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가치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7초

신세대소비자의 주거가치 : 신혼주거를 중심으로 (New-Generation Consumers' Housing Values: Focusing on the Housing for Newly-married Couples)

  • 이기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132-144
    • /
    • 1994
  • 본 연구는 '소비자중심'의 주거문화를 모색하기 위해 한국사회 신세대소비자의 주거 가치와 관련요인에 대해 수도권의 20~35세 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실증연구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4개 주거가치에 대해 전반적으로 중요 하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주거가치의 요인분석결과 4개 특성이 추출되었고 두 맥 락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하나는 후기 산업사회로의 발전과 함께 중요하게 인식되는 주거가 치특성으로 외부환경의 편리성과 인간성 회복 인접환경의 안전과 프라이버시 내부환경의 편 리성과 아름다움을 중시하는 주거가치가 이에 속한다. 이주거가치들은 신세대소비자에게 매 우 강하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신세대가치관이 강할수록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 다. 다음은 전통적으로 중요시된 주거가치로서 위신과 경제성 주거가치이다 이는 비교적 낮 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신세대가치관이 약할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 PDF

소비자의 주거만족도와 투자가치가 매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nsumer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nvestment Value on the Purchase Intention)

  • 황인성;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43-153
    • /
    • 2015
  • 최근 주택 시장에서 소비자의 투자가치가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으나 투자가치와 구매 의사결정에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가치, 주거만족도, 투자가치, 그리고 매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가치의 요인이 주거 만족도와 투자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매입의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585명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AMOS 18.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 신뢰도, 구조 방정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가치의 요인분석 결과 주거품질, 경제성, 브랜드, 접근성의 4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거가치 요인 중 주거품질과 브랜드는 주거만족도와 투자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택시장에서 구매자의 긍정적인 투자가치와 주거만족도는 매입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주택 구매자의 긍정적 투자가치와 주거만족도는 주택시장에서 매입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결국 주택 수요자의 투자가치의 긍정적 전망이 주택 시장을 더욱 활성화 시킬 것임을 시사한다.

  • PDF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Housing Environment on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Housing)

  • 박영근;김판준;황태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89-105
    • /
    • 2007
  • 아파트시장의 환경변화와 소비자 특성의 변화로 인해 아파트 선택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도 과거와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파트 건설업체들은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거환경을 이해하고, 차별화된 주거가치를 고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마케팅 분야의 관련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주거가치와 주거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아파트 건설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용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신도시 거주자의 아파트에 대한 주거가치가 주거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2기 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New Town Residents' Housing Value of an Apartment House on Housing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th focus on the 2nd term new town case-)

  • 이무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12-425
    • /
    • 2016
  • 최근 주택시장에서 신도시아파트의 주거가치가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으나 주거가치가 고객충성도와의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가치, 주거만족,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가치의 요인이 주거만족과 고객충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519명 2기 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ANOVA를 사용하여 기초통계, 신뢰도, 가설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가치의 요인분석 결과 안전성, 사회성, 편리성, 경제성, 심미성, 안락감의 6가지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주거가치의 요인 중 안전성, 안락감, 편리성은 주거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신도시 도시개발의 특성과 아파트의 자산개념을 반영한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신도시 주택구매자의 긍정적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는 고객충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현 거주 아파트의 주거만족이 클수록 거주자들은 자기의 친척이나 이웃에게 소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결국 신도시 주택소유자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의 긍정적 전망이 주택시장을 더욱 활성화 시킬 것임을 시사한다.

광교신도시의 지리적·풍수적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거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and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Gwanggyo New Town on Residential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dence Value)

  • 정태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53-464
    • /
    • 2021
  • 본 연구는 광교신도시의 지리적.풍수적 특성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거가치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이론적, 제도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광교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주거만족도에 영향요인을 조사를 한 한 결과, 지리적·풍수적 특성은 주거가치와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주거가치도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전문적 풍수적 특성요인보다는 일반적 지리적 특성요인이 주거가치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일반 거주민에 익숙하고 더 유의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주거만족에 영향요인으로 풍수적 특성요인과 지리적 특성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는 데 연구 차별성이 있다. 또한 이런 분석 결과를 기초 자료로 신도시 개발 및 주거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설계 시 제도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

기대가치와 인지가치 분석을 통한 주택유형별 주거환경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rections of Different Housing Types through an Analyses on Expected Value and Perceived Value)

  • 진현수;김경훈;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2-390
    • /
    • 2013
  • 최근 주택 보급률 상승과 국민 의식 및 경제수준이 향상되면서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사항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유형별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거주자들이 원하는 주거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 방법은 분산분석을 통해 주택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를 검정하고, t검정을 통해 각각의 주택유형에 대한 기대가치와 인지가치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그리고 실행격자를 작성하여 주거환경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주택유형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주거환경 변수가 도출되었으며, 주택유형별로 다르게 요구되는 주거환경 변수도 도출되었다.

자연환경 특성에 따른 산지형 및 해안형 아파트의 주거가치 상승 결정요인 비교 분석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Mountainous and Coastal Area's Housing Valu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 최열;김형준;김수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811-819
    • /
    • 2013
  • 본 연구는 자연환경 특성에 따른 산지형 및 해안형 아파트의 주거가치 상승 결정요인 비교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한다. 최근 주거가치의 쟁점은 기후 변화이고, 자연환경 요인이 점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왔다. 그래서 많은 연구들이 자연환경이 주거가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지만, 대부분 서울 한강 근처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을 위하여, 자연환경 요인들을 조망, 체감풍속, 체감습도 등의 8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지형 아파트의 경우에는 유의한 자연환경적 요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산지형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환경적 요소보다는 주택특성이나 다른 특성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해안형 아파트 거주민들은 산지형 아파트 거주민들에 비해 자연환경적 요소들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특히, 해안지역의 조망여부는 주거가치 상승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체감풍속은 두 번째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습도와 재해에 대한 안전도는 부정적 변수로 나타났다.

주거 유동성,독립성의 가치 및 독특성 선호 간의 관계 (The Relation among Residential Mobility, Values of Independence, and Preference for Uniqueness)

  • 박혜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2호
    • /
    • pp.179-202
    • /
    • 2013
  • 전 지구적으로 주거 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주거 유동성의 심리사회적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거주지 이전 경험과 심리적 독립성의 관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주거 이동 경험에 따라 가치의 실제 자기 중요도 대 지각된 사회적 중요도(연구 1)와 독특성에 대한 선호도(연구 2)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주거 이동을 빈번하게 경험하였던 사람들일수록 자신이 타인에 비하여 개인주의적인 가치들은 더 중요하게, 집단주의적인 가치들은 덜 중요하게 여긴다고 지각하며, 독특성을 더욱 강하게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주거 유동성과 심리적 독립성의 관계에서 영향의 방향에 관하여 가지는 함의를 논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