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부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생유리 피부편을 이용한 종부 및 족저부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for the Soft Tissue Defect of Heel and Sole using Free Flaps)

  • 이광석;강기훈;권규호;임당재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7권2호
    • /
    • pp.81-87
    • /
    • 1998
  • We have investigated the clinical results of 33 cases of free flap transfer performed for the soft tissue defects of heel and sole. In donor sites, tensor fascia lata flaps were 4, dorsalis pedis flaps were 10, forearm flaps were 9, and latissimus dorsi flaps were 10. The recipient sites were heel in 22 cases, sole in 7 cases, and heel and sole in 4 cases. In these case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orbidity of donor sites, recovery of sensation, and cosmetic results were evaluated in each flap. All the flaps survived successfully. The free flaps provided excellent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s. The tensor fascia lata flap was more reliable free flap for the reconstruction of heel and sole defects.

  • PDF

일본국내의 종빈돈장에 대한 수의임상통계학적 관찰 (Veterinary Clinicostatistical Observation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in A Breeding Sow Herd in Japan)

  • 다케오 사카이;수폴 루엔요스르에찰;이원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7-162
    • /
    • 1993
  • 저자들은 일본국내의 종빈돈장에 대한 능력을 관찰코저 시도하여 1990년 1월부터 12월까지사이에 신내천현의 현대식 종빈돈장 일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수의임상통계학적으로 분석, 다음과 같이 적요 한다. 전산화시설에 의한 분석에서, 월평균 종빈돈의 출산은 355이었고, 종빈돈의 종부능력은 월평균 28회이었으며, 이유는 20.8일, 시장출하 비육은 18.8 그리고 연간 평균출산은 2.25이었다. 한편 출산후 포유중 사망률은 평균 17.8%이고, 수의임상적 증상을 나타낸 이환율은 0.2% (200 per 100,000)이었다.

  • PDF

돼지에서 산육형질과 번식형질간의 관계 (Relation of Production Traits and Reproduction Traits in Swine)

  • 도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03-308
    • /
    • 2007
  • 등지방을 포함한 산육형질과 번식 및 산자형질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경남흑돈(버크셔)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Pearson 상관의 추정에서 등지방은 번식형질과 -0.24~-.26을 나타냈다. 유전적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초분만일령, 초분만일령과 첫 분만을 위한 종부횟수에 관한 유전상관 추정은 자료의 부족으로 추정치의 변동이 많고 폭이 컸다. 등지방과 산자형질과는 낮은 Pearson 상관을 보였지만 총산자, 생존산자, 생시복체중, 이유복체중의 유전상관계수가 각각 .21, .24, .11, .07으로 조사되어 유전적 상관이 더 높게 조사되어 등지방의 개량이 산자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90kg 도달일령과 총산자, 생존산자, 생시복체중, 이유복체중과의 유전상관 계수는 .14, .17, .09 그리고 0.0으로 각각 조사되어 산육능력이 우수할수록 산자능력의 감소를 의미하고 있다.

유리 외측 상박 감각신경 피판술을 이용한 종부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for the Soft Tissue Defect of Heel using Free Lateral Arm Neurosensory Flap)

  • 김동철;김상수;하대호;유희준;이동훈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8권1호
    • /
    • pp.15-21
    • /
    • 1999
  • Soft tissue defect on heel area of the foot present difficult problems particularly because of anatomic property of plantar surface of the foot. There is a paucity of available local tissue in the foot for coverage. In addition to having little expandable tissue, the foot's plantar surface has a unique structure, making its replacement especially challenging. Plantar skin is attached to the underlying bone by fibrous septa, preventing shear of the soft-tissue surfaces from the underlying skeleton. Plantar surface of foot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environment. Protective sensibility also would be maintained or restored in the ideal reconstruction. So the ideal flap for reconstruction of the heel should include thin, durable hairless skin with potential for reinnerva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clinical experience of free lateral arm neurosensory flap for reconstruction of the heel. From March 1995 to December 1997, a total 16 lateral arm free flaps were performed to soft tissue defects on the weight-bearing area of the hindfoot. we used tibial nerve as recepient nerve in 11 and calcaneal branch of tibial nerve in 5 for restoration of sensibility of flap. All cases survived completely. A static two-point discrimination of 14 to 34mm was detected in the flap. Radial nerve palsy which was caused by hematoma in donor site occured in one case, but recorverd in 3 weeks later completely. In conclusion, the lateral arm free flaps are versatile, reliable and sensible cutaneous flap and especially indicated for soft tissue defect on plantar surface of the hindfoot which are not good indications for other better-known flaps.

  • PDF

유진경 가옥(현 북촌문화센터)의 원형과 궁궐요소 차용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and Architectural Elements in the Palace of Yu, Jin gyeong's Hanok)

  • 박상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5호
    • /
    • pp.7-22
    • /
    • 2014
  • It is identified that an initial person who built of 'Seoul Gyedong Modernized Hanok(former Min Hyeong-gi house)' used as 'Bukchon Culture Center' in present, was not Min Hyeong-gi, but his wife, Yu Jin-gyeong, and she built it when 8 years went on after his death(1879~1973), and the construction year was at the gate of Chuseok in 1921. Yu Jin-gyeong was Head Family's Eldest Daughter-in-law in family of Yeo Heung-min who was an influential person at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widow who had only son for 3 generations. And she built this house and moved to gain daughter and live futher grandchilds together in law in new nest. It is arranged that an annex surrounds with main building as the central figure. And this house emulates Yeonkeong-dang in backyard of the Changdeok Palace for 'preservation of main building' and Chim-bang-ga-toe applied on a bedroom in a palace is applied around nobleman family's the main room. It is rare case and expresses that a palace factor is borrowed. Yu Jin-gyeong's house is that a tradition Hanok is adjusted closely in city and central and basing mode as 'protective bedding' and building concept as 'a noble and protective architecture' is realized. So it has a character that development of Hangrang architecture is appeared and Head Family's Eldest Daughter-in-law widow of modern upper class had a special benefit. As well as, a meaning that it is experimental house based on tradition and is build of Hanok with housekeeping as the central figure for appear a form which has minimal Hangrang for housekeeping in yangban family of modern city, can be found.

수리학적 방법에 의한 토석류의 발생 예측 및 산정 (Prediction and Analysis of Debris Flow with Hydraulic Method)

  • 이순택;평야종부;박기호
    • 물과 미래
    • /
    • 제27권2호
    • /
    • pp.147-154
    • /
    • 1994
  • 지체시간 내의 누가강우량이 특정 사면경사를 지나게 될 때 발생하는 토석류의 생기조건은 경사면에서의 흐름에 대한 식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이때의 토석류가 발생하는 한계 누가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유역의 시스템적 분석 기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가 발생하는 한계 누가강유량의 산정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이 방법을 최근 폭발한 운젠 화산의 토석류에 적용하여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한편 토석류의 유량은 수리학적 방법인 Kinematic Wave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이 때의 단면적은 유량에 대한 함수관계에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 방법에 의한 계산치와 사쿠라지마 및 운젠 화산 지역의 관측치의 수문곡선은 대체로 잘 일치하였으며, 토석류의 유출강도를 강우강도와 누가강우량의 조합에 따른 식으로 산정하여 다른 지역에서의 토석류 계산에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유산양에서 발정동기화 유도와 인공수정 효율 (Estrus Synchroniz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in Dairy Goats)

  • 장석민;강재구;최기명;김홍래;진동일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1호
    • /
    • pp.61-6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유산양에서 비번식계절과 번식계절에 각각 발정동기화를 유도하여 인공수정을 1차와 2차에 걸쳐 실시한 후 분만율을 조사하였다. 자아넨 유산양 암컷을 대상으로 5월과 6월 사이에 CIDR-S를 이용하여 발정을 유도하였고, 액상정액과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CIDR-S를 이용한 발정유도시험에서는 유산양의 발정동기화가 90%이상을 기록하여 아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만 성적은 1차 인공수정에 의해서는 25%, 2차 인공수정에 의해서는 20%로 낮하게 나타났으며, 자연종부에 의해서는 100%의 분만율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번식계절에서 번식주기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과 정액을 주입하는 적정한 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점을 시사해 주었으나 인공수정 방법과 정액의 저장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 실태 조사 (Survey on the Effect of the Herd Size on Reproductive Traits of Korean Native Cows)

  • 백광수;고응규;성환후;이명식;최순호;김영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7-373
    • /
    • 1998
  • 본 조사 연구는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우의 초종부, 초임 및 초산일령과 분만 후 발정재귀일수, 수태당 종부회수, 분만 후 수태일수, 분만간격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20농가에서 사육중인 한우 성빈우 670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1.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종부일령은 평균 443.0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437.9일, 425.5일 및 452.9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2.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임일령은 평균 460.0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452.8일, 438.4일 및 467.1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3.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산일령은 평균 746.6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741.2일, 730.2일 및 755.9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4.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평균 70.1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l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82.1일, 74.1일 및 64.8일로 3규모가 가장 짧았고 1규모가 가장 긴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5. 사육규모에 따른 수태당 종부회수는 평균 1.53회였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1.54회, 1.61회 및 1.48회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6.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 후 수태일수는 평균 91.2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115.6일, 99.1일 및 80.6일로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7.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간격은 평균 375.3일이었으며,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389.5일, 383.0일 및 367.4일로 3규모가 가장 짧았고 1규모가 가장 긴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 PDF

인공수정 후 외인성 Progesterone과 Estradiol 병용 및 Progesterone 단독 투여 기간이 젖소의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ration Treated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Holstein Cows Treated with Progesterone with and without Estradiol)

  • 백광수;이왕식;박수봉;박성재;김현섭;이현준;기광석;강석진;안병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5-198
    • /
    • 2007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인공수정 후 외인성 progesterone과 estradiol을 병용 투여하거나 progesterone을 단독 투여하는 경우에 처리기간별 젖소의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 CIDR에 estradiol 캡슐을 부착시킨 progesterone과 estradiol 병용 투여군(PE군) 및 CIDR에서 estradiol 캡슐을 제거한 progesterone 단독 투여군(P군)로 구분하여, 인공수정 후 14일째에 각 투여군에 따른 CIDR를 질내에 삽입하여 그 날로부터 7일째에 제거하였고(P-7), 5일구의 경우, 인공수정 후 16일째에 CIDR를 질내에 삽입하여 그 날로부터 5일째에 제거하였으며(P-5), 3일구의 경우, 인공수정 후 18일째에 CIDR를 질내에 삽입하여 그 날로부터 3일째에 제거하는 경우에(P-3) 첫 수정시 수태율, 인공수정 후 200일 동안 수태까지의 일수 및 수태당 종부 횟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4군 및 P4+E2군에서 처리기간별 첫 수정시 수태율은 대조구의 경우 15.8%였고, P-7구, P-5구 및 P-3구의 경우, 각각 40.0%, 37.5% 및 28.6%였으며, PE-7구, PE-5구 및 PE-3구의 경우, 각각 62.5%, 50.0% 및 0%였다. 2. P4군 및 P4+E2군에서 처리 기간별 인공수정 후 수태까지의 일수는 대조구의 경우 64.9일이었고, P-7구, P-5구 및 P-3구의 경우, 각각 63.0일, 59.1일 및 8.0일이었으며, PE-7구, PE-5구 및 PE-3구의 경우, 각각 0.0일, 18.9일 및 83.3일로 PE-7구가 대조구 및 PE-3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P4군 및 P4+E2군에서 처리 기간별 수태당 종부 횟수는 대조구의 경우 2.7회였고, P-7구, P-5구 및 P-3구의 경우, 각각 2.3회, 1.9회 및 1.3회였으며, PE-7구, PE-5구 및 PE-3구의 경우, 각각 1.0회, 1.7회 및 2.8회로 PE-7구가 대조구 및 PE-3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감소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모돈의 정액성상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품종, 연령, 계절, 산차 및 교배방법의 영향 (Effect of Breed, Age, Season, Parity and Mating Type on Boar Semen Characteristics and Fertilizing Capacity)

  • 전용민;윤희진;이종관;손영곤;강권;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9-216
    • /
    • 2000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다비 AI 센타에서 사육되는 종모돈 199두와 종빈돈 4,181두를 가지고 종모돈의 정액생산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품종, 연령, 계절, 산차 및 교배방법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바,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액량은 Landrace (L) 종이 266.8 $m\ell$로 제일 많았고, Yorkshire (Y) 종이 그 다음으로 많았으며, Duroc (D) 종이 제일 적었다. 정자 운동성은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정자농도는 Landrace 종이 4.7$\times$109 sperm/$m\ell$로 제일 낮았고, 정액량이 제일적은 Duroc 종이 5.7$\times$$10^{9}$ sperm/$m\ell$ 로 제일 높았다. 종모돈의 연령에 따른 정액량은 2세 때가 213.3 $m\ell$로 제일 많았고, 4, 3 그리고 l 세의 순서로 정액량이 감소하였다. 2. 종모돈의 계절에 따른 정액량은 겨울철이 228.6 $m\ell$로 제 일 많았고, 가을, 여름, 봄의 순서로 정액량이 감소하였다. 정자농도는 봄철이 5.9$\times$109 sperm/$m\ell$로 제일 높았으며, 여름, 겨울, 그리고 가을의 순서로 낮았다. 3. 교배방법에 따른 복당 생시체중은 품종간 처리구간에 차이점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복당 출생시 생존수에 있어서는 자연종부후 인공수정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9.5두로 제일 많았으며, 인공수정을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9.2두, 그리고 자연종부를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8.9두로 처리구간에 유의성 (P<0.01)이 인정되었다. 4. 교배그룹간에서는 L (우)$\times$Y (♂) 교배조합과 L (♀)$\times$L (♂) 교배조합이 Y (♀)$\times$ L (♂) 교배조합 Y (♀)$\times$Y (♂) 교배조합보다 복당 생시체중이 무거웠으며, 복당 출생시 생존 자돈수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연종부와 인공수정간에 복당 생시체중과 복당 출생시 생존자돈수는 유의차가 없었다. 5. 산차간에 있어서는 2~6 산차의 복당 생시체중과 복당 출생시 생존 자돈수가 각각 13.5 kg 과 9.5 두로 1산차와 7~9 산차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