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질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2초

도시 저소득층 주거와 삶의 질 (Housing Poverty and Quality of Life in Urban Korea)

  • 하성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5-306
    • /
    • 2000
  • 본 연구는 삶의 질에 관한 관점을 우리 나라 도시저소득층의 주거실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주거빈곤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발전대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국내외 거의 모든 ‘삶의 질’선행연구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서‘주택’,‘주거환경’,‘주거장소’등 주거에 관한 상이 포함되어 있다. 즉 삶의 질 연구에 있어 주택 및 주거환경은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주거빈곤을 기능적 측면, 경제적 측면, 최저주거기준 측면, 그리고 주거권 측면에서 분석하고, 한국의 주거빈곤실태를 파악하였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주거빈곤층은 달동네.산동네라 불리는 불량주거지, 비닐하우스, 쪽방 등에 거주하며, 이들은 주로 주택점유 형태상 전세, 보증부월세, 월세 등의 임차가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삶의 질과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발전대안 모색을 위해 주거분야 ‘삶의 질 지표’를 제안하였다. 지표의 내용으로 주택 그 자체뿐 아니라 주거기능이 원활하도록 하는 공공서비스, 안전 등의 광의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삶의 질에 관련된 정책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네 가지 부문(정부, 민간부문, NGO/CBO, 주민)별 각자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 PDF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과 주거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on Quality of Life)

  • 이은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97-20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 마을주민 480명을 대상으로 대면을 통한 1:1 설문 조사한 결과,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총 46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5.0으로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활용해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체 의식은 삶의 질과 주거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만족도는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만족도는 공동체 의식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주거만족도가 미치는 효과의 중요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립주거 거주 중증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Living in Supported Housing)

  • 이성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281-299
    • /
    • 2008
  • 지역사회 정신건강 서비스 지원을 수반하는 독립주거 (Supported Housing)는 정신장애인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 독립성, 지역사회 통합의 기회를 제공하는 이상적이고도 실현 가능한 주거모델로 간주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독립주거의 긍정적 결과물 가운데 하나인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들과 독립주거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과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시의 독립주거 프로그램인 SIL(Supported Independent Living)에 거주하는 237명의 중증 정신장애인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인터뷰, 정신건강 서비스 행정데이터 및 2000년도 미국 센서스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적자원, 주거환경, 지원 프로그램, 서비스 요인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신건강 진단, 정신질환 수준, 신체 및 정신건강 상태, 그리고 프로그램 관리자와의 우호적 관계가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은 중증 정신장애인들의 더 나은 삶의 질을 통한 안정된 독립생활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지역사회 서비스 계획 및 정책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질 지표에 의한 국내 공동주택 주거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외부주거환경의 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the Physical Quality Indicators in Apartment Housing -Focused on the Quality of Outdoor Spaces-)

  • 김기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27-3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the physical quality indicators in apartment hous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36 housing estate samples which were built in 1994-1998.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is to select the quality indicators based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dwellers. The second part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the selected quality indicators in apartment housing.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ite planning methods which increase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apartment housing.

IoT 환경 기반 취약계층 주거 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Support System for the Vulnerable Class based on IoT Environment)

  • 심성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22
    • /
    • 2022
  • 현재 주택보급률은 100%를 넘기고 지속적으로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주택보급률은 주거 서비스 정책에 있어 양적 공급 중심에서 주거 환경의 질 향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주택보급률 증가에도 여전히 주거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실질적 접근이 어렵고 필요한 시기에 주거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많이 있다. 또한, 주거취약계층의 범위 확대로 주거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정책 및 지원 사업 확대를 통해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물량 확보 및 공급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독립적인 생활을 보장 할 수 없는 시설 및 공동입주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계층 주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IoT 환경 기반 취약계층 주거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주거 환경의 질을 향상하고 서비스 중심의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시스템을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자립 생활이 가능한 주거 환경을 지원하여 적절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향후 연구로는 다양한 취약계층을 고려한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사회적 약자 증가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한다.

서울시 1인 가구의 코로나 19 전후 주거의 질 변화 연구: 인공신 경망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한 변수 중요도 및 인과관계 분석 (A Study on the Change of Quality in a Residential Sector of Single Person Households in Seoul during the COVID-19: Analyze Variable Importance and Causality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임재빈;정기성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67-8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1인 가구들의 코로나19 발생 전과 비교한 주거의 질 변화를 진단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설문조사 응답자 가운데 서울시에 거주하는 1인 가구이며 인공신경망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주거정책지원, 고용개선여부, 고용정책지원 요인 등이 1인 가구 주거의 질 변화에 중요 요인들로 나타났다. 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여건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 강화와 노력이 필요하며,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통한 고용난 해소는 주거 부문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인공신경망이 가지는 블랙박스 특성과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개선된 방법론으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거주자가 지각한 정신건강 관련 주거의 질 분석에 기초한 주거 개선요소 (Housing Improvement Elements Depended on the Analysis of Urban Residents' Perceived Korean Housing Quality Related to Mental Health)

  • 최병숙;박정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89-197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mprovement elements depended on housing quality measurement tool related to mental health.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rom November 1, 2012 to January 17, 2013, and the sample consisted of 720 respondents living in single detached houses, multi-families detached houses, apartments, and town houses in 4 cities, Seoul, Busan, Daejeon, and Kwangju.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of improvement elements are as follows: 1) Pedestrian-threaten street from cars in physical safety 2) A secluded or dark spot and fear of walking at night in social security, 3) Indoor noise, outdoor noise, and evidence of abandoned trash heap/bottle in neighborhood in health & sanitation, 4) Illegal park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in facility convenience, 5) Extra kitchen, number of bathrooms, and community spaces in space convenience, 6) Openness and spaciousness of indoor room, and satisfaction of house and neighborhood in comfort, 7) Management common/sharing space in maintenance, 8) Energy saving facility and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use in sustainability, 9) Burden on housing cost, asset value on house, and school district in economic value, 10) Reflection of residents style, surrounding building's number of layers, and neighborhood appearance of preference in housing environment image.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Older People's Satisfaction Factors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남기민;남현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395-420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들의 주거환경만족요인들(안전성과 편리성)이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노인복지관 및 시니어클럽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1일부터 10월31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8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주거환경의 만족요인 중 안전성은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편리성은 노인의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안전성은 노인들의 자존감 및 우울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나 편리성은 노인들의 자존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우울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들의 자존감은 그들의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노인들의 우울은 그들의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안전성과 노인들의 삶의 질 간에 매개변수로 설정한 자존감과 우울은 어떤 간접효과도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편리성과 노인들의 삶의 질 간에는 매개변수로 설정한 자존감과 우울의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들의 주거환경의 편리성은 노인들의 삶의 질에 직접, 또는 자존감과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노인주거환경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노인이 지각하는 개인-환경 적합성, 주거만족도,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ndividual-environmental Suitability Perceived by the Elderly, Residential Satisfaction,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ive Euphori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 최병소;이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20-536
    • /
    • 2021
  • 선진국들은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하여 정책판단의 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민의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하여 운용 중에 있다. 생활밀착형 SOC가 그 중 하나로 생활 인프라를 개선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의 삶의 질 중 주관적 행복감을 중점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노인은 국가정책의 상대적 소외계층으로 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질과 주거만족도, 행복감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노인들이 지각하는 개인-환경 적합성이 주거만족도,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이 있는지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주거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도시계획 수립 및 관련 정책 입안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개인-환경 적합성의 편의성, 쾌적성, 공공복지는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주관적 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치며, 주거만족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쾌적성, 공공복지와 주관적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주거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국외 문헌고찰을 기초로 정신건강의 측면에서 본 한국주거의 질 측정요소에 관한 연구 (Measuring Inventory of Korean Housing Quality Related to Mental Health through Foreign Literature Reviews)

  • 박정아;최병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9
    • /
    • 2012
  •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frame of measuring inventory for housing quality related to mental health in foreign literature reviews. In the first step, many housing quality contents or items are extracted from empirical studies, including housing environment quality and mental health. In the next step, extracted contents and items are classified by space scope (house and neighborhood unit) and WHO housing properties (safety & security, health & sanitation, efficiency/convenience, comfort/amenity). Almost all housing properties follow the WHO standard, but some properties, sustainability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do not follow the standard. These reflect on current Korean housing environment. They are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 friendly effort, property value and economic burden, identity expression, and school district. So they need to be added to the Korean housing quality measurement related to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