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환경

검색결과 2,055건 처리시간 0.032초

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개선 기초조사 (Basic Investigation for Publicity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 장종식;김태환;김지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53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주거환경 인식도 및 중요도에 관하여 알아보고 주거환경개선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5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일반인 165명을 직접 만나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사후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주거환경개선의 인식도를 살펴보면 44.8%가 집안 구조변경, 26.7%가 치료방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건축사가 할 것 같다는 응답이 28.5%인 것에 반하여 작업치료사가 할 것 같다는 응답은 9.1%로 보여 졌다. 주거환경개선의 중요성에 관하여 대부분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성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p>.05). 주거환경개선이 삶의 질을 높여줄 것 같다는 응답은 45.9%인 것에 반해 독립성이 증가될 것 같다는 응답은 7.6%로 보여 졌고, 주거환경개선은 돈이 많이 들어가기(81.1%) 때문에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주거환경개선의 인식은 부족하였으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추후 주거환경개선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었다. 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개선에서 경제적 지원 및 작업치료사의 진출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모듈형 센서를 이용한 주거환경 개선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Using Module-Type Sensor)

  • 차진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51-853
    • /
    • 2014
  • 현대 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분야들의 기술들이 융합되는 사회이며, 이로 인해 각종 환경적 위험 요소 등이 존재한다. 그중 한가지는 유해 가스에 의한 피해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편의 시설등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시설들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함께 시설물들이 가지는 위험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센서를 이용한 위험요소 탐지와 환경측정 자료를 기반으로 일상 생활에 접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하였다. 진행은 유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자료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를 도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 PDF

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주거지역의 보행환경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alysis of the Residential Area in Residential Development)

  • 권용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6-23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edestrian environment of the residential area in residential development.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follows; first,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he apartment quarter is better than independent residential quarter. second, the pedestrian and the automobile use together the street, because the side walk ist not established from the road where the width is narrow. finally, the condition of side walk paving ist bad, so that the pedestrian environmental level decreased badly

  • PDF

장기공공임대주택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환경개선방향 설정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 Residents Survey in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 이지은;윤영호;김유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65-75
    • /
    • 2013
  • 노후 공공임대주택은 노후화 관리를 위해 주거환경개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최근 3년간 시설개선사업을 통해 기본적인 노후화 관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단지 노후화에 따른 주거환경요소의 개선 요구도 및 현 주거환경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 시행된 시설개선사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추후 시설개선사업의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장기공공임대주택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해 평균값 분석을 하고 항목간의 유형구분을 위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개선 항목으로 도출한 공용 공간 29개 항목을 6개의 요인으로 구분하고, 세대 내부 공간 28개 항목을 4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시설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타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한 추진방향을 제안하였다.

휴대용 센서를 이용한 주거환경 개선 연구 (A Stud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Using Sensor)

  • 차진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68-769
    • /
    • 2015
  • 센서를 이용한 산업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그 범위는 점점 넓어지고 있다. 각종 생산 장비에서부터 각종 소비 장치까지 다양한 환경에 여러 종류의 센서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중 헬스 케어 분야는 응용분야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헬스케어의 목적은 이용자가 가질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미리 측정 제거하여 건강한 삶을 살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따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의 여러 분야 중 사용자 관리 측면에서 센서를 이용한 주거 환경 개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물품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입수한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의 환경정보를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후 센서가 감지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근거로 미리 설정한 환경에 맞게 주변 환경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연구한다.

  • PDF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소음 예측기법과 노면 개량화 방안

  • 허광;권혁
    • 소음진동
    • /
    • 제5권2호
    • /
    • pp.153-157
    • /
    • 1995
  • 1968년 경인고속도로를 시작으로 국내 도로환경이 변화하면서 교통소음이 주거환경에 문제로 제기되었으며, 80년대부터 시작된 포장재질의 콘크리트화 추세는 교통소음의 증가요인이 되었고, 신도시 고속도로 및 도시외곽 순환도로 등의 확충 사업은 주거환경 내에서도 교통소음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도로교통소음은 주거환경의 쾌적성을 침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1993년 국내 환경오염 피해진정 건수중 소음.진동의 민원이 약 44%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며. 문제가 교통소음의 발생원은 자동차 발생소음(power level)은 각 음원별 소음특성을 검토 하는 것이 중요하나 소음의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각 음원별 특성을 포함한 연구로 1970년대 이후 급속히 전개되어 왔으나, 최근 도로변 건물의 고층화 현상은 방음(전파경로)대책 수립에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노면(포장)형태에 따른 자동차 주행소음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 PDF

공공임대주택의 관리 및 주거환경 품질 요인이 주거만족도, 브랜드 충성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anagement and Living Environment Quality Factors of Public Rental Housing on the Satisfaction with Living, Brand Loyalty, and Intent of Recommendation)

  • 노기남;윤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7-202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공동주택의 관리 및 주거환경 품질 요인이 주거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의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3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임대주택의 관리 및 주거환경 품질 요인은 주거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 추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의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공동주택 관리 및 주거환경 품질의 하위요인은 상이하였다. 다음으로,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임대주택의 관리 및 주거환경 품질 요인과 추천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이 확대되는 현 시점에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들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향후 공공주택 정책의 발전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파트 주민의 건강상태에 거주 환경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Health Status in Apartment Inhabitants)

  • 강기원;김화준;권근용;정민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279-290
    • /
    • 200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주거형태인 아파트 입주민들을 대상으로 입주자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관련이 높은 건강상태 변수가 무엇인지 밝히고 어떠한 주거환경이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거환경에 대한 설문조사는 사회자본에 대한 국제적인 조사도구인 SC-IQ를 바탕으로 하되 Chun[2]의 아파트 주거환경 조사척도를 첨가하였다. 설문조사는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7주간 이루어졌으며, 조사방법은 사전조사 차원을 통해 반응도 및 수거율 등을 고려하여 2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276부로서 수거율은 28%였으며 이 중 6부는 변수의 결측값이 많아 제거하여 총 270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주거환경과 관련된 건강관련 변수들 중에 1년 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 변수가 가장 관련도가 높음을 파악했고, 요인 회전 및 요인 추출을 통해 27가지 주거환경 만족도에 대한 문항을 5가지 요인들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여기서 요인 1은 아파트 관리와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2는 아파트 개별 가구 환경과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3은 아파트 단지 환경(근린)과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4는 이웃관계와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5는 아파트 단지 시설환경과 관련된 요인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 요인 중 이웃관계 관련 요인 및 아파트단지 시설환경 요인의 경우 만족도가 높을수록 1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 하지만, 아파트단지 환경(근린) 관련 요인은 만족도가 낮은 경우가 1년 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근린공간 및 이와 결합되어 있는 사회적 지지 변수가 건강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완충효과' 이론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결국 이 연구는 주거환경이 건강의 악화방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일 수 있음을 밝히고 기존에는 고려되지 못한 물리적이고 정서적인 주거환경과 건강과의 관련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Lighting Environments in Residential Area and Task Area)

  • 이선영;김상진;고한우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0-313
    • /
    • 2002
  • 본 연구는 공간특성이 서로 다른 두 공간, 주거/사무공간의 조명환경에 대한 평가구조를 비교 검토하고 각 공간의 행위에 적합한 조명환경을 제시하고자 슬라이드 사진을 이용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대상 슬라이드수는 주거공간이 28장, 사무공간이 26장이다 실험은 각 공간별로 분위기항목과 행위항목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분위기항목이 21가지, 행위항목이 14가지이다. 각 공간의 평정치를 이용하여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거공간과 사무공간 모두 <활동성>,<안정감),<고급감)의 3인자축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주거공간의 경우는 <활동성>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으며, 사무공간의 경우는 <고급감>인자축이 평가축을 이루었다. 행위항목의 인자분석 결과는 주거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단란행위>의 3인자축이, 사무공간의 경우 <작업행위),<휴식행위>의 2인자축이 추출되어 주거공간의 경우, 활동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은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반대로 활동성평가가 낮은 조명환경일수록 휴식행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공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 인자는 활동성으로 나타나 활동성평가 높을수록 작업행위에 적합하며, 후식행위는 평가성 평가가 높은 조명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지역 자력형 대학생의 주거·경제생활 실태 및 주거환경 만족도 - 임대료 마련 스트레스 수준과 주택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Housing, Economic Condition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Working College Students in Seoul - Focus on comparison according to the financial stress level and types of housing -)

  • 이연숙;고지영;오찬옥;이으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29-5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자력형 대학생의 주거·경제생활 실태 및 주거환경 만족도를 경제적 부담 스트레스 수준과 거주주택 유형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을 이용한 일대일 면접조사로 진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지역과 지역 내 장소를 선정하는 2단계의 군집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한 만18세에서 34세 미만의 자력형 대학생 199명이었다. 조사 내용은 자력형 대학생의 주거환경 특성, 경제생활 특성, 주거환경 만족도, 현 거주주택 불편사항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임대료 마련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경우 주거·경제 생활 실태가 전반적으로 취약하였고 주거환경 만족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그 차이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거주주택 유형별 주거·경제생활 실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거환경 만족도는 차이를 보였으며 그 차이는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대개 고시원에 거주하는 대학생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오피스텔 거주 대학생이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자력형 대학생을 위한 주거복지 대책에 함축적인 의미를 던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