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골 골절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을 통한 Kirschner Wire 강선 지지대 고정술의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Blocking Kirschner Wire Technique' in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via the Extended Sinus Tarsi Approach)

  • 이정길;강찬;김상범;이기수;황정모;안병국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4-233
    • /
    • 2021
  • 목적: 종골 골절 후 발생하는 부정유합으로 인해 체부의 폭이 증가하면 후족부 외측의 통증이 발생한다. 외측벽 돌출을 줄이기 위해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Kirschner wire) 지지대의 정복 유지 효과를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로 후향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 환자 중 정복 유지를 위해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한 환자 22명(A군)과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 중 A군 환자와 1:2로 짝지은 44명의 환자들(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유관나사와 Steinmann 핀,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임상적 평가로는 미국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수치와 수술 후 운동능력의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영상학적 결과는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와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군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도 분석해 보았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924, p=0.961). 영상학적으로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170, p=0.441, p=0.230, p=0.266, p=0.400),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는 A군이 평균 1.78 mm, B군이 4.95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B군에서 비복 신경 포착과 통증을 동반한 외골종의 빈도는 더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93, p=0.655). 결론: 임상적 평가 및 영상학적 평가의 대부분과 두 군의 합병증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에 있어서는 A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 지지대 수술법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외측벽 돌출의 정복 유지에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골다공증 여성에서 요추골 밑 대퇴골 부위의 골밀도와 종골 음속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of Lumbar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ies with Calcaneal Speed of Sound in Osteoporotic Woman)

  • 이강일;최민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42-547
    • /
    • 2009
  • 본 in vivo 연구에서는 36명의 골다공증 여성을 대상으로 요추골 및 대퇴골 부위의 골밀도와 종골 음속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4번 요추골 및 우측 대퇴골 경부의 단위면적당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우측 종골의 음속은 초음파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각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 (r) 및 유의수준 (p)이 이용되었다. 요추골 골밀도와 대퇴골 골밀도 사이에는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r=0.81).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는 연령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52 및 r=-0.55). 종골 음속과 연령 사이에도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0.45). 종골 음속은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와 비교적 높은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요추골 골밀도보다 대퇴골 골밀도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0.54 및 r=0.62). 그러나 이는 종골 음속이 종골 골밀도와 갖는 상관관계에 비하여 낮으므로 종골 음속은 골절률이 가장 높은 요추골 및 대퇴골부위의 골밀도를 평가하기에 최적의 지표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요추골 및 대퇴골 부위의 골밀도를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하여 이 부위의 음향특성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정량적 초음파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종골 골절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Calcaneal Fracture)

  • 배서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4-92
    • /
    • 2013
  • Quite high prevalence of acute and chronic complications of calcaneal fractures has been reported. Acute complications include blisters, wound necrosis or infection. Late complications include subtalar arthritis, calcaneal malunion, lateral subfibular impingement, tendon problems, sural nerve complications. There are many surgical or non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to manage those complications. However strategic initial surgical approach with gentle soft tissue handling accompanied by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numerous complications might be the best tool to achieve pain free and functional heel after treating calcaneal fractures.

종골 골절 시 골절편에 의해 발생한 비복 신경의 포착(1예 보고) (Sural Nerve Entrapment by Fragments of Calcaneal Fracture (A Case Report))

  • 이윤태;이태진;김성환;윤한국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4-46
    • /
    • 2011
  • Sural nerve is a sensory nerve that innervates the lateral side of ankle and foot, and the injury of this nerve can be usually caused by surgical approch of calaneal fracture or achilles tendon injury. Entrapment neuropahty of sural nerve caused by bony fragment after calcaneal fracture is not reported, yet. Authors experienced one case that sural nerve injury due to bony fragment after calcaneal fracture and we regard that it is a rare case, so we report this case after reviewing literatures.

종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방사선학적 평가와 임상적 결과의 상관 관계: 종골 골절의 술 후 방사선학적인 평가 (Correlations between the Clinical Results and Radiologic Evaluation after Surgical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

  • 박현우;김연준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7-16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factors for prognosis of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120 cases (feet) of calcaneal fractures, all of them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surgical procedures, consisted of 101 men (105 feet) and 13 women (15 feet)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collected clinical data were as follows : injury mechanism, surgical procedures, time to procedure, time to work and the radiologic data: Bohler angle, heel width, displacement of posterior facet. AOFAS hindfoot score and VAS score were checked. With ANOVA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processed statistically. Results: According Sanders classification, type II was 37 cases (31%), type III 66 cases (55%), and type IV 17 cases (14%). On plane radiography, the Bohler angle improved to average 28.4 degree from 5.6 degree, and the displacement of posterior facet was corrected to average 1.2 mm. AOFAS hindfoot score was checked average 81.7 points postoperatively, and the meaningful difference existed between types of Sanders classification. The Bohler angle represented the outline of the calcaneus had the better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outcome of calcaneal fractures rather than the anatomical reduction of the posterior facet did. And the width of calcaneus had good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score. Conclusion: We should also concern about the outline of calcaneus, the width of calcaneus and the Bohler angle representing anatomical reduction, not only the acute reduction of the posterior facet.

Sanders 4형 종골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의 치료 결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nd Primary Subtalar Arthrodesis for Sanders Type 4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 우승훈;정형진;배서영;김순규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9-58
    • /
    • 2017
  • 목적: Sanders 4형 관절내 종골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Sanders 4형 종골 골절로 진단되어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 11예와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11예를 비교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4.6개월(18-72개월)이었다. 술 후 6, 12개월 및 최종 추시 시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s ankle-hindfoot scale (AOFAS) 점수 및 visual analogue scale pain (VAS) 통증 점수를 측정하였고 환자 만족도, 직장 복귀 여부 및 술 후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AOFAS 점수 및 VAS 점수는 양 군 간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05)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 환자의 만족도가 높았다(p=0.008). 관혈적 정복술군에서 증상을 동반한 거골하 관절염으로 이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5예(45.5%)에서 시행하였다. 결론: 양 군 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이 술 후 만족도가 높아 빠른 일상 복귀를 필요로 하는 환자 혹은 2차 수술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종골 골절과 연관된 족근관 증후군의 치료 결과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Tarsal Tunnel Syndrome Associated with Calcaneus Fracture)

  • 이우천;김유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4-87
    • /
    • 2006
  • Purpose: To review the results of surgical decompression for tarsal tunnel syndrome associated with calcaneus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Six tarsal tunnel syndromes in five patients were surgically decompressed at our hospital with followed up of average 26.0 months (range, $12{\sim}36$ months). All patients were male and average age at surgery was 50.0 years (range, $33{\sim}69$years). All five cases developed after calcaneus fractures including one bilateral cas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Pfeiffer and Cracchiolo. Results: The result was good in three cases, fair in one case and poor in two cases. Four cases in four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reatment. Conclusion: Clinical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for tarsal tunnel syndrome associated with calcaneus fracture of the foot or ankle was improved and maintained in four of six c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