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개선

검색결과 697건 처리시간 0.024초

초고층주거건축의 가구공사 프로세스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Process of Furniture Work for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 김현우;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46-449
    • /
    • 2003
  • 우리나라의 최근의 건설공사의 형태를 보면 초고층 아파트, 대형 주상복합 건물 등 대형주거용 건축물들이 등장하고 입다. 이러한 건설공사의 대형차 추세에 따라 공사기간, 공사비용 등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절약하고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건설관리 기법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건축의 마감공사 중에서 공사규모, 자재의 양중 측면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구공사의 관리체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적시생산(Just-In-Time)방식과 린건설(Lean Construction)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위의 두 가기 원리를 이용하여 가구공사의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과 개선방안의 제시는 마감공사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공사기간 및 공사 비용을 절약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주거환경개선지구 다가구주택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임차인 요구 조사연구 (A Proposal to improve environment for multi-family housing residence in amelioration area)

  • 황선혜;김다해;안창헌;이연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0-143
    • /
    • 2008
  • As the number of family living alone is expected to soar due to a change in socio-demographics like divorce, more middle-aged women returning to work, homes become smaller and so on. In addition to in 2020 these people will be increase so that 85 percent of the Koreans compose elderly living alone who is over 65.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sharing-typed elderly people-centered rental model which is accessible in the community integration dimension as an alternative and finding out theirconscious, their need about residence. and we need to check about their major requirements on improvement step by step. so that we suggest the desirable way on the existing multi house. The model provides benefits in the social, economical and pragmatic dimensions as the families living alone get together and living with others, Particularly, as a residence model which reduces a psychological loneliness and at the same time enables the elderly to continue to live a life in the community while they live together with other people, this model could be a strategy which supports the "Aging in Place." This study is in progress via small group workshop which debate gradually about special subject with similar group member. So we can find the residence's preference on living environment in various condition and the member can imagine freely on their future living arrangement by giving the various informations which can be proceed in future. The workshop proceed three times. at the first workshop, we're check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level. and second time we give the knowledge about shared-type rental house then discuss about the model. and last time we're listen to the residence's opinion.

  • PDF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 시범사업 실태조사 및 개선방향 연구 (Site Analysis and Improvements on Pilot Project of Core-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 백혜선;이영환;김재승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1-11
    • /
    • 2016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ause of delay by analyzing the process of 12 Core-based Improvement pilot projects, especially focused on lands, buildings, population status. For this purpose, it performed a literature research on maintenance plan reports, various statistics of building and population status analysis, a field research and an individual interview with public officials in charge at local governments of 12 project distri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t was difficult to cope flexibly to environmental changes because the core sector was so large that the plan was led to areal improvement. 2) the project was selected withou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e sector and the area of residents-led renovation properly in terms of building status such as building density and old buildings ratio, 3) the coordinator group for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in the district was not operated and thus foundation for residents-led renovation was not set up. In conclusion, it should be presented the proper size of the core sector when the core-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initia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building statu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signating the core sector and the area of residents-led renovation. The coordinator group needs to be operated from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as well.

소음지도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로교통소음 개선방안 연구 (A Road Traffic Noise Management Using a Noise Mapping Simulation)

  • 김형철;정재훈;권우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353-360
    • /
    • 2007
  •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밀도의 증가로 도시의 주거지역은 점점 고층화, 고밀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그로 인하여 인구의 공간적 집중으로 발생하는 교통수요를 감당하기 위하여 도시내부 도로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주거지역은 도로에 바로 인접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에 연접한 주거지역의 도로교통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음벽에 의존하는 실정이었으나, 경관저해, 소음차단성능저해 등 다양한 역기능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음벽의 역기능을 해소하고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위치한 주거지역의 현장측정을 통하여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검증한 후 방음시설별 성능평가 및 전체 지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선방안으로 건축물의 배치형태 변화와 도로단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20m 증가시켰다. 분석 결과 도로변과 평행한 공동주택의 피해가 가장 심각하였고, 시설별 분석에서는 방음벽의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건물 배치형태는 $30^{\circ}$ 배치가 우수하며,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교통소음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분석 모델링 기반 고령자 주거우울 측정 연구 -K-HTP를 중심으로- (Dwelling Depression Measurement Based on Image Analysis Modeling: Focusing on K-HTP)

  • 이예원;박종욱;우성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6
    • /
    • 2018
  • 고령자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고령자 삶의 질을 개선하고, 고령자건강 등 심리상태를 측정하고자 하는 사회적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 주로 적용되는 텍스트 기반의 척도는 시력 저하 등 고령자의 인지적 문제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K-HTP를 활용하여 주거환경에 따른 고령자우울을 측정하고, 개발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18년도 1월 22일부터 2월 2일까지 대전과 주변지역 7개 시 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 여 단독가구 고령자 30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여, 주거우울척도와 K-HTP 기반 주거우울척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요인 분석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를 규명하였다. 고령자주거우울지수(GDDI)와 K-HTP 기반 고령자주거우울지수(GDDI-K)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GDDI-K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HTP 척도가 주거우울을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인지적 상황을 고려하여 주거우울을 진단할 수 있는 K-HTP를 활용한 척도를 제안함으로써 투사이미지를 활용한 고령자 우울진단 연구의 발판을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공공과 민간 주거복지 현장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청주시 주거복지서비스 실태 및 개선요구 분석 (Analysis of Housing Welfare Service Situation and Demands for Improvement in Cheongju through Interviews of Housing Welfare Field Specialist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 방혜선;이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35-45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using welfare service situation in City of Cheongju, Chungbuk, and assess demands for the service improvement through interviews of public and private field specialists in order to seek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ement of housing welfare policy and system in Cheongju. In December 2016, a series of person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total 10 specialists who were currently providing and housing services.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 (1) City's own housing survey and database construction are in need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housing welfare service programs serving local need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2) The field specialists perceived importance of realignment of service system and to establishment of the Cheongju housing welfare center as a control tower of the services. (3) It is required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 specialists' competence through education, training and networking and to arrange persons in charge of housing programs in every community-level self-government. (4) The specialists showed their strong interests in introduction of diverse housing welfare services and programs.

성숙기 도시에서 지역활성화 거점으로서 복합주거단지 개발에 대한 고찰 (Development of Residential Complex as a Bas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in the Mature Level of City Development)

  • 박준영;이영환;권혁삼;석혜준;오수호;홍성덕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1호
    • /
    • pp.25-3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도 성장단계에서 성숙단계로 진입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하여 수익성 중심의 복합개발사업도 변화가 필요하며, 특히 주거시설이 중심이 된 복합주거단지는 공익성이 가미된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익성을 가지면서 지역활성화의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는 복합주거단지를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로 정의하고 (1)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개념 제시, (2)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개발원칙 제시, (3)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 실현을 위한 제도적 검토를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각 연구목적에 대한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개념으로는 주거시설을 중심으로 문화, 복지, 의료 등의 공익성을 가지는 용도를 복합하는 '용도복합', 지역의 부족한 커뮤니티 시설을 보완하여 지역 교류를 활성화하는 '사회복합', 보행 중심의 동선체계를 수평 수직방향으로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지역과 하나가 되는 '공간복합'이라는 세 가지 복합이 이루어져야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개발원칙으로 개발목표, 개발개념, 개발방식, 공간구조, 공간요소, 공간위계의 6대 원칙을 설정하였고 각각의 내용을 정의하였다. 특히 주거시설은 사회적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주거유형의 혼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비주거용도의 시설은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만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공통시설과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특화시설로 구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 실현을 위해서는 현행 도시 및 주택 관련 법규가 일률적이고 규제중심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거점 복합주거단지의 다양한 용도복합 및 다양한 주거유형의 혼합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택법 등 일부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겸용 오피스텔의 실내공기환경 개선방안;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거주자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The Improvement Plan for IAQ of the Combined Officetel and Residence;Focused on the Demands and the Opinions of Residents)

  • 장하나;권오정;김진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77-38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IAQ of the combined officetel and residence through analyzing demands, satisfaction, subjective symptoms and device of residents.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0 residents by questionnaire survey and an experienced planner by interview. The result showed that the IAQ improvement of the combined officetel and residence was urgent. The educational program about maintenance of IAQ for residents was essentially needed. To recommend eco-friendly materials in process of construction wasimportant so as to take precaution against ‘sick building syndrome'. It was also necessary to improve on the size and shape of ventilation window.

  • PDF

국민임대주택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친환경사업의 타당성 분석 -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 (Feasibility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Project to Improve Habitability in National Rental Apartment - focused on Gwangju City -)

  • 박현구;이현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23-30
    • /
    • 2009
  • In case of national rental apartment, habitability is generally evaluated low comparing with typical apartments. So, researches and investment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is point of view, present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homeless masses' dwelling level through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Firstly national rental apartment, which habitability is considered to be low in the point of environment-friendly, welfare, and convenience, is chosen as objective. Secondly environment-friendly project items including project flow were set up, and then basic model was formed to evaluate economic feasibility through priority survey to residents. In result, priority for two items among six different proposal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his result could be useful when trying to increase the dwelling level of national rental apartment being planned to construct in future.

주거단지내의 주거환경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이면도로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Housing Area)

  • 김한수;송흥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97-207
    • /
    • 1997
  • This study is about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how district-level roads are used and what the residents want about housing enviro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space usage, we could get the conclusion that street furniture occupies much space in the district-level roads, and the main causes of the space usage problems are from cars. 2. Because much space is used for parking, the district-level roads supposed to be the place for the pleasant and safe housing is changing into the main cause of the housing problems. Therefore we should find how to prevent the housing environment from being deteriorated through pridicting the traffic generation of future residential area. 3. Most residents park their cars near their houses in the district-level road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to secure the parking space and guarantee the safe traffic by designing the road space efficiently in spite of the inconven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