 2010
  • 복주머니난(Cypripedium)속 식물은 우리나라에 광릉요강꽃을 비롯하여 털복주머니난, 흰털복주머니란, 복주머니란, 노랑복주머니란등 5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릉요강꽃과 털복주머니란 두 종은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식물 1급과 2급에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고 나머지 3종은 제도적으로도 보호를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분히 성숙한 털복주머니난과 복주머니난의 종자에 NaOCl처리를 하여 발아율을 향상시킬수 있었는데 이러한 전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원인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털복주머니란의 무균적인 종자발아는 1.0% NaOCl 처리구에서 70% 이상의 종자발아율을 보였으며, POM배지가 MS배지보다 신초분화가 양호했다. GA3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혼합첨가는 신초증식에 효과적이었다. 신초분화 후 저온처리는 신초의 증식 율을 증가시켰다. 한편 NaOCl 농도(0, 1, 3, 5, 10%)와 NaOCl 처리시간(0, 5, 15, 30, 45, 60분)에 따라서 복주머니란의 종자발아를 확인한 결과, NaOCl 1%를 30분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NaOCl을 처리하여 종자의 종피상태를 SEM과 TEM으로 관찰한 결과 NaOCl의 처리는 종피 세포벽의 부분적 해리 및 작은 구멍을 만들게 하였는데 이러한 종피의 물리화학적 변화가 물과 양분의 이동을 원활히 하여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복주머니난의 신초분화에 미치는 casein과 활성탄의 효과를 알아본 결과 casein 200 mg/L와 활성탄 200 mg/L를 혼합 첨가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신초분화율을 보였다. 토양순화 후 생존률은 극히 저조했으며 30 개체중에 5 개체만이 다음해 어린동아를 싹틔우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멸종위기식물, 특히 털복주머니란과 복주머니란의 조직배양을 통해서 서식지외 보존방안(기내증식)에 관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되어 진다.

  • PDF

한국미기록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나비목: 주머니나방과) 작은날개검정주머니나방 보고 (First Report of Genus Canephora (Lepidoptera: Psychidae) in Korea, with a Newly Recorded Species, C. pungelerii)

  • 노승진;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17-121
    • /
    • 2018
  • 금번 연구를 통해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한다.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 내 작은날개검정주머니나방에 대한 암컷 형태 특징, 채집지 정보 등을 포함한 이용가능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 바코드 정보를 작성하였다.

감나무에 발생하는 주머니깍지벌레(진딧물아목: 주머니깍지벌레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Eriococcidae (Sternorrhyncha) Occurring on the Persimmon Tree, Diospyros kakl Thunb.)

  • 권기면;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05-311
    • /
    • 2002
  • 감나무에서 문제해충으로 알려진 주머니깍지벌레(Eriococcus lagerstroemiae Kuwana)를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신칭: Asiacornococcus kaki (Kuwana))로 정정하고, 이들 2종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형태적 특징을 비교하고 도해하였으며, 기주식물들도 포함하였다. Asiacornococcus Tang & Hao, 1995는 한국 미기록 속으로 보고한다.

한국미기록종 잔디주머니나방(나비목: 주머니나방과) 보고 및 형태특징 재기재 (First Record of Nipponopsyche fuscescens Yazaki, 1926 (Lepidoptera, Psychidae) from Korea with a Redescription of External Morphology)

  • 노승진;김다솜;박보선;최수빈;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를 통해 잔디주머니나방속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한다. 잔디주머니나방속내 잔디주머니나방에 대한 성충, 유충, 번데기 등 형태학적 특징을 재기재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바코드 정보를 제공하였다.

차주머니나방 "해충안전지대" 침입 - 은행나무 해충 피해실태와 방제대책 - 천적밀도, 자연폐사율 낮아 피해 계속 늘어날듯 유충 대상으로 약제살포 필요

  • 이범영
    • 농약정보
    • /
    • 제15권6호통권123호
    • /
    • pp.70-73
    • /
    • 1994
  • 최근에 들어 서울, 인천등 도시지역에 ''차주머니나방''이 발생하면서 은행나무도 해충에 대하여 안전한 수종이 아니라는 감을 주고 있다. 은행나무의 해충으로 10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차주머니나방과 깍지벌레류 이외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

  • PDF

개맥문동의 새로운 해충 검정주머니나방 (나비목: 주머니나방과) 유충의 발견 및 형태특징 재기재 (First Report of Larval Damage to Liriope spicata by Mahasena aurea (Lepidoptera: Psychidae) in Korea with a Redescription of External Morphology of the Larva and Adult)

  • 노승진;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63-270
    • /
    • 2015
  • 개맥문동(Liriope spicata (Thunb.))이 검정주머니나방(Mahasena aurea (Butler))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처음으로 확인되었기에 보고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본 종의 유충과 암컷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들의 암컷과 수컷에 대한 외부형태적 특징을 재기재함과 동시에 수컷생식기, 성충, 애벌레, 번데기 등의 특징을 도해하여 제시하였다.

은행나무를 가해하는 검정주머니나방 (나비목: 주머니나방과)의 발생 및 생활사 (Occurrence of Mahasena aurea (Butler) (Lepidoptera: Psychidae) Attacking Ginkgo biloba L. and Its Life Cycle in Korea)

  • 이상길;권영대;김복균;변봉규;오용기;이범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3-248
    • /
    • 1997
  • 본 연구는 서울 및 인천 등지에서 도심지의 주요 가로수 중 하나인 은행나무의 잎을 식해하여 극심한 피해를 야기시켰던 검정주머니나방의 피해분포상황 및 생할경과습성을 조사키위해 지난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수행하였다. 검정주머니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3령유충태로 월동한 후 5월중순~6월초순, 8월중순~9월말에 걸쳐 은행나무를 주로 가해하였다. 기주범위는 은행나무외에 벚나무, 조팝나무, 느티나무로 조사되었다. 유충은 7령 경과 후, 6월중순~7월초순에 용화하였으며 7월 초순부터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 PDF

브라질산 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 망막 내에서의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AII 무축삭세포의 동정 (Identification of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 정세진;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1-277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질산 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 망막에서의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연구하는데에 있다. 칼슘결합단백질 calretinin은 칼슘매개-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 표준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결과: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 calretinin은 일부의 수평세포, AII 무축삭세포, 일부의 신경절세포에서 면역반응성을 보였다. 특히,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모든 AII 무축삭세포는 또 다른 칼슘결합단백질인 parvalbumin을 발현하였다. 결론: 다른 포유류 망막과 다를 바 없이,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도 AII 무축삭세포에서 calretinin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calretinin이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도 AII 무축삭세포의 marker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Cypripedium속 복주머니란의 육묘 방식에 따른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edling M ethod in Genus Cypripedium macranthos SW)

  • 최원일;권영희;김희규;김경옥;김주형;이정관;송용섭;손성원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21
  • 전 세계에 유통되고 있는 Cypripedium속 식물 56종 중 한반도에는 4종이 분포하고 있다. 국내의 Cypripedium속 식물 중 멸종위기 1급 식물은 광릉요강꽃과 털복주머니란이 있으며, 복주머니란은 멸종 위기 2급 식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복주머니란 식물의 육묘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처리는 원예용 상토, 마사토 100%, 질석 2 : 펄라이트 1의 비율로 혼합한 인공토양, 산야초 상토, 소립인 난석 등 5처리를 하여 복주머니를 스티로폼 박스(가로 40, 세로 50, 높이 15cm)에 식재하여 4개월 경과 후 조사한 결과 산야초 상토에서 출아율이 67.0%로 가장 많았으며, 질석 2 + 펄라이트 1의 처리구가 53.0%, 소립인 난석 처리구가 48.0%순으로 높았다. 출아율이 가장 좋았던 산야초 상토의 경우 초장은 3.0cm, 엽수는 주당 1.9개, 엽폭은 1.0cm로 다른 처리구보다 생육이 양호하였다. 또한 털복주머니란 실생묘를 노지에서 1년 동안 순화한 묘를 자생지 외 지역의 적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기도 양평에 위치한 국립수목원 내 Cypripedium 전문 전시원에 660주를 봄에 식재하였다. 그해 9월에 생존율 을 조사한 결과 52.5% 이었고, 초장이 5.8cm, 뿌리수는 주 당 3.6개, 뿌리길이는 6.4cm 등 생육도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멸종위기종인 복주머니란의 적정 환경 조성과 육묘기술 및 현지 적응성을 향상시킨다면 멀지 않은 시기에 복주머니란의 복원 사업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주머니나방과(나비목)의 1말기기종 보고 (A Psychid species, Acanthopsyche nigraplaga Wileman (Lepidoptera, Psychidae) New to Korea)

  • 변봉규;원갑재;이상길;이범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17
    • /
    • 1996
  • 우리나라산 주머니나방과의 1미기록종, 유리주머니나방(Acanthopsyche nigraplaga Wileman)을 보고하며 수컷 생식기 도해와 함께 외부형태를 간약하게 기술하였다. 도한 천일홍, 명석딸리 차조기, 새모래덩굴, 흰명아주 5종의 기주식물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