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시(終始)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9초

노후 줄눈 콘크리트 포장 보수를 위한 얇은 연속 철근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의 초기거동 평가 (Early Age Behavior of Thin Bonded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Overlay on Aged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

  • 류성우;남정희;김기헌;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21-1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노후 콘크리트 포장의 효율적 유지보수를 위하여 국내 최초 적용된 Thin Bonded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Overlay (CRCO) 공법의 초기 공용성이 평가되었다. 서해안 고속도로의 표층 파손 구간에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 (JPCP) 덧씌우기와 CR8O 공법을 이용한 보수가 진행되었다. JPCP 덧씌우기 공법이 적용된 구간에서는 인접 슬래브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덧씌워진 층의 줄눈을 완전히 커팅하였으며, CRCO 공법이 적용된 구간에서는 0.5% 종방향 철근과 위치 고정용 횡방향 철근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덧씌우기를 수행하였다. 두 구간 모두에서 3종시멘트가 이용되었다. 현장 강도 시험 결과, 1$\sim$3일 내에 교통개방이 가능한강도가 발현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vibrating wire gauge (VWG) 데이터 분석 결과 CRCO 공법이 기존 포장의 줄눈 거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강도 시험결과, 재령에 상관없이 높은 부착강도가 확인되었다. 한편 JPCP 덧씌우기 공법이 적용된 구간에서는 중앙부에서, CRCO 공법이 적용된 구간에서는 CRCO 포장과 같은 무작위 횡방향 균열이 관찰되었으며, CRCO 공법의 균열폭 거동이 JCP 보다 50%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선별된 Pseudomonas sp. BLP2052와 Flavobacterium sp. BLP20515의 폐하수 처리 특성 (Wastewater Treatment Characteristics by Pseudomonas sp. BLP2052 and Flavobacterium sp. BLP20515 Isolated from Sewage)

  • 박철환;최광근;임지훈;이상훈;김상용;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53-159
    • /
    • 1999
  • 경기도 구리시의 장자연못으로부터 15가지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그 중 폐하수의 COD 제거율이 우수한 두 균주 Pseudomonas sp. BLP2052와 Flauobacterium sp. BLP20515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두 균주 모두 생장 최적 조건은 pH $70^{\circ}C$, $30^{\circ}C$ 였으며 넓은 pH 범위에서 생장이 가능하였다.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하여 단일균주 및 복합균주를 이용한 폐하수의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두 균주 Pseµdomonas sp. BLP2052와 Flavobacterium sp BLP20515의 COD 제거율은 각각 66.0%, 65.7%였으며, 타 균주에 비해 폐하수에 COD 제거율이 우수현 균주임을 획인하였다 분리된 단열균주에 비해 복합균주의 경우 약 15%정도 COD 제거율이 우수하였으며, 선별된 균주를 폐하수에 추가 점종시 약 5%정도의 COD 제거율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별된 균주를 이용하여 84시간 반응조 운전 후 85.6%의 폐하수의 COD 제거율을 확인하였다. 생물폐하수 처리 중 갑작스럽게 유입될 수 있는 저해물질에 대한 실험에서 미생물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크기는 저해제의 양이 lO0ppm이하의 경우에는 Fe, Zn, Al, phenol, Cr 순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300 ppm이상의 경우에서는 Cr, Fe, Zn, Al, phenol 순으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땅콩 근류균(根瘤菌)(Bradyrhizobium sp. HCR-46) 접종이 Cowpea군(群) 두과작물(豆科作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Inoculation of Peanut Bradyrhizobium sp. HCR-46 on the Nitrogen Fixation of Cowpea Group Legume)

  • 최윤희;이상복;정지호;소재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8-386
    • /
    • 1992
  • Cowpea군(群) 두과작물(豆科作物)에 대한 땅콩근류균(根瘤菌) HCR-46의 근류형성능(根瘤形成能) 및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을 검토(檢討)하고자 동부, 녹두, 팥, 땅콩에 무접종(無接種)+N : 0kg/10a, 무접종(無接種)+N : 6kg/10a, 접종(接種)+N : 0kg/10a, 접종(接種)+N : 6kg/10a, 접종(接種)+N : 12kg/10a로 처리(處理)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초기근류형성시기(初期根瘤形成時期)는 팥이 가장 빠르고 동부, 녹두, 땅콩순(順)이었으며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수록 지연(遲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근류수(根瘤數)와 근류중(根瘤重)은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될 수록 증가(增加)하였고,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경우 땅콩을 제외한 동부, 녹두, 팥에서 감소(減少)하였다.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은 균접종구(菌接種區)가 무접종구(無接種區)에 비(比)해 높았고 균접종시(菌接種時)는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에 비(比)해 질소(窒素) 6kg/10a 시용구(施用區)가 높았다. 접종균(接種菌)에 의해 고정(固定)된 질소량(窒素量)은 파종후(播種後) 60일(日)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의 동부, 녹두, 팥, 땅콩이 각각(各各) 39.32, 42.39, 28.07, 78.56mg/주(株) 이었고 질소(窒素)6kg/10a 시용구(施用區)에서는 각각(各各) 25.46, 24.97, 16.80, 47.65mg/주(株)로서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가 질소(窒素)6kg/10a시용구(施用區)에 비(比)해 많아 균접종효과는 질소시용구(窒素施用區)보다는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 뚜렷했다.

  • PDF

CPU-GPU환경에서 효율적인 메인메모리 접근을 위한 융합 프로세서 구조 개발 (A Development of Fusion Processor Architecture for Efficient Main Memory Access in CPU-GPU Environment)

  • 박현문;권진산;황태호;김동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1-158
    • /
    • 2016
  • 이기종시스템 구조(HSA)는 두 유닛의 각각에 메모리 폴(pools)이 가상메모리를 통해 공유할 수 있게 됨에 따라 CPU와 GPU 아키텍처의 오랜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물리적 실제 시스템에서는 가상메모리 처리를 위해 GPU와 GPU 사이의 빈번한 메모리 이동으로 병목현상(Bottleneck)과 일관성 요청(Coherence request)의 오버헤드를 갖게 된다. 본 연구는 CPU와 GPU간의 효율적인 메인 메모리 접근방안으로 퓨전프로세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CPU가 요청한 처리할 메모리 영역을 GPU의 코어에 맞게 분배 제어해주는 기능으로 작업관리자(Job Manager)와 Re-mapper, Pre-fetcher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CPU와 GPU간의 빈번한 메시지도 감소되고 CPU의 메모리주소에 없는 Page-Table 요청이 낮아져 두 매체간의 효율성이 증대되었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검증 방안으로 QEMU(:short for Quick EMUlator)기반의 에뮬레이터를 개발하고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OpenMP, OpenCL 등의 알고리즘과 비교평가를 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융합 프로세서 구조를 기존과 비교했을 때 최대 198%이상 빠르게 처리되면서 메모리 복사, 캐시미스 등의 오버헤드를 최소화하였다.

우육에 오염시킨 병원세균의 방사선 감수성 (Gamma-Radiation Sensitivity of Pathogenic Bacteria in Beef)

  • 육홍선;김성;이경행;김영지;김경표;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32-1438
    • /
    • 1998
  • 병원세균 8종에 대하여 동결균체 및 우육접종에 의한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동결세포균체에서는 공시균주들의 $D_{10}$값은 $0.14{\sim}0.69\;kGy$ 나타났으며 그 중 Pseudomonas aeruginosa가 0.77 kGy, Aeromonas hydrophila와 Escherichia coli는 0.14 kGy로 방사선 감수성이 가장 높았다. 불활성화 계수는 $2{\sim}3$ kGy 조사시 $2.90{\sim}42.86$으로 나타났다. 한편 우육접종시에는 $D_{10}$값이 $0.1{\sim}0.61\;kGy$로 A. hydrophila가 0.1 kGy로 방사선 감수성이 가장 높았으며 V. parahaemolyticus가 0.61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 미생물의 완전살균을 위해서는 1.17 kGy에서 7.32 kGy 범위의 감마선 조사선량이 요구되며 불활성화 계수는 $2{\sim}3$ kGy 조사로 $3{\sim}30$ log cycles 이상 감소시킬 수 있어 감마선 조사는 육류매개 병원세균을 제어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 PDF

자운영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 구명 (An Optimum Harvest Time for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Seed Production)

  • 이병진;최진룡;김상열;오성환;김준환;황운하;안종웅;오병근;구연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70-74
    • /
    • 2008
  • 자운영 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를 결정하고자 개화 후 25일부터 5일 간격으로 40일까지 수확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확 시기별 자운영 종자 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화 후 35일이 가장 많았다. 2. 자운영 종자활력은 개화 후 35일 이후 수확한 것이 90%이상 높았으며 포장에서 자운영 지속재배를 위한 적정환원 시기는 개화 후 35일 이후였다. 3. 자운영 수확 후 발아율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늦게 수확한 것이 발아율이 높았다. 4. 발아율은 $10{\sim}40$일 침종에서 증가하였으며, 40일 이상 침종시 발아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경실율도 개화 후 수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자운영 종자 수확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는 개화 후 35일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예사료용 연맥품종의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Comparativ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Oat Varieties as Fresh-Cut Forage)

  • 김동암;김종관;권찬호;김원호;한건준;김종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7
    • /
    • 1993
  • 본 시험결과는 수원과 성환에서 3년간에 걸쳐 가을과 봄에 도입연맥품종을 대조품종인 Cayuse와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를 비교한 결과 얻어진 것이다. Speed oat와 G-sprinter는 대조품종인 Cayuse 보다 조생종이었으나 Taiho, Zenshin 및 Almighty는 만생종이었고, 비가 많을 때 Taiho, Hay oat 및 Swallow 품종은 도복이 많았으며 Taiho, Zenshin 및 Hay oat는 누른오갈병이 더 많이 나타났다. 수원지방에서 3년간 시험결과 가을 파종시 조생품종인 Speed oat와 G-sprinter는 대조품종보다 유의적으로 증수되었다. 그러나 1991년을 제외하고는 봄파종시에는 유의적인 수량차이가 없었다. 성환지방에서는 조생종인 Speed oat와 만생종인 Almighty 및 Zenshin이 1991년의 가을 파종시에 대조품종보다 유의 적으로 증수되었으나 봄 파종시에는 3년간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3년동안 2개지역의 시험결과 연맥의 CP 및 IVDMD은 조생품종이 대조 품종 및 만생 품종보다 낮았으나 ADF 및 NDF함량은 조생품종이 기타 품종보다 조금 높았다. 시험결과를 종합하면 가을 파종시 조생품종은 만생품종보다 증수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봄 파종시에는 품종간에 사초의 수량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단일 카메라 캘리브레이션과 스테레오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의 비교 (Calibration Comparison of Single Camera and Stereo Camera)

  • 김의명;홍송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5-303
    • /
    • 2018
  •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고정된 기선길이를 가지고 있어 축척이 일정하나 스테레오 영상에서 매번 특징점 매칭을 통해서 상호표정요소를 결정할 경우 축척이 고정 되어 있지 않아 실제 3차원 좌표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정된 공선조건식을 이용하여 좌우측 카메라의 내부적인 특성 및 카메라간의 관계를 동시에 결정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단일 카메라 캘리브레이션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을 통해 근거리에 촬영한 영상에서 결정한 3차원 거리를 비교하였을 경우 단일 캘리브레이션의 결과에서는 ${\pm}0.014m$의 평균제곱근오차가 발생한 반면 스테레오 카메라의 경우에는 오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스테레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의 3차원 거리의 정확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에피폴라 영상의 종시차에 대한 비교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경우가 단일 카메라의 경우 보다 평균제곱근오차가 최대 0.3 픽셀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나 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개와 Malassezia 외이염을 가진 개에 있어서 Malassezia pachydermatis 추출물의 즉시형 과민반응 (Type-I Hypersensitivity to Malassezia pachydermatis Extracts in Healthy Dogs and Dogs with Malasseza Otitis Externa)

  • 김영섭;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8-93
    • /
    • 2007
  • Malassezia pachydermatis 추출물의 피내접종시 과민반응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개와 M. pachydermatis 외이염에 이환된 개를 대상으로 M. pachydermatis 추출물의 피내접종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을 통해 M. pachydermatis 분자량 조사를 통해 $43{\sim}63kDa$을 포함하고 있는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Malassezia 외이염에 감염된 군에서의 평균 팽진의 직경은 20, 2, 0.2, and $0.02{\mu}g/ml$을 피내로 접종했을 때, 각각 $13.36{\pm}0.67,\;5.33{\pm}0.67,\;5.47{\pm}0.82$$5.07{\pm}0.64$을 나타내었으며, 팽진의 두께는 각각 20, 2, 0.2, and $0.02{\mu}g/ml$에서 $6.44{\pm}0.40,\;3.86{\pm}0.35,\;2.64{\pm}0.36$$2.60{\pm}0.44$를 나타내었다. 통계학적으로 건강한 군과 외이염에 이환된 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p<0.01). 더구나$20{\mu}g/ml$ 을 주입한 군에서 이 차이는 더욱 두드러져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 pachydermatis 유래 항원을 개의 피내에 접종했을 때, 즉시 팽진반응을 유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효모균에 대한 과민증은 즉시형 피부과민반응을 보이는 개, 특히 Malassezia otitis에 감염된 개에서 임상증상의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 0.2, $0.02{\mu}g/ml$의 농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즉시형 과민반응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일정한 역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산화탄소 분위기에서 칼슘실리케이트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혼합시멘트의 광물 및 압축강도 특성 (Mineral and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alcium Silicate and Calcium Sulfoaluminate Mixed Cement in Carbon Dioxide Atmosphere)

  • 이대근;이선목;박정준;문기연;조계홍;조진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6호
    • /
    • pp.10-17
    • /
    • 2023
  • 칼슘실리케이트 시멘트(Calcium silicate cement, CSC)는 친환경 저탄소 시멘트로써 최근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 반응 활성화와 시료 handling을 위하여 사전경화 단계를 진행하여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SC에 칼슘설포아루미네이트(Calcium sulfoaluminate, CSA) 속경시멘트를 혼합하여 초기강도 발현으로 사전경화 없이 사용할 수 있는 CSC의 확대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산화탄소 분위기에서 CSC 와 CSA 속경성 시멘트 혼합비율 변화에 따른 압축강도와 Q-XRD 광물특성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압축강도 측정결과, CSC 50% 조건에서 3일과 7일 압축강도가 각 각 14.18MPa과 22.98MPa로 1종시멘트 KS규격을 만족하였다. 광물특성 분석을 통하여 이산화탄소 반응생성물인 calcite 광물이 증가하여 강도발현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7일 경과 후에도 수화광물인 dicalcium silicate 및 yeelimite광물뿐 아니라,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지 않은 rankiniten 및 pseudowollastonite 광물이 다량 관찰되어 7일이후의 강도발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