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동정

검색결과 2,323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산 다슬기과 담수패류 분포

  • 이준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78-379
    • /
    • 2003
  • v. Martens(1905)은 국내 다슬기과 담수패류를 모두 1속 15종 및 3아종으로 기록하였다. 그 후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형태 및 분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여 근래에 이르러 한국산 다슬기과 담수패류는 3속 7종 및 1아종(Choi &. Yoon, 1997), 3속 6종 및 1아종(Kwon et al, 2001)으로 정리하고 있다. 다슬기과 패류는 서식지에 따른 형태 변이가 매우 심하고, 또한 v.Martens(1905)에 의하여 발표된 18종의 동종이명 정리에 대한 국내외 학자간의 견해 차이가 정리되어 있지 않아 현재까지도 정확한 종 동정과 분류가 난해한 분류군인다. (중략)

  • PDF

한국산 해산 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8. 사축해면류 (A Systematic Study on the Maine Sponge in Korea 8. Tetractinomorpha)

  • 심정자;김희영;변효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123-144
    • /
    • 1990
  • 한국산 사축해면류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1988년부터 1989년 10월까지 삼면연안과 14개 도서지방에서 채집된 표본과 그 동안 한남대학교 생물학과에 미해결종으로 보관되어 있던 표본들을 동정, 분류한 결과 4과 8속 15종이 분류되었다. 이중 10종은 한국 미기록종이고 5종은 신종으로 밝혀졌다. 한국 미기록종과 신종에 대하여만 특기 또는 기재와 도판을 첨가하였다.

  • PDF

Harpacticidae과에 속하는 하프팍티쿠스류 8종의 분류 (Eight Harpactiocoid Species of Harpacticidae(Copepoda, Harpacticoida)from Korea)

  • Joon, Song-Sung;Young, Chang-Che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203-220
    • /
    • 1993
  • 한국 해안의 47개 지소에서 채집한 Harpacticidae과에 속하는 하프팍티쿠스류 8종을 동정, 분류하였다. 8종 중 5종은 한국미기록종이며 이들에 대하여는 재기재하는 한편 도판을 작성였다.

  • PDF

가거도 해산 해면류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Marine Sponges from Gageodo Island (Sohuksando), Korea)

  • Sim, Chung-Ja;Kim, Hyung-Jun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219-231
    • /
    • 2002
  • 가거도 해산 해면류를 동정ㆍ분류하기 위해 1999년 8월부터 2001년 7월까지 가거도 인근 지역섬으로부터 채집한 표본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1강 2아강 6목16과 23속 35종으로 밝혀졌고, 이 중 무레이다공해면 (Polymastia murrayi Burton, 1959)과 어두운유령해면 (Clathria(Thajysias) spicata Gray, 1924)의 2종이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졌으며 한국침곤봉해면 (Stylocordyja koreana n.sp.)이 신종으로 밝혀졌다.

한국산 통구멍속(통구멍과) 어류 1미기록종 Uranoscopus tosae (New Record of the Stargazer Fish, Uranoscopus tosae(Uranoscopidae) form Korea)

  • 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6-30
    • /
    • 1992
  • 1992년 3월 전북 군산에서 한국 남해산 통구멍과 어류 중 전장 166.9mm되는 1개체를 수집하여 동정한 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미기록종인 Uranoscopus tosae로 동정되었다. 본종의 외부 형태는 Uranoscopus oligolepis와 대단히 흡사하나 양쪽 측선 위의 목부분에 비늘이 매몰되어 있고, 전비공은 관상이나 후비공은 slit형 이며, 호흡판이 좁고 길며, 전새개골의 하연에는 4개의 가시돌기가 있는 점 등이 U. oligolepis와는 달리 U. tosae와 일치하게 나타났다. 본 종의 한국명은 측선 위에 비늘이 있는 점을 들어 "비늘통구멍"이라고 명명하였다.

  • PDF

제주도와 남해 해역의 한국산 올챙이새우류 (Cumacean Fauna of Southern coast and Chejudo Island in Korea)

  • Chang Mok Lee;Kyung Sook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83-105
    • /
    • 1999
  • 1997년부터 1998년 사이에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연안의 25개 지점에서 채집된 올챙이새우류를 동정한 결과 4과 13종이 동정되었다. 그들 중 Nannastacidae (꼬마올챙이새우)과에 속하는 3 한국미기록종, Campylaspis pumila Gamo, 1960, Cumella alveata Gamo, 1964 그리고 Cumella glaberata Gamo, 1962가 확인되어 보고한다. 이들 가운데에, C. alveata의 암컷에 관한 기재는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또한 이들 3종의 구기부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한다.

  • PDF

한국산 미기록종 여름갈고리덩이버섯(Tuber aestivum subsp. uncinatum)에 관하여 (Note on Tuber aestivum subsp. uncinatum Newly Recorded in Korea)

  • 신광수;박진서;길견소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10-13
    • /
    • 1995
  • 자실체를 토양 내에 형성하는 자낭균의 일종인 덩이버섯 1 종(種)이 계룡산 국립공원에서 채집, 동정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동정된 종은 여름갈고리덩이버섯(Tuber aestivum subsp. uncinatum)으로 국내에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자실체의 크기는 $3{\sim}10\;cm$ 정도이며, 혹모양으로 매우 불규칙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다. 자낭에는 $1{\sim}6$개의 포자가 있으며, 포자표면은 침상돌기로 덮혀 있다. 상기의 표본은 건조 및 액침표본 상태로 대전대학교 미생물학과 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다.

  • PDF

한국산 Phintella속(거미목, 깡충거미과)의 재기재와 다변량분석 (Redescrip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Genus Phintella (Araneae, Salticidae) from Korea)

  • Bo-Keun Se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2호
    • /
    • pp.183-197
    • /
    • 1995
  • 한국산 Phintella속에 속하는 6종의 기재와 동정은 불충분하고 불확실한 상태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미기록종인 P.popovi를 포함한 7종에 대하여 그림, 검색표와 함께 재기재를 하였고, Wesolowska(198la)에 의하여 한국산으로 보고된 바 있는 Icius munitus를 P. cavaleriei로 synonym처리를 하였다. 또, 본인의 동정과 찍짓기를 검정하기 위하여, 134개체에 대한 표준편차 0.05 이하의 13개 형질비값으로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134개체에 대한 13개의 형질비값으로 시행된 판별분석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였으나, 13개의 형질비값에 대한 14개 OTU의 평균비값으로 시행된 군집분석의 결과는 다른 쌍들에 비하여 비유성이 큰 P. abnormis를 제외하고 저자의 짝짖기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완벽한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하였으나. 단 한 종만 찍을 만들지 못하였기 때문에 전체 7종의 쌍을 얻을 수는 있었다. 이 방법이 보다 개선되면, 옳바른 짝을 검정하거나 동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삼부패억제 활성물질 선발연구 (A Study on Suppression Components of Spoiling Ginseng)

  • 손현주;주인선;성창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67-73
    • /
    • 1999
  • 수삼부패와 관련된 미생물을 선발 및 동정한 결과 부패한 수삼으로부터 20종의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중 수삼을 빨리 부패시키는 균주 6종(세균 5종,사상균 1종)을 분리하였다. 수삼부패 세균은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putidaa biotype A, Bacillus spp., Enterobacter cloecae 및 Klebsiella pneumoniae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수삼부패사상균은 Rhiaopu oryzae로 동정되었다. 이중 수삼부패를 가장 빨리 일으키는 균주는 Bacillu spp.이였다. 수삼부패 억제물질을 선택하기 위하여 생약추출물과 정유 50여 종으로부터 가자 및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감국, 누노, 선복화, 자초 및 지유의 정유를 Bacillus spp.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한 물질로 선발하였다. 이 중 가자추출물과 오미자추출물은 Bacillu spp의 생육을 크게 억제하였다. 특히 가자추출물은 천연 보존제로 시판되고 있는 DF-100(자몽씨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의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가자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은 약한 지용성을 띠는 극성의 산성물질로 판단되며 현재 이물질을 분리,정제 중에 있다. 수삼을 가자 추출물의 $1\%$수용액에 5분간 침지하였으나 $30^{\circ}C$에서 보관하였을 때 Bacillus spp에 의한 부패가 다소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가자 및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감국, 누노, 선복화, 자초 및 지유의 정유를 수삼부패 억제활성물질로 선발하였으며 앞으로 원료삼(수삼)의 장기저장에 이들 생약추출물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