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좌석관리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영상처리를 이용한 도서관 예약관리시스템 (A Library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 서정민;이희석;이상문;박현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8-91
    • /
    • 2008
  •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은 각 대학교 도서관뿐만이 아니라 기타 정부기관, 업체 등의 도서관에서 좀 더 효율적인 도서관 좌석 관리를 위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서관 좌석 관리를 위해 단말기를 통하여 지문이나 카드로 신분을 확인하는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이용하는 사람들의 출입 및 좌석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서관 열람실은 특별한 좌석관리 시스템이 없으며 외부인의 출입이 제한되어있지 않아 학생들과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은 평소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시험기간이 되면 수용할 수 있는 인원에 비해 사용 인원이 많고 또 제대로 된 좌석관리 시스템이 없어 항상 자리가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에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열람실의 좌석 정보를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 줄 수 있는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사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좌석 자원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fficient Seat Resource Management System Driven User)

  • 강민성;이상준;안기중;김장형;김도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319-2326
    • /
    • 2007
  • 최근 비행기, 기차, 버스를 비롯하여 극장이나 도서관 좌석 등과 같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정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좌석 자원을 초과하는 수요가 발생하면 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때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기존의 한정 된 좌석 자원의 배정 및 관리 방식은 중앙 시스템에서 집중 관리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개개인의 선호도를 고려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관점에서 한정된 도서관 열람실 좌석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고객이 직접 좌석을 선택하고 좌석에 대한 기회를 균등하게 가질 수 있는 고객 중심의 좌석 할당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IoT를 이용한 스마트도서관 모델 연구 (Study on Smart Library Model using IoT)

  • 이주화;노은실;이명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445-447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다양한 사물들과 연결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각광받고 있으며,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서관의 좌석과 좌석에 설치된 조명을 자동으로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술 기반의 스마트 도서관 자동화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된 모델은 좌석과 조명을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아두이노 보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 웹 서버, 좌석 상태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리고 구성요소 간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로 구성된다. 좌석에 부착된 압력 센서로부터 압력을 감지하여 좌석의 점유 및 비점유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잔여 좌석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것과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 PDF

고객중심의 도서관 좌석배정 예약시스템의 설계 (The Reservation System Modeling for Customer Preference Library Seat Assignment)

  • 김진봉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74-1077
    • /
    • 2010
  •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대부분의 예약 시스템들은 예약 기능만을 중요시하고 있어서 한정된 예약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정된 예약 자원의 배정 및 관리방식이 중앙 집중식 관리로 처리되고 있기 때문에 고객들의 선호도를 고려하지 않고 예약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약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와 현대 서비스 산업에서 중요한 고객들의 예약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예약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예약 시스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복합 스케줄링 기법에 적용하여 예약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고객중심의 도서관 좌석배정 예약시스템은 객체지향개념을 기반으로 고객들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고객들이 가지고 있는 사건들을 주어진 제약들에 만족하도록 목표인 도서관 좌석배치도에 배정한다. 또한 고객들의 도서관 이용 정보를 통하여 더욱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객들은 자신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자원을 배정하고, 좌석 자원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 차이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고객 클래스와 도서관 이용정보를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가진 고객들은 제약을 만족하면서 최선의 좌석 슬롯을 선택하여 사건을 배정한다. 또한, 고객중심의 도서관 좌석배정 예약시스템을 모의 실험하여 고객들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지능적 좌석 배치 시스템 (Intelligent Seat Align System Using Neural Network)

  • 최정연;김민철;정성부;이현관;엄기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7-200
    • /
    • 2010
  • 서비스 산업이 발달할수록 개인의 취향에 좋아하는 정보만을 제공받기 원하고 서비스를 받기 위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존의 공연장, 극장, 도서관 등의 좌석관리 시스템은 개인의 취향에 맞게 자동으로 좌석 배치를 할 수 없으며 누구나 동일한 정보만 제공하여 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게 즉 신체적인 조건이나 개인의 성향에 맞는 좌석을 지능적으로 배치하고, 선호하는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 확인을 위하여 임의의 극장 좌석 배치도를 이용하여 실험을 한 결과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영화 예매 시스템 (Movie Reservation System)

  • 허태성;이태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63-464
    • /
    • 2021
  • 본 논문은 관리자가 영화 및 영화관을 등록하고 등록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상영 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등록된 영화 및 영화관들의 정보들을 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등록된 상영 정보를 통해 영화를 예매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사용자들은 영화를 예매할 때 현재 좌석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구현하였다.

  • PDF

도서관 열람실의 비대면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 앱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IoT-based App Service for Non-face-to-face Management of Library Reading Rooms)

  • 최홍현;이승훈;이정두;유진;정성훈;심준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562-568
    • /
    • 2021
  • 도서관 열람실의 좌석 예약 및 민원처리 업무는 그동안 관리자에 의해 대면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웠다. 또한 열람실 이용자 간 소음 문제 등과 같이 이용자 불편에 따른 민원 발생 때 조치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열람실 좌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온라인 예약시스템을 개발하여 비대면으로 서비스될 수 있게 하였으며, 도서관 열람실 사용 시 이용자 간 소음 문제, 소지품 분실, 이용자의 수면 중 코골이 등으로 민원이 발생 시 비대면 민원 신청이 가능하게 하였다. 관리자는 비대면의 불편 신고 접수를 통해 도서관 열람실 사용의 원활한 관리와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도서관 이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개발된 서비스 앱은 좌석 예약과 익명의 불편 신고가 가능하며, 관리자는 접수된 불편 신고내용을 확인하여 해당 좌석의 이용자에게 IoT 센서 기반의 LED로 주의 경고를 할 수 있으며, 시정 조치가 완료되면 신고자에게 조치 결과를 피드백할 수 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 공연 예매 시스템 (Performance Reservation System Based On Spring Framework)

  • 허태성;박수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275-276
    • /
    • 2020
  • 오늘날 문화, 여가 생활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가면서 연극, 음악회, 뮤지컬 등 공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공연 예매 시스템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관리자와 사용자 기능이 분리되어 구현하였다. 관리자는 회원 관리, 공연 관리, 예매 관리 기능을 갖으며 사용자는 회원가입하고, 로그인 후 공연 및 좌석 예매를 할 수 기능을 가지고 있다.

  • PDF

철도를 위한 수익관리기법의 도입타당성 및 효과검토 (Yield Management System for Railway Industry)

  • 홍순흠;오석문;구세완;김동오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89-49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경부고속철도 수익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철도에 수익관리기법을 도입의 타당성과 그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현재의 철도에서 사용되고 있는 예약체계, 운임체계 및 좌석할당 방법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수익관리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였으며, 예약실적자료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계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