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양침습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4초

상악동 후벽을 침습한 상악암의 절제를 위한 측두하와의 전방 접근법 (Anterior Approach to the Infratemporal Fossa in Cases of Posterior Wall Invasion of Maxillary Cancer)

  • 최은창;윤주헌;김영호;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8-136
    • /
    • 1994
  • Maxillary cancer is usually detected late, and the majority of patients have advanced($T_3\;or\;T_4$) diseases at the first diagnosis. It invades outside the maxillary antrum, superiorly the orbit, ethmoid sinus and the anterior cranial base, anteriorly the facial skin. If the cancer extends through the posterior antral wall, the pterygoid plates, pterygoid muscles and infratemporal fossa are to be involved that make the conventional maxillectomy impossible to remove all the involved structures in infratemporal fossa completely. So, more extensive surgical apprdoach is necessary. We report surgical experience using infratemporal fossa approach(lateral facial approach) in four cases of maxillary cancer and one case of hard palate cancer which extends through the posterior antral wall and involving pterygoid muscles, pterygoid plates and temporalis muscle.

  • PDF

최소침습 방사능 유도 부갑상선 수술 (Minimally Invasive Radio-guided Parathyroid Surgery)

  • 정웅윤;장항석;이종두;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199
    • /
    • 1999
  • Introduction: Since 1996, Dr. James Norman has successfully performed mimimally invasive radio-guided parathyroidectomy(MIRP) using intraoperative nuclear mapping with $^{99m}Tc$ sestamibi scanning and radioactivity detection probe. Objectives: We aimed to introduce this new surgical technique and evaluate it's efficacy by our own experiences. Method: From May to October 1999, five consecutive patients with primary hyperparathyroidism underwent parathyroidectomy by using modified MIRP technique. $^{99m}Tc$ sestamibi scanning was performed 1.0 or 1.5 hour before operation. After intraoperative localization of the tumor under the guidance of quantitative gamma counting with a NEVIGATOR probe, an unilateral small skin incision(3.0-4.0cm) was placed. Without a skin flap, the strap muscle was directly divided with the use of a Harmonic scalpel. After careful dissection, the parathyroid tumor was removed. Result: In all patients, a single adenoma could be easily detected and removed by this new technique. Mean incision length was 3.2cm(3.0-4.0cm) and operative time ranged from 40 to 110minute. All the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in 2 days of surgery without any complication. Conclusion: This new operative technique could become the most minimally invasive alternative to the standard operative procedure for parathyroid adenoma.

  • PDF

악성 기관-기관지 종양에 대한 냉동 수술법 (Cryosurgery for Malignant Endobronchial Tumor)

  • 조종호;김광택;이성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8
    • /
    • 2012
  • 냉동 치료의 장점은 비침습적이며 통증이 없고 재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고위험군, 재발환자 등에서 국소암 치료로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외부영상과 굴곡내시경을 통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내시경으로 표적부위만을 냉동하기 때문에 주변조직의 손상이 거의 없으며 심폐 기능에 큰 위험을 주지 않는다. 처음 치료 후에도 치료를 한 부위나 다른 부위에도 여러 번의 추가적 치료가 가능하므로 치료로 불완전한 부분을 추가적으로 치료를 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냉동 수술의 특성을 잘 이용하여 적절한 환자에게 적용한다면, 기관-기관지의 폐색을 일으키는 악성 종양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방법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PDF

갑상선 전절제술 과거력이 있는 부갑상선 선종 환자에서 수술 중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최소침습 부갑상선 절제술 1예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using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in Parathyroid Adenoma Patients with a History of Total Thyroidectomy)

  • 남윤빈;정현택;이상목;김지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30
    • /
    • 2023
  • A 65-year-old patient who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10 years ago was suspected of having a parathyroid adenoma, and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was planned. Preoperative ultrasonography(USG) and 99mTc MIBI scan indicated a left lower parathyroid lesion. In the first operation, intraoperative parathyroid hormone monitoring (IOPTH) was not possible due to hospital circumstances. Although no adenomatous lesion was found in the expected surgical field, surgery was completed after removing lesions around the left lower parathyroid gland. However, post-surgery, parathyroid hormone did not decrease at all, so a second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IOPTH preparation. In the second operation,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and a suspected adenoma lesion was removed from the left upper lesion. He has been under follow-up for 3 years without complications. Surgeon-peformed intraoperative USG and preoperative scintigraphy had advantages in determining the localization of parathyroid lesion even withiout IOPTH.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의 적응증을 넘어선 조기위암의 미세침습 치료 후 장기 추적 결과 (Long-term Outcome after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beyond the Indication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고원진;조주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44-49
    • /
    • 2017
  • Background: 최근 제안된 조기위암에 대한 미세침습 치료법은 내시경점막하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혹은 종양 부위를 전층 절제(endoscopic full-thickness gastric resection, EFTGR)을 통해 위 절제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복강경을 통해 감시림프절 절제(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 SLND)를 시행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제시했었고, 이들을 각각 ES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ith laparoscopic 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 Hybrid-NOTES (endoscopic full-thickness gastric resection with laparoscopic 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라고 명명하였다. 본 고에서는 림프절 전이 위험성이 높은 조기위암에 대해 이 두 치료법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장기 추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Methods: 이 후향적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2013년 5월 중에 ESN 혹은 Hybrid-NOTES를 시행받은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Results: 총 42명의 환자들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ESN 21명, Hybrid-NOTES 21명이 각각 등록되었다. ESN을 시행받은 21명 중 4명, Hybrid-NOTES를 시행받은 5명은 이 미세침습수술 후 추가 수술을 받아야 했다. 아직까지 이 수술 후 사망 환자는 없지만 ESN을 시행받은 1명의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어 항암치료를 받고 있다. Conclusion: 조기위암의 미세침습 수술인 ESN 혹은 Hybrid-NOTES는 좋은 장기 추적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방법들은 향후 림프절 전이 위험성이 높은 조기위암에서 ESD와 gastrectomy 사이에 속한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 PDF

수막 혈관주위세포종 환자에서의 수술과 방사선치료 -증례보고- (Meningeal Hemangiopericytoma Treated with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 Case Report -)

  • 장지영;오윤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49-155
    • /
    • 2006
  • 수막에 발생하는 혈관주위세포종은 경질막에 기초한 드문 종양으로서 국소재발과 함께 신경축이나 신경외 장소로 원격전이를 일으킬 수도 있다. 저자들은 수막에 발생한 혈관주위세포종 환자 2예에서 수술 전 방사선치료와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각각 경험하였기에 방사선치료의 역할에 관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한다. 첫 번째 증례는 41세 남자로 3개월 동안 두통과 우측 반부전마비가 있었다. 1차 수술과 2차 수술 시 종양은 거의 제거할 수 없었고 수막 혈관주위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수술 전 방사선치료를 좌측 전두두정부의 큰 잔여종양에 일 회에 1.8 Gy씩 31회에 걸쳐 총 55.8 Gy를 조사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CT검사상 종양은 현저하게 크기가 줄었고 방사선치료 후 6개월에 시행한 3차 수술 시 잔여 종양의 크기는 $2{\times}2cm$로 완전히 제거되었다. 추적 CT검사상 국소재발의 소견은 없었고, 1차 수술 후 4년 10개월 동안 원격 전이 없이 생존하고 있다. 두 번째 증례는 45세 여자로 갑작스러운 두통과 시력 장애로 수막종이 의심되어 종양제거수술을 받았는데 조직 검사상 우측 전두엽에 발생한 혈관주위세포종으로 진단되었으며 시상동을 침습한 소견을 보였으나 완전히 제거되었다. 국소재발을 줄이기 위해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의뢰되었고 방사선치료는 우측전두엽 부위에 일 회에 1.8 Gy씩 30회에 걸쳐 총 54 Gy를 조사하였다. 수술 후 5년 동안 국소 재발이나 원격전이 없이 정상적인 활동을 유지하면서 생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종양성형학적 유방암 수술에 대한 최신 동향 (Recent Perspectives on Oncoplastic Breast Surgery in Korea)

  • 강태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63-569
    • /
    • 2020
  • 유방암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종양성형학적 수술이란 종양학적 안정성과 성형적 만족도를 모두 충족시키는 수술을 일컫는 용어이다. 처음 시작한 서양에서는 적은 절개나 절제, 미세침습수술을 지향하기 보다 유방축소술을 기본으로 제거될 조직에 병변을 포함하도록 계획한다. 충분한 절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전 검사, 절제연에 대한 고민, 수술 중 병리 검사의 필요성 등도 줄면서 종양학적 안전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왔다. 개개인의 체형에 대한 병변의 종양학적 안정성을 충족시키는 최소 절제 비율에 따라 전위 또는 보충으로 나뉘게 된다. 환자의 기본 체형은 인종적인 영향을 받는 유방암의 특징으로, 유럽,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평균 크기가 대개 36D(600 ㎤) 이상으로, 유방고정술이나 유방축소술이 주로 사용되고, 성형 측면의 최대 목표인 대칭을 위해서는 반대측 유방의 축소도 흔히 이루어지고 있다. 부산대학교병원 유방암 환자 671명의 평균 분포를 분석해 본 결과, 평균은 33A (75%, <35B)로, 대략 체적은 300 ㎤ (75%, <400 ㎤)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서양과는 다른 수술법이 선택될 수 밖에 없다. 수술 전 MRI를 이용한 범위의 확인을 통한 대상 선정과 함께 초음파와 피부 표식을 이용한 정확한 절제 범위의 계획도 중요하다. 병리적 판독 기준도 절제연 음성이면 종양학적 안정성에 충분하다는 것으로 관점이 바뀐 것은 보존 수술에 유리한 측면이 된다. 동결절편검사는 여전히 고급 전문 인력, 시간이 지나치게 소요되고 있어 편리하고 안전한 병변의 절제에 도움이 될 만한 새로운 방법들이 필요하여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최근 연구로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는 margin probe, 형광 색소를 결합한 Aqueous Quantum-Dot-Molecular Probes 등을 들 수 있다. 합병증 측면에서 박리 면적이 늘어나는 종양성형학적 수술의 단점을 보강할 수 있는 최근 기술로 초음파 에너지 기구들이 유용하고, 수술 범위가 늘어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혈종이나 장액 저류의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후두 편평세포암에서 암억제유전자 단백 및 상피성장인자 수용체 발현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Oncosuppressor Gene Protei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Larynx)

  • 정광윤;최종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5-85
    • /
    • 1993
  • 후두 편평세포암은 종양세포의 생물학적 특성과 발생부위별 미세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임상적 병기만으로 예후를 추정하는 것은 다소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종양세포의 유전정보에 의한 증식능이 예후와 연관성이 있는지 규명하고자 EGFR, p53 단백 및 pRB의 표현양상을 후두 편평세포암 40례의 임상적 특성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p53 단백의 양성 표현율은 임상적 병기, 원발병소의 병기, 경부 림프전이절의 병기,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재발이나 원격전이 흑은 이차암이 있었던 경우와 연관성이 높았다. 2. pRB의 음성 표현율은 침습성이 강한 성문상분, 임상적 병기, 원발병소의 병기, 병리 조직학적 분화도, 재발이나 원격전이 혹은 이차암, 치료에 실패한 경우와 연관성이 높았다. 3. 3년생존율은 p53의 양성표현율과 관계가 있었다. 4. EGFR은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53 단백과 pRB의 암억제유전자 단백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한 표현양상은 후두 편평세포암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양 즉 인자들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어 후두 편평세포암의 악성도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 예후인자로서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개 비강종양의 자기공명영상학적 평가 1예 (Magnetic Resonance Imaging Diagnosis: Nasal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in a Dog)

  • 최치봉;조익현;김휘율;배춘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68-672
    • /
    • 2005
  • 10년령의 잡종견이 2개월 전부터 지속적인 기침, 혈액성 비루 및 개구호홉을 주증으로 내원하였으며 혈액검사, 두부 X-ray촬영 및 두부 MRI촬영을 실시한 결과 빈혈소견과 함께 MRI 촬영에서 두개내강으로 파급되지 않은 비강종양으로 추정되는 큰 mass가 비강쪽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축주의 요청에 의해 이틀 후 안락사하여 부검 후, 병리조직 검사를 실시한 결과 비강 선편평세포암종임을 확인하였다. 본 증례를 통하여 비강종양과 같이 두경부 병변에 있어서 자기공명영상진단법(MRI)은 고전적 방사선학적 검사법에 비교하여 종괴의 침습성과 파급정도를 정확히 평가함으로써 치료방향의 설정과 그 예후를 평가함에 있어 뛰어난 검사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암 동물 모델에서 2'-fluoro-2'-deoxy-1-${\beta}$-D-arabinofuranosyl-5-[$^{124}I$iodo-uracil ($[^{124}I]FIAU$) 소동물 PET 영상 연구 (Small Animal PET Imaging with [$^{124}I$]FIAU for Herpes Simplex Virus Type 1 Thymidine Kinase Gene Expression in a Hepatoma Model)

  • 채민정;이태섭;김준엽;우광선;정위섭;전권수;김재홍;이지섭;류진숙;천기정;최창운;임상무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3호
    • /
    • pp.235-245
    • /
    • 2008
  • 목적: 간암은 치명적인 질환으로 유전자 치료가 기존 치료의 대체적 치료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치료법의 발달과 함께 유전자의 발현을 평가할 수 있는 보고 유전자 시스템의 필요하다. 그 중 HSV1-tk 유전자는 보고 유전자로서 필요한 조건을 두루 만족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치료유전자를 따로 이입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연구는 간암의 유전자 치료를 위해 간암 동물 모델에서 유전자로 HSV1-tk를 사용하고 보고 기질로 방사성 요오드 표지 2'-fluoro-2'-deoxy-1-${\beta}$-D-arabinofuranosyl-5-iodouracil (FIAU)를 사용하여 소동물 양전자 방출영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을 얻어 비침습적 생체 유전자 발현 영상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HSV1-tk 보고 유전자 이입 간암세포주인 MCA-tk와 MCA 세포주를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의 [$^{125}I$]FIAU의 섭취실험과 섭취량과 발현량의 상관성평가를 위해 세포수 백분율에 따른 섭취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하 간암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125}I$]FIAU의 생체분포를 평가하였으며 [$^{125}I$]FIAU를 이용하여 소동물 PET을 통한 생체영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HSV1-tk 유전자가 이입된 MCA-tk 세포에서는 특이적인 동위원소의 집적이 발생하였으며 대조군인 MCA에서는 거의 집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섭취 후 480 분에서 두 세포주의 섭취비는 15 배로 나타났다. MCA-tk 세포주의 백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125}I$]FIAU의 섭취량도 직선적 상관관계($R^2=0.9644$)에 따라 증가하여 기질의 섭취량이 유전자 발현량을 잘 반영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피하 종양 동물모델의 생체분포 결과 [$^{125}I$]FIAU는 초기에 신장으로 빠르게 배출되며 1 시간 이후 생체내 deiodinase에 의하여 분해되어 위와 갑상선의 섭취가 증가된 값을 보였다. MCA-tk 종양 대 혈액 비와 MCA-tk 종양 대 근육 비는 투여 후 24 시간 사이에 최대 641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HSV1-tk 유전자가 발현하지 않은 MCA종양에 비하여 MCA-tk 종양은 192.7 배 높은 섭취를 보여 [$^{125}I$]FIAU의 섭취는 HSV1-tk 유전자 발현에 특이적임을 확인하였다. MCA-tk 종양 대 간의 집적의 경우에도 초기 1시간에 13.8 배, 4 시간에 66.8 배, 24 시간에 혈액 비와 비슷한 정도의 588.3배 이상의 대조도를 보여 주었다. [$^{124}I$]FIAU를 보고 기질로 사용한 소동물 PET 생체영상에서 대조군인 MCA 종양과 보고 유전자가 이입된 MCA-tk 종양에의 집적이 차이가 매우 큰 대조도를 보여주었으며 생체분포 결과와 일치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125}I$-FIAU가 세포 섭취율 시험과 생체 분포에서 MCA-tk 종양에 높은 집적을 나타내었고 $^{124}I$-FIAU를 이용한 소동물 PET 영상에서 MCA-tk 종양이 표적장기인 간이나 MCA 종양에 비하여 매우 높은 대조도를 나타냈다. 향후, 간암의 유전자 치료에서 FIAU은 HSV1-tk를 보고 유전자로 사용할 때 적절한 기질로서 비침습적으로 핵의학 영상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의 평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