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양단백질

Search Result 23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전자파에 대한 생체 반응

  • 박웅양;서정선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2 no.2
    • /
    • pp.62-70
    • /
    • 2001
  • 우리 나라 인구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수의 이동통신 전화가 사용되고 있다. 이동 전화 사용자의 수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며, 또한 이를 이용한 각종 정보의 교환이 늘어남으로써 개인당 사용량도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빈도의 증가와 더불어 이동전화에 의한 뇌종양, 유방암 및 기형 등 각종 인체 질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전자파는 크게 이미 잘 알려진 전자기장이나 자외선, 방사선 등과 인체에 대한 효과가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주파수 대역이 전혀 다르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의 크기만으로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외선이나 방사선처럼 전자파도 인체 질환을 유도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전자통신제품 사용의 증가에 따라 전자파에 대한 생체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사용에 따라 암발생이 증가하고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역학 및 생물학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 보다 더 많은 수의 논문들이 전자파와 종양 발생이 관련 없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란은 더 많은 연구와 토론이 필요할 것이다. 정확한 이동전화 주파수대역 전자파가 생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전자파 자체의 생물리학적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자파에 대한 인체 영향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DNA나 단백질 같은 분자수준에서 세포나 실험동물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포 수준의 연구는 전자파와 한 종류의 세포의 관계를 직접 분석할 수 있다. 세포내에서 DNA나 단백질의 변화는 바로 조직 및 장기내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하지만 생체내에서는 하나의 세포가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것보다 면역계, 신경계 및 순환계 등 타 장기나 세포의 영향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세포 수준에서 전자파만의 효과를 장기나 개체내에서 분석하는 전자파에 의한 종양발생 관계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자파 중에서 이동전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생체 연구는 많지 않으나 이들로부터 이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에 대한 생체 영향 평가 자료를 많이 모을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면 핸드폰과 전자파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수준에서 생체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전자파 노출에 대한 효과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XXXIV) -Antitumor Components of Ramaria formosa- (한국산(韓國産) 고등(高等) 균류(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제34보) -붉은싸리버섯의 항암(抗癌) 성분(成分)-)

  • Yoo, In-Sook;Woo, Myoung-Sik;Choi, Eung-Chil;Kim, Byong-Kak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10 no.4
    • /
    • pp.165-171
    • /
    • 1982
  • To investigate antitumor components of Korean higher fungi, the carpophores of Ramaria formosa $(Fr.)Qu\acute{e}l$. were collected in Gang Won Province and extracted with hot water.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and precipitated by four volumes of ethanol. The precipitate was centrifugated and purified by dialyzing through Visking tube and a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action was obtained. The fraction was tested for antitumor activity against sarcoma 180 implanted in mice. The tumor inhibition ratio of the fraction was 66% in the dose of 50mg/kg/day for the period of ten days. The tumor in two of the eight mice was completely regressed. The components of the fraction were found to be a polysaccharide and a protein. The chemical analysis of the fraction showed that the polysaccharide moiety consisted of four monosaccharides and that the protein moiety contained fourteen amino acids.

  • PDF

Snake Venom from Vipers Lebetina Turanica Inhibits Tumor in a PC-3 Cell Xenograft Model and PC-3 Cell Growth in Vitro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의 PC-3 세포성장 억제)

  • Kang, J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2
    • /
    • pp.1-14
    • /
    • 2007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의 사독약침파(蛇毒藥鍼波)(Snake venom toxin, SVT)이 in vitro에서 $NF-{\kappa}B$의 활성억제와 apoptosis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지 in vivo에서 또한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Apoptosis evaluation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Apoptosis regulatory proteins의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apoptosis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시행하였으며,SVT의 핵내이동을 관찰하기 위해 Immunofluorescence Staining, Confocal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였으며,전립암세포의 종양형성에는 흉선을 제거한 쥐에 Tumorigenecity study를 시행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전립선 암세포의 성장,Apoptosis의 유발,Apoptosis관련 단백질의 발현,$NF-{\kappa}B$의 활성,SVT의 PC-3세포 핵내 이동여부 및 흉선제거 후 PC-3 세포를 이식한 쥐의 종양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세포성장이 억제되고,세포자멸사가 유도되며,조절인자인 p53, caspase-3, -9는 증가되었고,Bcl-2는 감소되었다. 2. PC-3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DAPI로 염색된 상태에서 SVT가 PC-3 세포의 핵내로 이통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4. 흉선제거 후 전립선 암세포주를 이식한 쥐에서 SVT를 피내로 주입한 결과 전립선암의 크기와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이를 재확인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향후 SVT의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duction of Stress Proteins in the SCK Tumor Cells (SCK종양 세포에서Stress Protein의 합성유도)

  • 강만식;김경희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1 no.3
    • /
    • pp.157-164
    • /
    • 1988
  • SCK tumor cells were exposed to heat shock or several sulihydryl-reacting agents such as iodoacetamide(IAA), zinc chloride(Zn), and 2-mercaptoethanol(ME). Stress proteins induced by these agents were exam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ction of stress proteins and the production of abnormal proteins was discussed. Based on the present experiments, two classes of intracellular pathways for the induction of stress proteins were defined; one dependent on and the other independent of protein synthesis. The presence of cycloheximide during the induction period blocked the formation of stress proteins in the cells exposed to Zn or ME, but not in those exposed to heat shock or IAA.Therefore, stress protein seems to be induced either by denaturation of pre-existing mature proteins (e.g., heat shock or IAA) or by newly synthesized abnormal proteins(e.g., Zn or ME). In conclusion, it is ilkely that the production of abnormal proteins by stresses triggers stress protein indu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ells exposed to IISP and GRP inducers simultaneously responded to more strong stress among several stresses encountered.

  • PDF

Effect of Adenovirus-p53 to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s (Adenovirus-p53이 비소세포폐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종호;이춘택;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1 no.12
    • /
    • pp.1134-1146
    • /
    • 1998
  • Background: The tumor suppressor gene p53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altered genes in human tumors, including those of the lung. There is now a compelling evidence that wild-type p53 can negatively influence cell growth by causing G1 arrest or by inducing apoptosis. The possibilities of using p53 for gene therapy are also gathering much interest. Material and Method: Our approach towards understanding p53 function would be to study the biological consequences of overexpression of wild-type p53 in normal and tumor cells by using adenovirus vectors capable of giving high levels of the p53 gene product in cells. We have used this vector containing wild-type p53 to infect tumor cells with different p53 status (null, mutant, or wild-type) to confirm that expression of p53 in null or mutant cell lines becomes possible by Adenovirus-p53 transduc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high levels of p53 expression on the growth properties of tumor cells, to evaluate the role of apoptosis in p53-mediated biological effec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denovirus-p53 on the tumorigenicities of the lung cancer cell lines in vitro. Result: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ed that cells expressing endogenous mutant p53 and those devoid of p53 expression altogether were significantly more sensitive to Adenovirus-p53-mediated cytotoxicity compared to tumor cells expressing endogenous wild-type p53 and that overexpression of wild-type p53 induced programmed cell death. Also we knew that Adenovirus-p53 significantly reduced tumor colony formation of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s, and decreased the growth of pre-formed colonies in vitro.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enovirus is an efficient vector for mediating transfer and express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and that the tumor cells null for p53 or expressing mutant p53 readily undergo apoptosis by Adenovirus-p53.

  • PDF

Altered Biodistribution of Gallium-67 in a Patient with Multiple Factors Influencing Iron-transport Protein Saturation (철운반단백질 포화정도에 따른 Gallium-67 체내분포의 변화: 증례보고)

  • Choi, Joon Young;Kim, Sang Eun;Lee, Kyung Han;Kim, Byung-Tae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2 no.1
    • /
    • pp.114-119
    • /
    • 1998
  • We present a case of a young female patient with fulminant hepatitis who showed an altered biodistribution of Ga-67, after being scanned twice at 10 month intervals. On initial scan, uplake of Ga-67 was increased in the liver, kidneys, and skeletons. Increased hepatic Ga-67 uptake may be explained by increased transferrin unbound Ga-67 that was taken up by the inflamed liver. The saturation of iron-binding proteins due to multiple transfusions may lead to increased renal and skeletal Ga-67 uptake. On follow-up scan hepatic Ga-67 uptake was markedly increased. Also increased Ga-67 uptake in the axial skeleton and normalized renal uptake were shown. Th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iron deficiency anemia. This case demonstrates altered Ga-67 biodistribution associated with multiple transfusions, fulminant hepatitis, and iron deficiency anemia.

  • PDF

A Possible Target for the Heat Inactivation of SCK Tumor Cells

  • 강만식;정주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2 no.4
    • /
    • pp.305-313
    • /
    • 1989
  • The present investigation aims at inquiring into a possible target for the heat inactivation of SCK tumor cells by comparing the kinetics of cell survival, rate of protein synthesis, and DNA polymerase activity in the presence of heat protector or heat sensitirer. A possible conclusion to be drawn from the present experiment is that there is no direct correlation between cell death and decrease in the rate of protein synthesis, but that the loss of DNA polvmerase $\beta$ activity correlates quite well with cell inactivation. Thus, protein degrada-tion and/or abnormal protein synthesis causes cell inactivation innireuv, possibly by altering the cellular environment which in turn affects the DNA polymerase $\beta$ activity. Accordingly, further studies, dealing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the cellular environment and DNA polymerase $\beta$ activity, are needed to set insight into a possible target for the heat inactivation of cells. 본 연구는 열보호제 또는 열증감제의 존재하에서 세포 생존곡선, 단백질 합성률, DNA 중합효소 $\beta$의 활성변화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SCK 종양세포가 열에 의해서 불활성화될 때의 표적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 추정하건대 열에 의한 세포치사는 단백질 합성률의 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나, DNA 중합효소 $\beta$의 활성도와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단백질의 분해 또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합성이 세포의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것이 DNA 중합효소 $\beta$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간접적으로 세포의 치사를 초래할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의 열불화성화의 표적을 좀더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는 세포의 환경변화와 DNA 중합효소 $\beta$의 활성과의 관계를 추구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xpression of Human p53 Gene as Glutathione S-transferase Fusion Proteins in Escherichia coli (사람의 p53 유전자와 Glutathione S-Transferase와의 융합 단백질의 대장균에서의 발현)

  • 오상진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1 no.4
    • /
    • pp.279-285
    • /
    • 1993
  • Alterations of the p53 gene arc among the most frequent genetic changes in human cancer and often result in increased levels of p53 protein within the malignant cells. Detection of accumulated p53 protein can be a useful prognostic tool in human cancer. In order to make polyclonal antibodies for immunohistochemical screening. human p53 gene was expressed in E. coli in the form of GST (glutathione S-transfi.:rase) fusion proteins. Two p53 gene fragments. which were N('()I small fragment encoding amino acid residues of 1-151-: and Ncol large fragment of 159-393. were subeloned into the unique BamHI site present within the pGEX-2T vector using BamHI linker and recombinant plasmids pGTNS and pGTNL were constructed. respectively. The p53 cDNA fragment (from pC53-$SN_3$,) encoding amino acid 38-145 (proline at residue 72)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The amplified DNA was digested with BamHI and Prull and inserted into the BamHI-Smal sites of pG EX-2T and recombinant plasmid pGTBP was constructed. After IPTG induction of these plasmids for 4 hours. fusion proteins were purified from E. coli extracts with glutathione Sepharose beads. The bound proteins were resolved by 10%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the molecular weights were 54 kDa. 53 kDa and 40 kDa. respectively. Approximately one milligram of fusion proteins were purified from 1 -liter cultures.

  • PDF

고 선량율 근접 및 온열치료 병용 삽입관의 제작과 특성

  • 추성실;김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52-52
    • /
    • 2003
  • 악성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중 방사선과 온열요법은 가장 강력한 치료방법으로 연구되어왔으며 이를 병용함으로 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체조직에 41$^{\circ}C$ 이상의 열을 가하면 세포질의 단백질변성으로 세포에 손상을 주어 세포가 사멸하게 되며 세포의 생존율은 가열시간 즉 열량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온열은 세포주기중 방사선 저항성이 매우 큰 DNA 합성시기와 산도가 높을 때 감수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방사선과 병용요법은 상호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온열을 이용한 악성종양의 치료가능성은 생물학적 기초연구와 임상시험에서 경이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아직 까지 가열방법과 온도분포측정이 큰 과제로 남아있으며 주위건강조직의 가열을 피하면서 인체 깊은 곳에 존재하는 종양에만 집중 가열하는 방법인 삽입형 온열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 한편 방사선 치료방법은 주위 건강조직의 피폭을 최소로 줄이고 종양에만 집중 조사가 요구되며 자궁암, 유방암, 뇌암등 부피가 작고 집중적 치료를 요하는 종양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근접 삽입치료 (Brachyradiotherapy)가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방사선과 온열의 병행 치료를 위하여 방사선 삽입 치료에 사용한 선원 삽입관을 그대로 두고 삽입관 속에 방사성 동위원소 대신 온열 전극을 넣어 열을 가하는 방사선 온열 병용치료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방사선과 온열병용에 사용할 최적 삽입관의 제작과 이에 따른 온도분포의 측정과 최적삽입방법을 결정하였다. 방사선 삽입치료용 폴리에찌렌 삽입관의 외부에 금박을 입혀 라디오파 첨극을 삽입할 때 서로 연결되도록 고안 제작함으로서 방사선 삽입치료와 자입식 온열치료를 동시에 만족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병용삽입관 (Flexible thermoradiotherapy probes)을 제작하였다. 전도율이 큰 금박부위가 직접 조직에 접촉됨으로 라디오파의 전달이 용이하며 금박의 길이를 2 cm 에서 5 cm 로 구분제작 함으로서 종양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디오파를 이용한 온열분포의 측정은 인체조직과 전기적 특성이 비슷한 물질인 한천 팬텀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분포 측정은 열전대와 서머그람으로 시행하였다. 생체조직 내에서의 온도분포와 온열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직접 개의 뇌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4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43$^{\circ}C$로 50분간 가열하고 일주일후 개를 회생시켜 개 뇌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한편 팬텀 표면에서 중앙부로 안테나 길이가 2 cm 인 4 개의 전극을 1 cm 간격으로 정사각형이 되도록 삽입하여 가열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반경 1.25의 원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었고 종단면상 삽입관의 길이에 따라 균일한 온도분포가 이루어졌다. 전극을 2 cm 간격으로 삽일 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1.75 반경으로 거의 4 각형의 균일한 분포를 얻었으나 전극의 간격이 증가하면 전도율이 떨어져서 전극 중심부에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형성하였다. 동물실험에서 정상 개의 뇌 실질에 자입하여 직접 정방형의 중심을 43$^{\circ}C$로 유지하며 50분간 온열 요법을 시행한 후 관찰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liquefactive necrosis, pyknosis of neuronal element 및 polymorphonuclear leukocytes들의 회백질에서 급성기에 관찰되었고 liquefactive necrosis 주위에 lipid-laden macrophage들이 관찰됨이 공통적인 특정이었으며 후기변화로 괴사조직 주위로 신경교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 PDF

Comparison of $Na^+/I^-$ Symporter Expression Rate in Malignant and Benign Thyroid Diseases: Immunohistochemical Study (악성 및 양성 갑상선 질환의 조직에서 면역조직학적 검사법에 의한 $Na^+/I^-$ symporter의 발현율 비교)

  • Kang, Do-Young;Jeong, Young-Jin;Lee, Kyung-Eun;Park, Heon-Soo;Yoo, Young-Hyun;Roh, Mee-Sook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v.40 no.1
    • /
    • pp.9-15
    • /
    • 2006
  •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not showed consistent results for the level of expression of sodium/iodide symporter (NIS) in thyroid diseases, especially malignant tumor. We undertook this study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NIS expression in malignant thyroid diseases and compare with that in benign thyroid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otal patients were 119 cases (Men 15, $48{\pm}13$ yrs). Total number of samples were 205 pieces. In malignant thyroid disease, there were 153 samples: 90 in papillary carcinoma, 4 in follicular carcinoma, 2 in medullary carcinoma and 57 in metastatic lymph node. In benign thyroid disease, there were 52 samples: 36 in goiter/cyst, 11 in thyroiditis and 5 in follicular adenoma. Using immunohistochemical methods, we probed 205 samples with monoclonal anti-NIS Ab. Grading of staining was stored as 0 (negative or absent), 1 (weakly positive), 2 (moderately positive) or 3 (strongly positive). Expression rate (ER) of NIS positivity in individual disease entity was expressed as percentage of total number divided by number in 2 plus 3 grade. Results: ERs of malignant thyroid diseases were 63% in papillary carcinoma, 81% in metastatic lymph node, 71% in follicular carcinoma and 100% in medullary carcinoma. ERs of benign thyroid disease were 53% in goiter/cyst, 64% in thyroiditis and 40% in follicular adenoma. ER of malignant thyroid diseases was higher than benign thyroid diseases (71% vs 54%). Grading of NIS expression in papillary carcinoma or goiter/cyst was heterogeneously distributed in considerable cases. Normal tissue also showed heterogeneous distribution of NIS expression, which was not correlated with that of primary lesion. Conclusion: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distribution of NIS expression was heterogeneous and increased, and not different compared with that of benign thyroid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