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관적 건강

검색결과 1,415건 처리시간 0.025초

#오운완, Z세대의 헬시플레저: 사회적 비교성향과 과시적 자기애, 자존감을 중심으로 (Healthy pleasure in Zs: focused on social comparison and narcissism, self-esteem)

  • 이은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11-16
    • /
    • 2024
  • 최근, 규칙적인 운동이나 식단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고 이를 SNS에 인증하는 헬시플레저(Healthy-pleasure) 트렌드가 MZ세대에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 특성이 건강관리 인증행위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먼저 1) SNS 인증 태도와 의도 모두에 유사비교 성향과 과시적 자기애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향비교 성향은 SNS 인증 변수 모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2) 주관적 웰빙 모두에 사용자의 자존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과시적 자기애는 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사비교 성향은 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유사한 사람들과의 비교는 대학생들의 건강관리 인증과 주관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반면, 자기 존중이 아닌 자기 과시나 타인의 인정을 위한 건강관리는 오히려 그들의 주관적 웰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2030세대를 겨냥한 마케팅 시장뿐만이 아닌 MZ세대가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는 미디어 및 문화 환경을 위해 적극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Mental Health Services for Mental Wellness)

  • 선혜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51-261
    • /
    • 2021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과 응답자의 특성 요인들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지식수준, 주관적 규범, 도움추구 태도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응답자의 도움 추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규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태도가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이 요인들의 도움 추구 의도에 대한 영향력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도움추구 태도, 주관적 규범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의도의 예측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정신건강 증진 및 인식 캠페인 실행시 메시지 개발에 도움이 되는 함의를 제공하였다.

장애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건강인식, 문화·여가활동참여의 이중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IADL to Life Satisfaction and the Double-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Leisure Activities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최장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582-592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인과적 경로를 확인함으로 일상생활 가운데 구체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응답한 만9세-만24세의 장애청소년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macro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생활만족도, 주관적 건강인식, 문화 여가활동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참여의 인과적인 경로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 가운데 주관적 건강인식과 문화 여가활동의 순차적인 경로의 확인을 통한 실천적인 개입을 초점을 확인 할 수 있다.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연구: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Mod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ath Anxiety)

  • 임승희;노승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1-14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경제수준, 우울감, 사회적지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죽음불안이 매개하는 효과에 관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는 2008년 8월 1일에서 9월 3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남양주시 및 동두천시의 17개 경로당의 노인 3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총 9개의 직접효과에 관한 가설 중 6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즉 죽음불안을 내생변수로 건강상태, 우울, 사회적지지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주관적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우울, 사회적 지지, 죽음불안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간접효과의 경우 총 4개의 간접효과가설 중 2개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죽음불안이 매개하는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우울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죽음불안이 매개하는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의 죽음불안 경감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위험지각과 예방적 건강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Risk Percepti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from Coronavirus disease-2019 in Nursing Students)

  • 김해진;천의영;유장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46-25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지식 및 위험지각과 예방적 건강행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A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2020년 8월 1일에서 8월 20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 나이, 주관적 성적수준에 따라 지식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위험지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예방적 건강행위 차이가 나타났다. 예방적 건강행위는 지식, 위험지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예방적 건강행위에 미치는 요인은 나이(β=.188, p<.01), 주관적 건강수준(β=-.245, p<.001), 지식(β=.254, p<.001), 위험지각(β=.191, p<.001), 총 설명력은 18.9%(F=17.904, p<.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나이, 주관적 건강수준, 지식, 위험지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고혈압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중심으로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Korea : Using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장동민;박일수;양종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509-519
    • /
    • 2013
  •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관리대책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07~2009)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고혈압 인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변수는 남녀 모두에서 연령, 직업, 주관적 건강상태, 체질량지수 및 건강검진 여부 변수였다. 둘째, 고혈압의 치료는 남녀 공히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체질량지수 및 건강검진 여부 변수가 유의했다. 셋째, 고혈압의 조절에는 남녀 모두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체질량지수 및 건강검진 여부 변수가 유의한 변수였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고혈압 관리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려면 선택과 집중의 원칙하에 취약 집단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에게 적합한 대책을 집중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이다.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Subjective Oral Health and Oral Dryness of the Elderly Effect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 엄숙;최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37-445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건조증이 우울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65세 이상의 노인 154명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 우울, 삶의 질은 상관성이 있었다.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삶의 질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은 삶의 질(β=.23, p<.01), 우울(β=-.24, p<.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우울이 통제될 때 주관적 구강건강의 영향력(β=.08, p>.05)은 유의하지 않아 완전 매개하였다. 구강건조증은 삶의 질(β=-.24, p<.01)과 우울(β=.37,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이 통제되었을 때의 구강건조증의 영향력(β=.00, p>.05)은 유의하지 않아 완전매개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강건강과 구강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포괄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추후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d Study about Influences of Job Stress, Job Security, Depression, Family Bond,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Married Middle-Aged Male)

  • 김향수;김송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01-11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D광역시, J시에 거주하는 40~59세 중년 남성 149명의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과 직업 스트레스(r=-.544, p<.001)과는 보통의 역 상관관계, 우울(r=-.748, p<.001)과는 높은 역 상관관계, 직업 안정성(r=.566, p<.001), 주관적 건강상태(r=.537, p<.001)과는 보통의 순 상관관계, 가족유대감(r=.712, p<.001), 사회적 지지(r=.739, p<.001)과는 높은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사회적 지지,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현 직종의 근무년수, 규칙적인 운동여부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75.1%로 나타났다. 따라서, 질적인 중년기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우울은 낮추고 사회적 지지 체계의 확충 및 가족유대감과 주관적 건강상태 증진, 현 직종에서의 근무년수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요실금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The Influence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Urinary Incontinent Elderly Women)

  • 이진숙;이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85-29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실금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자료를 이용하여 활동 제한, 우울 증상 경험, 주관적 건강 인식이 요실금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요실금 여성 노인은 요실금이 이환되지 않은 여성 노인에 비해 활동 제한, 우울 경험, 주관적 건강 인식,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소득이나 교육은 요실금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활동제한, 우울경험은 요실금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주관적 건강 인식만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노화의 한 과정으로 생각해 진료나 치료를 꺼려왔던 요실금 여성 노인 대상자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나 적극적인 치료 홍보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세월호 참사 전후 피해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victimized community residences before and after Sewol ferry disaster)

  • 이진숙;이은주;이수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895-90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 전후 피해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여 추후 대형 인적재난의 발생 시 피해지역의 지원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인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세월호 피해지역인 안산시와 진도군에 거주하는 주민 총 3,632명(2013년도 1,803명, 2014년도 1,829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수준, 적정수면 여부, 주관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상담여부와, 우울감 경험여부, 우울감 상담여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참사 전후로 비교하였다. 세월호 사건 후 피해지역 주민들은 주관적 건강수준과 적정수면여부,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부정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스트레스 상담 여부, 우울감 상담 여부는 참사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형 인적피해를 가져온 세월호 피해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세월호 사건 발생 전 후의 정신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여 추후 재난의 피해지원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나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피해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