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 다양성

Search Result 3,28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pecies Adaptive Evolution Method for Realization of Evolvable Hardware (진화 하드웨어를 위한 종 적응 진화 방법)

  • 반창봉;전호병;박창현;정구철;심귀보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1
    • /
    • pp.70-75
    • /
    • 2001
  • 종의 분화는 생명체의 다양성을 유지하며, 좀더 환경에 적합한 생명체를 탄생시킨다. 그래서, 자연계의 진화에 모방을 둔 진화 알고리즘은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성을 유지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종의 분화 개념을 도입한다. 개체군의 각 개체들이 돌연변이를 통하여 자손을 생성하고, 그 중 일부가 분화하여 다음 세대의 개체를 이룬다. 각 개체들은 돌연변이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한 해밍 공간 내외를 탐색공간으로 하고, 분화를 통하여 유효한 탐색공간을 점차 넓혀 탐색공간 전체에 대한 효율적인 탐색을 수행한다. 돌연변이를 통한 진환 방법으로 진화 하드웨어에 적용할 경우 내부구조의 변경이 적어 빠른 탐색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2개의 최적화 문제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한다.

  • PDF

Recurrent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Mediastinum (재발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의 외과적 치험)

  • 권영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4
    • /
    • pp.368-372
    • /
    • 2001
  • 장막내의 고립성 섬유성 종양은 드물며 대부분 장측 또는 벽측 흉막에서 발생하지만 종격동, 심막, 복막, 폐실질 , 안과 그리고 뇌척수막에서도 발생하기도 한다. 이 종양은 다양성으로 인하여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종격동이나 흉부 외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 종양의 임상적 양상을 예측하기 어려우며 조직학적으로 양성의 소견을 보이면서, 임상적으로는 악성의 양상을 띠기도 한다. 악성의 임상양상을 보이는 경우는 약 13∼23%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53세의 여자 환자에서 종격동의 고립성 섬유성 조양을 수술한 후, 4차례 재발한 드문 증례를 수술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Development of PCR based Genetic Marker for Discrimination of Manchurian Clematis,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and Three-leaf clematis, Clematis apiifolia (으아리와 사위질빵 판별을 위한 PCR 기반의 마커 개발)

  • Dae-Ju Oh;Eun Bi Jang;Jong-Du Lee;Hyejin Hyeon;Yong-Hwan J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16-16
    • /
    • 2021
  • To distinguish manchurian clematis,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and three-leaf clematis, C. apiifolia, we collected 9 nuclear ITS sequences and two sequences of trnQ-trnH intergenic spacer and trnH region in GenBank database. Those sequences were align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hose of C. terniflora var. mandshurica and C. apiifolia. Two primer pairs were newly designed base on the differences between two species and conducted multiplex PCR. The size of amplified fragments using generated primers were 380 base pairs (only three-leaf clematis) and 189 base pairs (both species). This genetic marker based on PCR is useful to discrimination of C. terniflora var. mandshurica and C. apiifolia

  • PDF

Assessment of biodiversity in rice paddy ecosystem (논 생태계 내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 Park, Kwang-Lai;Jung, Won-Kyo;Choi, Jae-Woong;Kim,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91-291
    • /
    • 2009
  • 쌀 생산관리 방법에 따른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관행, 우렁이, 투구새우, 심수관개, 오리농법 등으로 구분하여 벼 재배기간 동안 수서생물종과 식물종을 조사하였다. 논물과 토양에 서식하는 생물종을 쿼드라트법을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 토양생물의 풍부도는 이앙기는 관행농법, 분얼기에는 투구새우 농법이 높았으며, 출수기에는 무논, 쌀겨 농법에서 가장 많은 토양생물이 서식하고 있었다. 또한, 줄 채집에 의한 수서생물 종은 분얼기와 출수기, 육상생물은 수확기때 풍부하였으며 관행농법은 분얼기에 가장 출현종이 많았던 반면 오리농법은 전 조사기간 동안 가장 개체수가 적었으며 무논+쌀겨농법이 생물다양성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생물조사 결과 관행보다는 유기재배논에서 종 풍부도가 2배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쌀겨농법은 이앙기~분얼기까지는 쌀겨 분해에 따른 유기산에 의해 수서곤충이 급감되나 분얼기이후 개체수가 회복되어 무논+쌀겨구에서 가장 높았다. 전 조사지점 논둑의 식물 분포는 농법별 유의성이 없었으며 논둑의 우점식물은 쑥, 개망초,질경이, 클로버, 미나리, 미국가막사리, 쇠뜨기, 둑새풀, 미나리 등이었다. 출수기를 전후하여 관행논과 유기논, 그리고 둠벙의 유무로 구분하여 생물종을 조사한 결과, 먼저 관행논과 유기논에서 서식하는 생물종은 비슷하지만 수서생물의 개체수는 유기논이 관행논보다 43-54%나 많았다. 한편, 둠벙의 유무에 의한 생물조사에서는 둠벙이 있는 논이 없는 논보다 서식종이 35-47%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위해서는 낙수기때 수서생물들의 피난처를 확보하여 주는 소규모 둠벙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Design of Metadata Schema for Biodiversity Data Exchange (생물다양성 데이터교환을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 설계)

  • Ahn Bu-young;Cho Hee-hyung;Ahn Sung-soo;Park Hyu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91-93
    • /
    • 2005
  • 생물다양성은 육상 생태계, 해양과 기타 수생 생태계와 이들의 복합 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알하며, 종내$\cdot$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이 매우 다양하듯이 생물다양성을 표현하는 데이터 또한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생물다양성 데이터의 점보공유 및 교환을 위해 생물다양성 관련 국제기구에서 제안된 데이터 표준 및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알아보고, 이러한 데이터 표준과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국내 생물다양성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을 위한 생물다양성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크게 생물종 정보와 종정보에 관한 참조(reference) 정보로 나누어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Biomass and Measures of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Mt. Jeombong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의 생물종 다양성, 구조 다양성과 지상부 생물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

  • Jeong, Heon Mo;Jang, Inyoung;Hong, Seungbu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0 no.6
    • /
    • pp.1022-1031
    • /
    • 2016
  • Relationships of standing biomass with biodiversity and structural diversity were examined in the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in Mt. Jeombong, Gangwon-do. We examined the standing biomass of the Q. mongolia community ($311.1ton{\cdot}ha^{-1}$) from 2004 to 2013, and the observed major species were Q. mongoilca, Carpinus cordata, Tilia amurensis whose standing biomasses were $206.3ton{\cdot}ha^{-1}$ (66.3%), $36.9ton{\cdot}ha^{-1}$ (11.9%), and $30.6ton{\cdot}ha^{-1}$ (9.8%), respectively. Although the number of Q. mongolica individuals was very small compared with total density, the reason that Q. mongolica showed the most biomass than other species is due to greater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d the higher number of $DBH{\geq}50cm$ individuals. We calculated the range of Shannon index (H') and Shannon evenness (J') in the Q. mongolica community, and they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ime, showing 2.015~2.166, 0.673~0.736, respectively. Their H' and J' showed positive linear relationships with their standing biomass. This indicate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tanding biomass in Q. mongoilca community becomes more homogeneous with time and this homogenization appears in various speci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we estimated biomass-species index (BS) and abundance-biomass-speciesdiversity (ABS) and they also showed gradual increase in time, ranging from 3.746 to 3.811 and from 4.781 to 5.028, respectively. Their indices showed positive linear relationships with the standing biomass. This can be explained from the observations of variations in standing biomass with tree diameters as the differences in the average standing biomass in the community have reduced gradually in time.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increase in the structure diversity of the Q. mongoilca community enhances the efficiency in carbon sequestration and productivity, so the community can be developed to a more sustainable ecosystem with more abundant resources. Thus, applications of uneven-aged plantations with considerations of local ecological properties can be a very efficient reforestation method to ensure stable support of biodiversity and productivity.

Genetic Divesity Analysis of Fungal Species by Universal Rice Primer (URP)-PCR (Universal Rice Primer (URP)-PCR에 의한 곰팡이 종의 유전적 다양성 검정)

  • Kang, Hee-Wa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0 no.2
    • /
    • pp.78-85
    • /
    • 2012
  • URP primers that were derived from repetitive DNA sequence of rice weedy rice have been applied for producing PCR polymorphisms in different fungal species. URP-PCR protocol employed stringent PCR with high annealing temperature over $55^{\circ}C$ throughout the thermo-cycling reaction, giving high reproducibility. Under the PCR condition, Each single URP primer produced characteristic fingerprints from diverse genomes of different fungal species, indicating its universal applicability. URP-PCR has been accessed for applicability to various fungal species with 33 genus, 142 species and 1,489 isolates. Numerous related papers have demonstrated that URP-PCR profiles of fungal species are very useful for identifying fungal species at intra and inter species levels. The results were reviewed in this paper.

Industrialization of Jeju Plant Resources (제주 자원식물의 산업소재화)

  • Ju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4
    • /
    • 201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인해 화장품을 비롯한 향장품산업,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등에 대한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질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자원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은 국민의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국제경쟁력 강화나 윤택한 삶의 추구에도 절대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따라 제주의 특산 또는 우수 자원식물을 활용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4,500여 종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작성되어 있으며 제주의 생물자원 중 관속식물은 해발 1,950m 한라산의 영향으로 2,200여 종이 분포한다고 최근 기록되고 있다. 이 중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식물자원들도 약 800여 종이 분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자원은 대한약전, 생약규격집, 중약본초, 중약대사전 등 문헌에 근거한 자원으로 공정서에 수록된 약용식물 약 500여 종 중 제주 분포 약용식물도 217종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제주의 약용식물 자원은 다양한 한의약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민간약으로 활용되는 약용식물도 170여 종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자원전쟁이 시작되어 자원식물을 포함한 생물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어 각 지역마다 자생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자체연구소인 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도 제주에 분포하는 자원식물들에 대한 주권 확립을 위한 생태사진 900여 종, 표본 1,400여 종, 유전자 정보 800여 종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추출물 2,000점을 확보하여 산업소재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저자는 여기에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하여 화장품 원료등재, 건강기능식품개별인증 소재 및 천연의약품 소재 등 산업소재화 연구를 수행했었던 생물종다양성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유사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으로의 정보를 제공하여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한 산업소재화 분야에 작은 도움이나마 제공하고자 한다.

  • PDF

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Woopo and Mokpo Swamp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 Kim, Han-S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4 no.2 s.94
    • /
    • pp.90-97
    • /
    • 2001
  • The seasonal changes in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species composition, dominant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Woopo and Mokpo swamps were studied from January to December, 1998. Phytoplankton of a total 353 taxa were identified, the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was characetrized by green algae and diatoms and quantity composition of standing crops was dominated by green alga Oscillatoria sp. was especially prominent. The standing crops varied from 108 cells/ml and 118 cells/ml to 19,178 cells and 38,393 cells/ml in Woopo and Mokpo swamps, respectively. The maximum algal density was observed in November, Micractinium pusillum and Oscillatoria sp. usually contributed 83.2% to total cell numbers in Woopo swamp. However, the maximum density occurred in May when Oscillatoria sp. formed bloom in Mokpo swamp. The low species diversity of the phytoplankton coincided with maximum standing crops of the filamentous blue-green alga Oscillatoria sp. and green alga Micractinium pusillum in May and November.

  • PDF

Species Diversity of Riparian Vegetation by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Water Quality in the Upper Stream of Mankyeong River (만경강 상류 수질 및 식생분포와 토양환경에 따른 하천식생의 종 다양성)

  • Lee, Kyeong-Bo;Kim, Chang-Hwan;Lee, Deog-Bae;Kim, Jong-Gu;Park, Chan-Won;Na, Seoung-Y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2 no.2
    • /
    • pp.100-110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influence of chemical properties in the riparian on the species diversity and to get plant information for enhancement of natural purification in Mankyeong River. The concentration of total nitrogen was high in Jeonju and Sam stream, while that of total nitrogen showed the highest peak in Winter. Concentrations of $NH_4-N$ was $0.01{\sim}0.06\;mg/L$ in Gosan and Soyang stream. The water quality of upstream along with Mankyeong River was suitable for the irrigation source. The riparian vegetation was investigated by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from June, 2001 to September, 2002. The number of riparian plants were 59 families, 129 genera, 165 species, 20 varieties in Gosancheon, on the while 53 families, 111 genera, 141 species, 19 varieties in Soyangcheon. The number of riparian plants in Bari basi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ites namely, 73 families, 134 genera, 218 species, 33 varieties. Riparian vegetation was consisted of 12 plant communities.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index, Heterogeneity index, Species evenness index Species number). On the while, species diversity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il pH. Species diversify of the plant communities were affected by topography and disturb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