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분포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31초

충남 천안 백석동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 환경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of High-density Residential Zone in Baekseokdong, Cheonan, Chungnam in the Bronze Age)

  • 박종철;박지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7-312
    • /
    • 2011
  • 현재까지 발굴된 고고 유적을 대상으로 고대 취락의 분포 및 입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고대 취락의 형성과 소멸과정을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은 개별 주거지의 입지 환경에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가 밀집한 구역의 지형 환경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백석동유적그룹이며, 이 지역에서 발굴된 205기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고려한 지형 환경은 사면 미지형, 지형경사, 사면방향이다. 연구지역에서 청동기 시대 주거지가 밀집한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 환경은 주로 정부사면 또는 정부평탄면의 파랑성 평야~준완경사지, 남향(남동향-남향-남서향) 사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CART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역별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 영향 요인의 비교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by region using the CART algorithm)

  • 정수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707-715
    • /
    • 2023
  • 본 연구는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 영향 요인의 지역별 특성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2020년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Decision Tree 분석 중 CAR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주거환경 만족도에서 의료복지시설 만족도, 교육시설 접근성 만족도가 광역시 및 수도권에서 높은 중요도를 보이지만 변의 사고 및 범죄로부터 안전한 환경 만족도 요인이 그 이외의 지역에서 더 높은 중요도를 보여, 권역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졌다. 둘째, 주택 만족도에서는 주택 특성 요인이 중요하고 실내 환경 수준 만족도와 실내 안전 및 위생 상태 만족도가 대부분의 시도에서 중요도를 보였지만 주거환경 만족도에서는 주거 외부 정주 환경 특성 요인의 중요도가 더 높고 영향 요인이 상대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여 종속변수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권역별 특성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추후에 진행될 필요가 있다.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와 이용자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ilver Towns and Their Residents' Recogni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이영민;송정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2-258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 실버타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고, 수도권 실버타운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최근에는 가족과의 교류가 용이하며, 의료시설과 접근성이 좋은 도심이나 도시 근교 지역을 선호하는 노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수도권에 실버타운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주로 서울의 북쪽과 경부 고속도로를 축으로 한 경기도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이 실버타운을 선택할 때 시설의 위치와 접근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버타운에서 노인들은 가사 노동에서 해방되어 의미 있는 일을 하면서 여생을 보낼 수 있고, 사회적 계층이 유사한 사람들과 원만하게 교류하며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80세 이상의 이용자들은 실버타운을 집으로 인식하고 뿌리내림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에 60~70대의 비교적 젊은 노인들은 실버타운에 입소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이나 자기결정권이 제한되는 것에 불편을 느끼고 다른 주거 공간으로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 PDF

공공공지 분포특성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ctual Use Condition of Public Open Spaces)

  • 김경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22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시역내 미 집행된 공공공지 145개소에 대한 실태분석 및 이용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미집행 공공공지를 용도지역별, 면적별, 형태별, 조성계획 수립유무에 따라 분석하였다. 부산시역내 미집행 공공공지시설의 용도지역별 분포에서는 주거지역내 포함된 공공공지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형태별 분포에서는 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부정형과 정형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미집행 공공공지시설의 활용계획 수립유무를 보면, 전체 미집행 공공공지 중 대부분이 조성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계획이 수립된 경우는 녹지 및 쉼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이용한 주거 환경 중 거실과 화장실의 세균 특성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n the Living Room and Bathroom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the Pyrosequencing Method)

  • 이시원;정현미;박응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4-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파이로시퀀싱 분석법을 이용하여 주거 환경 중 거실과 화장실의 세균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주거 환경 중 거실과 화장실에 존재하는 세균의 총 유전자량과 다양성 지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존재하는 세균의 종류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Phylum-level에서는 거실에서 나타나지 않은 Acidobacteria, Chlorobi, Chloroflexi, Fusobacteria, Nitrospirae 및 Planctomycetes문이 화장실 공기중에서 분석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의 세균 분포가 추정되었으며, class-level에서는 우점하는 Proteobacteria문 중 ${\beta}$-Proteobacteria와 ${\delta}$-Proteobacteria강이 거실에 비해 화장실에서 높은 비율로 분석되었다. 한편 genus-level에서는 거실이 화장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속이 분석되었으나, 모두 Methylobacterium속이 우점하였으며 두 주거 환경에서 각각 특징적으로 분포하는 미생물이 존재하였다.

서울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공간적 특성과 변화(1995~2010년) (Spatio-Tempor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Failing to Meet the New Minimum Housing Standard in Seoul Metropolitan(1995~2010))

  • 김용창;최은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09-532
    • /
    • 2013
  • 최저주거기준은 자본주의 산업화 과정과 급격한 도농인구이동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노동자계급의 주거환경 악화와 공중보건위생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거복지 정책의 주요 쟁점으로 발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선진국을 대상으로 최저주거기준이 제도화되는 역사를 살펴보고, 서울시를 대상으로 2011년에 개정된 새로운 최저주거기준을 적용하여 1995년 이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시계열적 변화패턴과 지역별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2010년 서울시의 미달가구는 50.1만 가구(136.8만 명, 14.4%)로 전국 평균인 11.8%에 비해 처음으로 높아졌으며, 2005년의 50.9만 가구에 비해 거의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서울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감소추세의 정체는 다른 시 도, 다른 시기에는 한 번도 관찰된 바 없는 현상으로서 개별 가구의 독자적인 능력만으로는 주거환경을 개선 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 가구 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서울시의 기타 거처(1.3%) 및 지하 옥상 거주 비율(9.6%)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서울시의 주거환경이 질적인 측면에서 가장 열악한 지역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달가구의 공간적 분포는 동북권과 서남권 방면으로 양분되어 있고, 여성가구주, 중장년층, 이혼가구, 저학력 및 대학 대학원 재학생, 비아파트 거주가구, 15~20년 경과주택 등에서 높은 미달비율을 보이고 있다.

  • PDF

1인가구 분포 및 밀집지역 유형 분석 : 부산광역시 사례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Highly Density Area Pattern of One-Person Household : Pusan Metropolitan's Case)

  • 최열;신종훈;박원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655-662
    • /
    • 2012
  • 최근 우리나라의 인구 가구구조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대도시에서는 1인 가구의 변화양상이 뚜렷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시 1인가구 분포 특성 및 밀집지역의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엇보다 ArcGis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서는 군집분석 중 와드(Ward)연결법을 통해 유형별 밀집지역을 분류해보고 이어서 그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역세권형을 살펴보면 주로 도심지인 서면과 남포동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형은 향후 1인가구를 위한 주거계획에서 중요시되어야 하는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지구중심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지하철역과 인접하여 있으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주거시설과 환경을 갖추고 있다. 셋째, 대학인접지형을 살펴보면 주로 대학생을 비롯하여 젊은 직장인이 원룸 빌라 등에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은 소규모의 근린생활시설이 분포되어 있으며 월세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넷째, 공장인접지형을 살펴보면 각종 공장이 밀집된 지역으로 내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역세권과는 거리가 있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기숙사형을 살펴보면 도심지와는 거리가 있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곳이다. 주로 가족과 떨어져 있는 학생과 직장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편익시설의 부족과 교통접근성이 떨어져 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GIS를 이용한 지가(地價) 위주의 대전광역시 중심지 분석 (Analysis of Central Metropolitan Area of Daeieon City based on Land Values using a GIS)

  • 김상수;김계현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341-3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지가의 중심성을 측정 하고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도시의 계획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지가분포에 대한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를 통해 지가가 중심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지가의 분포특성에 따라 중심지가 어떻게 분포 되어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방법으로는 ArcGIS 9.2버전 Spatial Analysis를 사용하여 공간내삽(interpolation)을 통해 등치선도를 작성하여 시각화 하였으며, 축별 3차원 경향도면을 작성하여 중심지 범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대전광역시의 중심부이자 신시가지인 둔산지역과 구시가지인 은행동 지역이 중심지역으로 나왔으며, 이 외에 부도심지역인 유성과 신탄진 그리고 주거중심지역인 노은동으로 나타났다. 중심지 범위는 신시가지가 상당히 넓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그 외 지역은 좁게 분포되었다. 도시의 계획적 관리를 위해서는 매년 지가를 분석하여 모니터링을 한 후 야기된 문제점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시계열적 분석을 통한 중심지의 과거 변화특성을 통해 미래의 문제점을 미리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지역별 주택분포와 주거형태의 변화에 관한 고찰

  • 김수덕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4권1호
    • /
    • pp.125-154
    • /
    • 1994
  • 인구 및 주택건축 총조사보고서의 년도별로 분류된 잔존주택에 관한 정보에는 멸실되어 소실된 주택과 당시의 신규주택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센서스이후 추계된 최근의 지역통계는 기간내 발생한 멸실주택에 대한 추계과정이 생략되어 주택의 통계가 과대계상되어 있다. 본 연구는 지역별 주택수 예측의 방법을 제시하고 주택형태별, 평형별, 난방형태별 분포현황의 분석과 전망을 시도하였다. 지역별 주택수의 예측에서 지역별 주택의 건축년도와 멸실이 독립이라는 가정하에 주택의 수명, 최대멸실확율을 보이는 지역별 이항분포(Binomial Distribution)를 찾아내었다. 주어진 Data의 특성에 따라 얻어진, 지역별로 다른 최적의 분포와 이에 따라 산정된 각 시점의 신규주택수를 이용하여 미래의 주택수를 전망하였다. 주택형태, 평형, 난방시설분포의 현황분석과 전망은 각 형태의 비율을 산정, 추정하는 방식을 택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