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다양성

검색결과 3,316건 처리시간 0.029초

눈측백(Thuja koraiensis Nakai)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es Isolated from Thuja koraiensis Nakai in the Korean Peninsula)

  • 어주경;이봉형;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3-117
    • /
    • 2016
  • 화악산, 설악산, 함백산에 서식하는 눈측백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여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숙주식물로부터 총202개의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 균주들의 IT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32개의 분류군으로 동정되었으며, Diaporthe nobilis, Mycosphaerella handelii, Pestalotiopsis cocculi 3종이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균주 중 61.5%는 Dothideomycetes였으며, 27.0%는 Sordariomyetes, 11.5%는 Leotiomycetes에 속하였다. 눈측백에 서식하는 내생균에서 우점종은 Dothideomycetes에 속하는 Phyllosticta spinarum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종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매화, 장미 및 해당화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Prunus mume, Rosa spp. and Rosa rugosa)

  • ;이영상;오승영;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0-110
    • /
    • 2020
  • 꽃을 우려내어 차로 마시는 꽃차(flower tea)는 꽃이 가진 색과 향, 맛과 모양을 즐길 수 있어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매화(Prunus mume), 장미(Rosa spp.), 그리고 해당화(Rosa rugosa) 등 3종의 장미과 식물의 꽃차의 향기 성분 특성을 구명코자 꽃차를 headspace vial에 담은 후 solid phase microextraction(SPM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 성분은 deconvolution 과정을 수행한 후 NIST masss spectral library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매화꽃차에서는 총 58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benzaldehye와 nonane, 그리고 phenylmethanol이 주요 구성 성분으로 검출된 전체 휘발성 성분의 각각 64.7%, 16.1% 및 4.7%를 차지하고 있었다. 장미 꽃차의 경우 검출된 35종 중 주요 구성 성분은 nonane과 2-phenylethanol, 그리고 phenylmethanol로서 각각 전체 성분 중 54.0%, 18.0% 및 4.6%를 구성하고 있었다. 해당화 꽃차의 경우는 장미 꽃차와 동일하게 2-phenylethanol(62.2%)과 nonane(20.1%)이 주요 성분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 2 성분의 합이 전체 43개 휘발성 성분의 8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매화, 장미, 해당화 등 장미과 식물 3종의 꽃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휘발성 성분은 앞서 각 꽃차 종류별 주요 성분으로 언급된 4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19종이었으며 매화꽃차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29종으로 장미꽃차(6종)와 해당화 꽃차(8종)보다 향기성분의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동태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 유종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420-425
    • /
    • 2003
  •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종조성, 군집구조, 종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부착해산식물의 출현종수는 남조류 4종, 녹조류 6종, 갈조류 17종, 홍조류 47종, 해산종자식물 l종으로 총 75종이 관찰되었다. 부착해산식물 우점종은 melobesioidean algae, Chondracanthus tenellus, Sargassium thunbergii, Corallina spp., Phyllospadix japonica 5 종이었고, 여름에 Ulva pertusa가 추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서동물은 Chthamalus challengeri and Mytilus edulis 가 조간대 상부와 중부에 우점하는 단순한 분포를 보였다. 한편 해조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빈도, 피도, 빈도와 피도 합 그리고 중요도를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각각 1.81, 2.25, 2.19, 1.80로 나타났다. 이는 종다양성지수의 계산을 위한 기준자료에 따라 값이 달라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후 종다양서지수를 논할 때 기본자료 선택의 중요성과 방법론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지적한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분류된 해조류 종수는 부산연안에서 기 조사된 결과와 비교할 때 최고 65%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 국립공원내 개발지구별 딱정벌레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Coleoptera from Kyeongiu National Park)

  • 박종균;안승락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3-137
    • /
    • 2000
  • 경주국립공인은 경북의 동쪽 경주시 주위에 위치하고 전체 면적이 138.16km$_2$으로 총 8개 지구고 구성되어 있다. 본 조사에서는 이 중 주위 환경 특히 식생이 다소 상이한 4개 지구(단석산 지구, 토함산 지구, 남산지구, 대본지구)를 선정하여 주로 잎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류의 다양성 및 분포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30과 115속 139종에서 565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잎벌레과가 34속 45종 270개체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지구별로 보면 토함산지구는 26과 86속 100종 321 개체였고, 단석산지구는 17과 58속 10종 216개체가 조사 되었다. 이 두 지구는 참나무류 및 초본류가 대부분으로 잎벌레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산림 식생을 이루었으며 따라서 높은 종 다양도를 보였다. 반면에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곰솔나무 군락지인 대본지구와 소나무군락지인 남산지구는 각각 2과 2속 2종 5개체와 7과 11속 11종 23 개체로 종 우점도는 높으나 종다양도에서는 아주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곤충류의 종 다양성, 그 중에서도 주로 식물의 잎에 서식하는 곤충류들은 그들이 서식하는 주위환경, 특히 산림식생과 밀접한 관계가 시음을 보여 주었다. 본 조사를 통하여 Stigmatium pilosellum Gorham (신칭: 검은띠개미붙이)과 Mordellina brunneotincta Marseul (신칭: 가슴세점박이꽃벼룩) 그리고 Rhaphitropis guttifer Sharp (신칭: 회색무늬소바구미)을 한국 미기록종으로 처음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우리나라의 중생대와 신생대 지층에서 산출된 은행류의 종의 다양성과 엽형 (Species Diversity and Leaf Form of Ginkgoaleans from the Mesozoic and Cenozoic Strata in Korea)

  • 김종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09
  •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중생대층과 신생대층에서 기록된 6속 22종의 은행류 화석을 최근까지 확립된 고생물학적 지식에 기초하여 재검토하고, 종의 다양성과 엽형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은행류 화석은 중생대에서 4속 8종, 신생대에서 1속 1종으로 각각 재분류되었다. 중생대형 은행류의 엽신은 대부분 가는 열편으로 갈라져 있지만, 신생대형은 부채꼴 모양의 단엽형으로 나타난다.

생태계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선정 및 적용 연구 - 지리산 및 북한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Evaluation Criteria of Biodiversity in Ecosystem Protected Areas -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

  • 강혜인;강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2호
    • /
    • pp.114-123
    • /
    • 2018
  •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주요 지역을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확보 전략 수립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보호지역간 생물다양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에 해당하는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하였고, 이를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비교에 적용하였다. 평가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언급된 빈도가 높은 지표들과 산림 생물다양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림구조를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평가지표는 총 7개로 종다양도, 종풍부도, 균등도, 희귀성, 교란종, 고유생물자원 및 산림구조이다.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에서 종다양도는 3.492와 2.943, 종풍부도는 8.998과 9.793, 균등도는 0.849와 0.680, 희귀성지수는 11.976과 10.783, 교란종지수는 0.214과 0.357으로 나타났다. 두 국립공원 모두에서 고유생물자원은 풍부하게 나타났다. 산림구조는 다양한 임상을 보이고 안정적인 4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수관울폐도는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평가지표에서 지리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이 북한산 국립공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인도 북동부의 동히말라야 상부 Siang 지역의 식물다양성 및 식생 조사 (Floristic diversity assessment and vegetation analysis of Upper Siang district of eastern Himalaya in North East India)

  • ;;;이중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2-246
    • /
    • 2012
  • 이 연구는 세계 39개 생물다양성 hot spot중에 하나인 인도 동부 히말라야 상부 Siang 지역의 식물상을 4년 동안 조사한 결과물이다. 이 지역의 식생에 대한 분석결과와 함께 조사된 총 1,003분류군, 110과, 529속, 994종, 1아종 그리고 8변종의 피자식물 목록을 첨부하였으며 1신종, 3미기록종 및 82특산종을 포함하고 있다. 초본과 관목의 다양성이 교목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과별로는 벼과, 콩과 그리고 난과 순으로 다양성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지역의 절멸위기에 처한 종들을 보고함과 동시에 급속한 도시화와 화전은 자연식생의 직접적인 절멸을 가속화하고 있어 이 지역의 자연유산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되기를 제안한다.

김치에 서식하는 Gram 양성세균의 분리 및 동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 임종락;박현근;한홍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4-414
    • /
    • 1989
  • 김치발효 중 Gram 양성세균 또는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종의 다양성은 분리배지와 온도에 영양을 받았고, 다양성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MRS는 세균의 분리에 KM(김치재료로 만든 자연배지)은 종의 수를 파악 하는데 각각 적합하였다. 분리균의 동정은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ogy (1986)를 기초로 하여 작성한 이 분농생표(dichotomous Identification scheme)에 의하여 선행하였다. 각 온도(5, 15, $25^{\circ}C$)에서 동정된 Gram 양성세균은 Leuconostoc 5종, Streptococcus 4종, Pediococcus 3종, Bacillus 2종 그리고 Ltobacillms 18종이였다. 각 온도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종은 $25^{\circ}C$에서 LactobaIlus ptantanmz, Streptococcµs faffinolactis, Leuconostoc maιnteroid, subsp mlsentιroides 이었고, $15^{\circ}C$에서 L. mesenteroides Lactobacillus fructosus, L. maen teroid,l.I subsp. mesent,roid, 이였고, $5^{\circ}C$ 에서 Leuconostoc sp.(65.2 빈도)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각 온도에 따른 김치발효 중 지금까지 알려진 Pediococcus cerevisiae 와 Streptococcus faecalis는 분리되지 않았다.

  • PDF

고도에 따른 한라산 구상나무와 주목의 외생균근균 다양성 비교 (Ectomycorrhizal Fungal Diversity on Abies korea and Taxus cuspidata at Two Altitudes in Mt. Halla)

  • 이지은;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9-208
    • /
    • 2019
  • 한라산 상부와 하부에 서식하는 구상나무와 주목의 뿌리에서 각각 외생균근균의 군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형태적 특징과 분자적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에서는 하부에서 6속 8종, 상부에서 7속 10종의 외생균근균을 확인하였다. 주목에서는 하부에서 4속 8종, 상부에서 6속 10종의 외생균근균을 확인하였다. 외생균근균의 종 다양성 지수, 종 균등도, 종 수는 숙주식물과 관계없이 상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균투 수는 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하부와 상부에서 구상나무와 주목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고도에 관계없이 구상나무의 뿌리에서 발견된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가 주목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 간 유사도나 구상나무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과 주목의 뿌리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구상나무가 주목과는 다른 특이한 외생균근균 군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기온 상승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구상나무의 보전과 자생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