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합관리계획

Search Result 6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bout Rural Landscape Resources - Centered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 -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 Lee, Dong-Kun;Ok, Ju-Hee;Hong, Chnn-Sun;Youn, So-Won;Park, Chang-Sug;Yoo, Heon-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1 no.2 s.27
    • /
    • pp.21-3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ning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 rural landscape. For suggesting the planning direction, this study was classified rural landscape resources based on spatial type to understand the assessment of rural landscape. This study examined literature reviews and site investigations for collecting the data on the resources of a rural landscape to maintain rurality. First above all, it was classified into physical and non-physical resources. Non-Physical resources include elements such as inhabitants' will, leaders' will and the software. It is also to reflect all these factors on the planning. Next, this study classified the resources of a landscape into artificial and natural resources and applied these resources to rural areas which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industry area, life area, natural landscape area, program area and human behavior area. The pictures obtained from this field survey were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to understand the value of a rural landscape.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presentation condition of a rural land-scape and assessment of a rural landscape. Especially, the value of a rural landscape was divided into the ecological value, socio-cultural value and holistic value.

Numerical Analsis of floating debris behavior for a barrier system design (저수지내 선 차단시설 계획을 위한 부유쓰레기 유동특성 수치해석)

  • Park, Jong-Pyo;Cho, Young-Kweon;Joo, Sung-Sik;Yeon, W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0-174
    • /
    • 2011
  • 홍수시 저수지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다량의 오염물, 협잡물은 저수지의 경관 및 수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홍수시 일시에 유입되어 표층에 부유하므로 수거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이 비교적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유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설물 설치는 필연적이다. 이렇게 부유쓰레기 수거를 위한 방법 중, 저수지 내부에 선 차단 시설을 설치하여 부유쓰레기를 홍수터로 유도하여 수거하는 방법은 일시에 많은 양의 부유쓰레기를 차단하게 되는데 유지관리,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쓰레기 수거를 위한 선 차단시설 운영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홍수시 저수지 내로 유입되는 유속흐름을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RMA-2 모형으로 해석하고, 저수지의 내 외부 지형분석을 통하여 시범 지구의 선 차단시설 설치 위치를 선정하였고, 3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FLOW-3D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선 차단시설 설치 시범지역 위치 선정을 위하여 저수지의 규모, 접근성, 시공 장비의 대여 편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흥저수지를 시범예정 구역으로 선정하였다. 저수지 내로 유입되는 유속특성을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RMA-2 모형으로 해석하여 시범 지구의 선 차단시설 설치 위치를 제안하고 홍수터 부지를 결정하였다. 부유쓰레기 유도를 위한 선차단시설은 저수지 급확대로 인한 유속 감소구간과 와류발생 구간이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범설치 지역인 기흥저수지 상류 급확대부에 선 차단시설을 제안하였다. 홍수터의 규모는 Armitage와 Rooseboom(2000)이 제안한 경험식을 바탕으로 $5,300m^2$을 제안하였으며, 기흥저수지 상류부 우안에 항아리 모양으로 설치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3차원 수치모형실험을 통하여 검토한 결과, 차단막 설치로 부유 쓰레기의 하류 이송은 차단되고, 원활하게 홍수터로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 PDF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land Value by Using GIS Analysis (GIS를 이용한 산지가치 구분)

  • Ha, Do;Kim, Young-Seup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6 no.4
    • /
    • pp.411-419
    • /
    • 2010
  • The type of forestland value was evaluated using various thematic maps,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 of Namyangju, Based on GIS analysis, forestland value was classified into 4 kind types; conservation, production, recreation, and development values. Finally, the comprehensive analysis map of forestland value was made according to the priority order of value assessment. Among the whole forestland of Namyangju, conservation value area is $195km^2$, high production value area $96km^2$ except the conservation value area, high recreation value area $59km^2$, and the high development value area is $11km^2$. Henceforward, The value evaluation system of forestland by using GIS is to be very applicable for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forestland, according to the periodic data update.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69-469
    • /
    • 2015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최적화된 도시유출모형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도시유역에 미치는 유출영향을 분석하였으며, MCS(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한 극치수문사상의 적용 및 유출분석을 통한 하천제방의 취약성 평가와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하천의 기후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Stability Analysis of Levee by Infiltration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침투해석을 통한 제방의 안정성 평가)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31-231
    • /
    • 2016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EEP/W 모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하천 제방을 바탕으로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안정성 평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Binary Power plant using unused thermal energy and Neural Network Controllers (미활용 열에너지를 이용한 바이너리 발전과 신경망 제어)

  • Han, Kun-Young;Park, Sung-D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10
    • /
    • pp.1302-1309
    • /
    • 2021
  •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Korean New Deal as a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to overcome the economic recession from the pandemic crisis and lead the global action against structural changes. In the Korean New Deal, the Green New Deal related with the energy aims to achieve net-zero emissions and accelerates the transition towards a low-carbon and green economy. To this end, the government plans to promote an increased use of renewable energy in the society at large. This paper introduces a binary power generation using unused low-grade thermal energy to accelerate the transition towards a low-carbon and green economy and examines a control system based on Neural Network which is capable maintenance at low-cost by an unmanned automated operation in actual power generation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alization of binary power generation accelerates int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along with solar and wind power.

A Study on Location Selection for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Elements at a City Level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 of a Development - (도시차원의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개발예정지역의 환경생태계획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

  • Kim, Hyo-Min;Kim, Kwi-G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3
    • /
    • pp.1-11
    • /
    • 2012
  • This study focused on establishing a natural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using rainwater meant for relatively large urban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a new town development. In particular, when the location selection techniques for individual elements of a natural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are developed for the integrated rainwater management, changes in hydrological environment will be minimized and the natural water circulation would be restored to realize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In that case, not only the excess will be reduced but water space and green areas in a city would also increase to improve the urban sustainability. First of all, there were five elements selected for the location selection of a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intended for the integrated rainwater management: rainwater collection, infiltration, filtration, retention and movement spaces. After generating these items, the location selection items and criteria were defined for each of the five elements. For a technique to apply the generated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a grid cel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m the suitability index theory, and thematic maps were overlapped through suitability assessment of each element and graded based on the suitability index. The priority areas were identified for each element. The developed technique was applied to a site where Gim-cheon Innovation City development is planned to review its feasibility and limitations. The combined score of the overlapped map for each element was separated into five levels: very low, low, moderate, high and very high.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creating a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conceptual map m the current land use plan based on the outcome of the application would be useful in building a water circulation system at the de1ailed space planning stage afte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Furthermore, we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means for environment-friendly urban planning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산업간호사의 일차 의료 직무 범위에 관한 연구

  • Kim, Hwa-Jung;Go, Bong-Ryeon;Kim, Sun-Rye;An, Min-Seon;Yun, Sun-Nyeong;Im, Ok-Sun;Im, Hye-Gyeong;Jeong, Hye-Seon;Jo, Dong-Ra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5-12
    • /
    • 1992
  • 본 연구는 1990년 7월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된 이후 새로이 명시된 산업간호사의 일차의료 직무의 범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산업간호사의 직무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노동부가 1991년 5월 직업병예방을 위한 종합대책 중 하나로 산업간호사의 직무 개발 계획을 포함시킨 이후 한국산업안전공단과 대한산업보건협회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특히 한국산업간호학회에서는 1992년 8월에 그간의 많은 논의와 연구를 기초로 하여 산업간호사의 일차의료행위에 대한 세부직무를 전문가의 의견 일치 방법을 통하여 개발하고자 연찬회를 개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찬회에서 논의된 결과와 기존 자료 등을 토대로 분석된 산업간호사의 일차의료직무 범위를 (1)산업 간호사의 건강사정 직무범위 (2)통상 증상 처치 직무 범위 (3)외상 및 응급 처치 직무 범위 (4)상병 악화 방지 직무 범위 (5)직업병의 추후관리 직무범위 (6)약품 투약 범위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들 범위를 근거로 각 범위 별 깊이를 구체적으로 개발하여야 산업간호사들의 직무범위와 깊이가 결정된다. 앞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직무 범위를 기초로 하여 구체적 직무 범위에 따론 깊이가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학교 도서관 활성화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 Byun Woo-Yeoul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3
    • /
    • pp.139-173
    • /
    • 200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in conducting the first year project of a five-year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and to suggest the alterative to the present system for the following years. The method of evaluation was to visit the 16 local ministries of education and to interview the government school inspectors, school principals, teachers-in-chief, teacher librarians and parent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school library facilities and increase in collection, enrichment of education W through school library, location of manpower and enhancement of profession and building the cooperation system wi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dditionally, school library service training and library support system were evaluated.

  • PDF

Security System Network Models for Security Accident Coping of Aviation infrastructure (항공기반시설의 보안사고 대응을 위한 보안체계 네트워크 모델에 관한 연구)

  • Jeong, Chang-Hwa;Shin, D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21-25
    • /
    • 2010
  • 항공기반시설(공항, 기상 서비스, 항로 항행시설)에 대한 보안사고 대응을 위한 보안체계는 수립단계에서부터 착수하여 분석이 진행됨에 따라 세부적인 평가가 수행되어야하며, 시설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된 시설에 대하여 재평가를 하여야 한다. 또한 항공기 운용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각종 사고에 대한 사전 예방 및 정비를 위해서도 체계적인 보안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보안성 평가에는 계획(Plan), 활동(Do), 그리고 평가(Check), 조치(Action)업무가 네트워크 구조로 통합되어 적용되며, 과거의 사용 또는 경험에 따라 세분화된 보안성 평가 요구조건을 구분하여 적용한다. 특히 항공기반시설에 대한 보안성 입증과 안전한 운항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시간 지원체계와 국가 차원에서 이를 관리하여야 한다. 이는 공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민간항공업체는 해당 법규, 표준서 및 지침 등에 따라 최소한의 보안성을 입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반시설에 대한 보안사고 대응을 위한 보안체계를 위해 설정된 보안의 목표를 충족하고 있는지를 확인 평가하고, 분석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보안성 평가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체계 네트워크 모델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