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사자수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서비스산업의 현황에 대한 지역별 비교분석 (Regional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 박종태;김동철
    • 서비스연구
    • /
    • 제4권2호
    • /
    • pp.37-47
    • /
    • 2014
  • 서비스산업은 국가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핵심 분야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 경제에서 서비스산업의 발전은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서비스업에 대한 최근의 통계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역별로 국내 서비스산업의 현황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통계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시 도 지역에 대한 전국 사업체조사 자료를 토대로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제주권 등 6개 광역권으로 분류하여 이들 지역에 있어서 전체 산업에 대한 서비스산업에서의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의 상대비율을 비교분석하고, 또한 각 권역에 있어서 시도별로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의 상대비율을 비교분석한다. 지역별 비교를 위해서 사용한 자료는 2006년부터 2012년 동안 최근 7년간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이며, 이 자료를 통해 6개 권역에 대한 서비스산업에서의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의 상대비율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각 권역에 속한 시도 지역에 대해서도 그 상대비율들을 계산하여 지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 PDF

수도권의 직주균형과 통근통행의 변화: 2005-2010년 (The Changes of Job-Housing Balance and Commuting Trip in Seoul Metropolitan Area: 2005-2010)

  • 손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90-404
    • /
    • 2014
  • 본 연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종사자수와 취업자수를 지표로 직장과 주거지의 일치현상을 고찰하고 직주비와 통근통행간의 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수도권에서는 2005~2010년 사이에 도시의 중심지기능을 수행해 온 도심지역에서 종사자수가 감소하고 인구증가 현상이 둔화되었고, 경기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고용과 인구의 교외화현상이 진행되었다. 수도권에서는 종사자수에 비해 취업자수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취업자수 초과현상이 심화되었고, 이는 직주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경기도에서의 직주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사무직, 판매직, 전문직 등에서는 직주불균형이 개선된 지역이 많았지만, 단순노무직과 서비스직에서는 직주불균형이 심화된 지역이 많았다. 직종별로는 업무중심지일수록 더 많은 수의 직종에서 직주불균형이 개선되었다. 직주비가 높은 지역일수록 통근통행의 자족도가 낮게 형성되었으며,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는 역외유입통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종사자수가 취업자수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던 주요 고용중심지에서는 직주비와 역외유입통행률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캐릭터 문화콘텐츠 산업의 권역별 입지 경쟁력 분석에 대한 종단적 연구 (Longitudinal Analysis to Regional LQ Index Competitiveness of Character Culture Contents Industry)

  • 김연정;박기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439-446
    • /
    • 2013
  • 본 연구는 캐릭터 문화콘텐츠 산업의 전국 권역별 경쟁력 분석을 위해 입지적 LQ 지수를 비교하여 권역별 캐릭터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7년, 2009년, 2011년의 종단적 관점에서 캐릭터산업의 산업체수, 종업원 수, 매출액에 기초한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수도권을 포함한 경우 종사자수와 산업체 수에 있어서 3개년 연속 제주권, 동남권과 수도권이 캐릭터산업이 타 산업보다 경쟁력이 제시되었으며, 매출액에서는 3개년 연속 수도권 제외 전 권역의 캐릭터 산업이 타 산업 대비 경쟁적이었다. 한편 수도권을 제외한 6개 권역 분석에서 종사자수와 산업체수에 있어서 제주권과 동남권의 경쟁력이 제시되었고 충청권이 2009년에 종사자수에서, 2011년 산업체수에서 LQ 지수 1이상으로 나타냈다. 매출액에 있어서는 제주권 만이 3개년 연속 경쟁적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종사자수, 산업체수와 매출액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3개년 동안 동남권, 제주권과 충청권이 경쟁력 있는 권역으로 나타났다.

울산광역시의 여가산업 분석 (Analysis of Leisure Industri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 최성훈;송강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91-3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울산광역시의 여가산업의 규모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2008여가백서의 여가산업분류표를 기준으로 여가산업을 크게 여가용품산업, 여가공간산업, 여가서비스산업으로 구분하였고, 통계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통계포털사이트(http://www.kosis.kr)의 9차 개정(2007년 기준)을 이용하여 사업체수, 종사자수, 종사자의 성별, 매출액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울산광역시의 여가산업과 관련된 사업체수 10,292개, 종사자수 23,357명, 종사자의 남성 8,699명, 여성 14,631명 이었고, 매출액 규모는 1조 1,675억 원이었다. 구체적으로 살며보면, 여가용품산업의 사업체수는 1,041개, 종사자수는 1,867명, 매출액은 1,227억 원이었고, 여가공간산업의 사업체수는 6,534개, 종사자수는 15,752명, 매출액은 6,940억 원이었으며, 마지막으로 여가서비스산업의 사업체수는 2,717, 종사자수는 5,738명, 매출액은 3,507억 원이었다. 울산의 여가산업 중에서 여가용품산업은 여가용품제조업의 비중이 거의 없고, 여가공간산업에서 유흥업소의 비중이 높으며, 여가서비스산업은 여가교육서비스업이 많았다.

리포트 - 2012년 산업재해 현황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3권1호
    • /
    • pp.78-80
    • /
    • 2014
  •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12년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인쇄업은 사업장과 종사자수는 늘었지만 산재근로자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업 근로자 4만7천명 중 331명이 산업재해로 피해를 입었으며, 이중 3명이 사망했다. 2012년 우리나라 산업재해 발생 현황을 비롯해 인쇄 및 관련 산업의 산업재해 현황을 살펴봤다.

  • PDF

국제인쇄산업대전 - "한국 인쇄산업의 동향과 수출전략"

  • 김남수
    • 프린팅코리아
    • /
    • 제10권11호
    • /
    • pp.78-83
    • /
    • 2011
  • 한국인쇄산업은 전반적으로 외형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수년째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가 감소한데 따른 것이다. 이에 비해 인쇄시설의 고급화와 IT시대를 맞아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이 진행된 결과로 출하액과 부가가치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제인쇄포럼에서 김남수 대한인쇄문화협회 회장이 발표한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 PDF

분석 - 2010년 인쇄사업체 전국 1만6284개사 서울.경기.부산.대구에 70% 집중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11권7호
    • /
    • pp.66-69
    • /
    • 2012
  • 2010년 인쇄 및 관련업체의 사업체수와 종사자수는 2009년에 비교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0년 현재 등록된 1인 이상 인쇄 및 관련업계의 총 사업체는 2009년도의 1만6424개사보다 140개사가 감소한 1만6284개 사로 나타났다. 종사자도 2009년도의 6만8707명보다 179명 감소한 6만8528명을 기록했다.

  • PDF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 도입을 위한 화물운송수요 및 사업편익분석 - 부산 국제산업물류도시를 중심으로- (Freight Transport Demand and Economic Benefit Analysis for Automated Freight Transport System: Focused on GILC in Busan)

  • 신승진;노홍승;허성호;김동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34
    • /
    • 2017
  • 본 연구는 물류 네트워크상 중요한 입지 여건을 갖추고 있는 국제산업물류도시와 부산 신항에 신규 자동화물운송시스템 도입에 따른 화물 물동량 및 편익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상지역의 장래 화물 물동량 및 전환물동량을 예측하였으며, 그에 따른 사회적 편익을 분석하기 위해 4개의 시나리오 설정하였다. 화물물동량 예측은 사업체 원단위법과 종사자수 원단위법을 적용하였으며, 편익은 기존 도로를 이용하는 화물자동차가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시스템으로 전환되는 물동량을 기반으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편익항목은 직접편익(통행시간 절감, 차량운행비용 절감, 교통사고 절감, 환경비용 절감)이외에 해외 관련 연구를 기반으로 화물통행시간가치 편익, 혼잡비용 절감 편익, 도로유지관리 절감편익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종사자수 원단위를 적용하고, 부산시 강서구의 업종별 종사자수 비율을 적용한 방법론의 화물물동량 및 편익이 가장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자동운송시스템 도입을 기반으로 물동량의 추정과 사업 편익 추정을 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입지요인이 음식업 업종별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Location Factors on Sales by Restaurant Type)

  • 노은빈;이상경
    • 부동산연구
    • /
    • 제28권4호
    • /
    • pp.37-5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6개구(종로구, 중구, 영등포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14개 세부 음식업종의 집계구 매출액을 대상으로 공간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입지요인의 영향을 분석한다. 세부 음식업종 매출액의 유동인구 탄력성과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 탄력성을 측정하고 자치구별 매출액 차이와 공간승수효과를 비교한다. 세부 음식업종 중 4개 업종(분식전문, 찌개/찜/탕, 회 전문, 제과/떡/한과)에서는 공간자기상관이 검정되지 않아 OLS 회귀분석이 적용되며, 해산물 전문 업종은 공간래그모형(SLM)이, 나머지 9개 업종들에서는 공간오차모형(SEM)이 적용된다. 유동인구와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는 세부 음식업종의 매출액에 대체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의 유동인구 탄력성은 동양식 전문, 주점, 서양식 전문, 전통음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사업체 종사자수 탄력성은 제과/떡/한과, 동양식 전문, 서양식 전문 순으로 나타났다. 공간자기상관에 따른 공간승수효과는 동양식 전문, 주점, 서양식 전문, 전통음식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음식, 찌개/찜/탕, 해산물 전문 등의 업종은 강남구와 다른 자치구들 간에 매출액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에 육류구이, 주점, 제과/떡/한과 등은 매출액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음식업종의 업종별 입지 적합도를 평가함으로써 음식점 입지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