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동정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도 해역의 옆새우류(갑각류 : 서각류) (Marine Gammaridean Amphipoda (Crustacea) of Cheju Island and its Adjacent Waters, Korea)

  • 김훈수;김창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1호
    • /
    • pp.1-23
    • /
    • 1987
  • 추자도를 포함한 제주도 해역의 옆새우류상을 밝히기 위하여 1985년 8월부터 1986년 2월까지 제주도 내의 10지소에서 채집한 표본과 조사기간 이전에 추자도를 포함한 제주도 해역에서 채집되어 서울대 동물학과에 보관되어 잇던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동정한 결과 8과 16종이 확이되었은데, 이중 12종은 한국 미기록 종이고 3종은 제주도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16종을 새로이 기재하고 도판과 Remark를 첨부하였다.

  • PDF

한국에 자생하는 5종의 지생란에서 분리한 난균근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Orchid Mycorrhizal Fungi Isolated from Five Species of Terrestrial Orchids in Korea)

  • 염재영;한한결;정재민;조용찬;이병천;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32-135
    • /
    • 2012
  • 제주도와 완도에서 채집한 총 5종의 자생란의 뿌리에서 미동정 1종을 포함한 총 4종의 균을 순수분리하였으며, 추출한 DNA를 ITS지역을 증폭하여 분자적 동정하였다. 이중 3종이 Tulasnella속이었으며, 1종은 Sebacina vermifera로 일반적인 난균근균이었다. 제주도와 완도에서 모두 채집한 보춘화(Cymbidium goeringii)의 경우 제주도에서 채집한 뿌리에서는 Sebacina vermifera가, 완도에서 채집한 뿌리에서는 Tulasnella calospora가 분리되어 같은 종의난과 식물에서도 서식지에 따라 공생하는 난균근균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입이끼벌레(태형동물: 나후강: 순구목) 6종 (Notes on Six Smittinid Bryozoans (Gymnolaemata: Cheilostomata) from Korea)

  • Ji Eun Se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9권1호
    • /
    • pp.133-138
    • /
    • 2003
  • 한국산 입이끼벌레과에 속하는 6종을 동정하였으며 그 중 2종에 대해 재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의 과부탄으로부터 보고되었던 라이기입이끼벌레[Smittina raigii (Audouin, 1825)]는 한국미기록종인 톱니조두체이끼벌레(Parasmittina serrula Soule and Soule, 1973)로 재보고한다. 또한 망태양입이끼벌레 [Smittoidea reticulata (MacGillivray, 1847)]는 태평양에는 서식하지 않는 종이므로 한국의 태형동물상에서 삭제되고 망태양입이끼벌레로 동정되었던 한국산 표본은 태양입이끼벌레 (Smittoidea pacifica Soule and Soule, 1973)로 동종이명처리된다. 따라서 한국산 입이끼벌레류는 14종이 된다.

논발생(發生) 담수조류(淡水藻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람조류(籃藻類)의 동정(同定) (Fresh-water Algae Occurred in Paddy Rice Fields II. Identification of Blue-green Algae)

  • 이한규;박재읍;류갑희;이정운;박영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6-172
    • /
    • 1992
  • 전국(全國) 논에 발생(發生)하는 부유성(浮遊性) 남조류(藍藻類)와 토양중(土壤中)에 서식(棲息)하면서 괴불 등(等)을 일으키는 남조류(藍藻類)를 1991년(年) 채집(採集) 동정(同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을 얻었다. 1. 논에 서식(棲息)하는 남조중(藍藻中)에서 남조식물문(藍藻植物門)(Cyanophyta)으로 분류(分類) 동정(同定)된 종(種)은 소구체과(小球體科)(Chroococceaceae) 7종(種), 카마에시폰과(科)(Chamaesiphonaceae) 1종(種), 플레우로캅사과(科)(Pleurocapsaceae) 1종(種), 염주말科(Nostocaceae) 6종(種), 흔들말과(科) (Oscillatoriaceae) 5(종)種으로서 총(總) 5과(科)14속(屬) 20종(種)이었다. 2. 논에 서식(棲息)하며 질소(窒素) 고정능력(固定能力)이 있는 남조류(藍藻類)로서 Cylindrospermum, Anabaenopsis, Anabaena, Nostoc 등(等) 4속(屬) 6종(種)이 동정(同定)되었다. 3. 남색(藍色)을 띄는 괴불에는 사상(絲狀) 남조류(藍藻類) gms들말(Oscillatona) 등(等)이 주종(主種)을 이루고 있었다. 4. 단세포성(單細胞性) 남조류(藍藻類) Chamaesiphon은 서산(瑞山) 간척지(干拓地)에 많이 발생(發生)하는 Cladophora 등(等)에 부착생활(附着生活)하고 있었다. 5. Spirulina와 Oscillatona는 특유(特有)한 방법(方法)의 운동성(運動性)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재래식고추장 숙성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최진영;이택수;박성오;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45-751
    • /
    • 1997
  • 찹쌀로 담금한 재래식 고추장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purge and trap 장치로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동정하였다. 재래식 고추장에서 alcohol류 19종, ester류 13종, acid류 7종, aldehyde류 3종, alkane류 1종, ketone류 2종, amine 2종, benzene류 1종, alkene 1종, phenol류 1종, 기타 1종 등 51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동정된 향기성분은 담금 직후에 22종이었으나 30일에 41종으로 증가되었고 120일에는 51종으로 향기성분수가 가장 많았다. 이들 성분 중 숙성 전과정을 통하여 공통으로 검출된 성분은 acetic acid-ethyl ester, ethanol, butanoic acid-ethyl ester, 1-but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butanoic acid, ethenone등 22종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은 담금 직후에 1-butanol이 30일 이후는 ethanol이 가장 높았다. 고추장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숙성기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acetic acid-ethyl ester, ethanol, butanoic acid-ethyl ester, 1-but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등이 높아 재래식고추장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주성분으로 추측된다.

  • PDF

폐섬유자원의 발효공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4보 섬유소자화세균의 분리 및 동정

  • 성낙계;심기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8회 학술발표회
    • /
    • pp.186.2-186
    • /
    • 1976
  • 폐섬유자원을 기질로 하여 섬유소 단세포 단백을 생산할 목적으로 225종의 균원시료에서 252주의 섬유소 자화세균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섬유소 자화력이 아주 강한 균 1주를 동정하고 그 성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중략)

  • PDF

향신료의 활성산소 포촉인자

  • 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93년도 정기총회 및 제3차 학술발표회
    • /
    • pp.10-11
    • /
    • 1993
  • 기저상태의 산소분자는 비교적 안정하지만 생체ㅇ내외에서 물리적, 화학적으로 활성화 되어 $O_{2}$, $^{1}O_{2}$, OH, $H_{2}O_{2}$ 등의 활성산소종을 생성하며, 생체의 지질, 단백질, 핵산 당등의 분자에 산화적 상해를 초래하여 노화, 암, 순환기, 호흡기 게통의 질환과 식품의 품질열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인은 식품의 맛, 향기, 색 등을 부여하는 고유의 기능 외에도 방부제, 한방약으로 널리 이용되고 오고 있는 51종의 향신료를 대상으로 활성산소포촉활성을 조사하고 나아가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 및 동정함으로 향신료의 새로운 기능을 밝히고 신약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저 한다. Fenton 반응을 이용하여 2-deozyribose 산화법과 sodium benzoic acid 수산화법으로 51종의 향신료의 OH 포촉활성을 검색한 결과, Cruciferae과의 nustard 류, Labiatae과의 thyme, saga, savory, oregano, Myrtaceae과의 clove, allspice 가 1ug/ml 농도에서 50%이상의 포촉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 mustard 류는 같은 농도에서 거의 9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물질의 분리 및 정제는 Amberlite XAD-2 갈럼과 preparative-HPLC를 이용 하였으며, EI, FAB-MS, IR, $^{1}H$, $^{13}C-NMR$, Cosy-NMR로 그 화학적 구조를 동정하였다. Brown mustard에서 동정된 4-hydroxy-3,5-dimethoxy cinnamic acid Methyl ester는 0.42$\mu$ mol 농도에서 90% 이상의 OH 포촉활성을 나타내어 이를 diazomethane 반응으로 조제하였으며 white mistard에서는 4-hydroxy-3,5-dimethoxy cinnamoyl choline을 동정하였다.

  • PDF

미토콘드리아 전장 유전체로 동정한 아귀목 Himantolophus groenlandicus 자어의 형태적 특징 (Morphology of a Larval Atlantic Footballfish Himantolophus groenlandicus Reinhardt, 1837 (Lophiiformes: Himantolophidae) Identified by Complete Mitochondrial DNA)

  • 최해영;장요순;김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22
  • 북서태평양 표층에서 채집한 후기 자어 (2.2 mm BL)의 미토콘드리아 전장 유전체를 근거로 Himantolophus groenlandicus로 동정하였다. 후기 자어는 둥근 몸통, 작은 이빨, 발달하기 시작한 등 지느러미, 아래 부분이 들어간 눈, 그리고 지느러미, 정수리, 등 부분에 분포하는 흑색소포를 가졌다. 이러한 특징은 크기가 유사한 동종으로 보고된 자어(2.1 mm BL)와 차이가 컸다. 본 연구 자어의 유전적, 형태적 특징은 유사종의 동정에 유용할 것이다.

한국 남해 및 서해 연안 해산 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Sponges from the South Sea and the Yellow Sea of Korea)

  • 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권1_2호
    • /
    • pp.21-30
    • /
    • 1985
  • 본인은 1984년 6월부터1985년 5월까지 서해연안(작약도, 대천, 안면도, 안흥)과 남해연안의 삼천포를 중심으로 한 부근섬(신수도, 늑도, 비진도, 충무) 및 거제도, 제주도 등지에서 채집된 재료 90여점과 그간 미해결로 보류되어있던 기존 표본들을 동정분류한 결과 26 종의 기록종과 3 종의 한국 미기록종(Spongia officienalis , S. zimmocca, Tedania Tublifera)이 밝혀졌다. 기록종 가운데 Esperiopsis uncigera 와 Hymeniacidon sinapium은 재검토되었다.

  • PDF

Systematic Study of Amphipoda (Crustacea) in Korea: V. Descriptions of One Hitherto Unrecorded Species and Two Known Species from Korean Waters

  • Lee, Kyung-Soo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9-164
    • /
    • 1986
  • 저자는 1985년 제주도 모슬포 항구에서 채집된 표본이 한국 미기록종(Caprella gigantochir, Mayar 1903)으로 동정되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또 저자가 1981년 고군산 군도의 해양동물 채집보고서에 2종의 한국 미기록종 (C.algaceus Vassilenko, 1967, C. monoceros Mayer, 1980)을 기재없이 보고한 바 있다. 이들도 함께 기재하였다. 이로써 한국 해역에서 보고된 Caprella속의 종은 모두 21종이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