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합론

Search Result 38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 EST Sequence Annotation System Based On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서비스 지향 구조 기반의 EST 서열 주해 시스템)

  • Nam, Seong-Hyeuk;Kim, Tae-Kyung;Kim, Kyoung-Ran;Cho, Wan-Sup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3
    • /
    • pp.35-44
    • /
    • 2008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ST sequence annotation system based on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called SeqWeB. We developed the web services of eight applications (Phred, cross_match, RepeatMasker, TGICL, ICAtools, CAP3, Phrap and Blast) which are located in sequence annotation process and integrated the web services through BFEL. SeqWeB uses an XML file format for data input and output to maximize interoperability between each application. SeqWeB can be extended or modified easily through some modification such as insertion, deletion and replacement because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allows loose coupling between applications.

  • PDF

Decision Supporting Methodology and System Based on Theory of Constraints for Optimal Product Portfolio Strategy in Shipbuilding Industry (제약이론을 기반으로 한 최적제품조합 의사결정 지원 방법론 및 시스템)

  • Kim, In-Il;Han, Seong-Hwan;Kwon, Min-Chull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6 no.3
    • /
    • pp.362-371
    • /
    • 2009
  • Shipbuilding is a typical 'build to order' industry. It has a business model that generates revenues from building various ships and offshore products in accordance with owner's requirements at each production stage. Under uncertainty in shipping market, it is very essential for the shipbuilder to prepare the fast and competitive decision for product portfolio strategy in order to maximize contribution margin by exploiting production facilities and constraints.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unique decision supporting methodology for the optimal product portfolio sets based on Theory of Constraints(TOC). This methodology is established by adopting the concept of Drum Buffer Rope(DBR) in constraints planning and Throughput Accounting (TA) in management accounting of TOC. In addition, Decision Supporting System(DSS) is implemented. This DSS system provides a throughput estimator with reflecting the cost structure of shipbuilding industry and a resource simulator built on heuristic algorithms to operate major constraint-resources in shipyard such as dock, quay and pre-erection area etc. Several examples are presented to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and system can effectively support the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 of a global shipbuilding company.

Design of MuIti-Weight 2-Dimensional Optical Orthogonal Codes (다중 부호 무게를 가진 2차원 광 직교 부호의 설계)

  • Piao, Yong-Chun;Shin, Dong-J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1C
    • /
    • pp.1-5
    • /
    • 2008
  • 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OCDMA) systems make the active users to share the bandwidth by simply assigning distinct optical orthogonal codeword to each active user. An optical orthogonal code(OOC) is a collection of binary sequences with good correlation propertie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of determining the capacity of OCDMA systems. Recently, 2-D OOC construction method is frequently researched which is able to support more users than 1-D OOC. In this paper, a combinatorial construction of simple multi-weight 2-D OOC with autocorrelation 0 and crosscorrelation 1 is proposed and the bound on the size of these codes is derived.

Graph Modeling Method for Efficient Computation of Modular Exponentiation (효율적인 모듈러 멱승 연산을 위한 그래프 모델링 방법)

  • Park, Chi-Seong;Kim, Ji-Eun;Kim, Dong-Ky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898-900
    • /
    • 2005
  • 모듈러 멱승은 양수 x, E, N에 대하여 $x^Emod$ N로 정의된다. 모듈러 멱승 연산은 대부분의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과 전자서명 프로토콜에서 핵심적인 연산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효율성은 암호 프로토콜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모듈러 멱승 연산에 필요한 곱셈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 윈도우를 적용한 CLNW 방법이나 VLNW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합론(combinatorics)에서 많이 응용되는 그래프 모델을 모듈러 멱승 연산에 적용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일반화된 그래프 모델을 통하여 VLNW 방법보다 더 적은 곱셈 수로 모듈러 멱승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은 전체 곱셈 수를 감소시키는 새로운 블록들을 일반화된 그래프 모델의 초기 블록 테이블에 추가할 수 있는 초기 블록 테이블의 두 가지 확장 방법들로써, 접두사 블록의 확장과 덧셈 사슬 블록의 확장이다. 이 방법들은 새로운 블록을 초기 블록 테이블에 추가하기 위해 필요한 곱셈의 수와 추가한 뒤의 전체 곱셈 수를 비교하면서 초기 블록 테이블을 제한적으로 확장하므로, 지수 E에 non-zero bit가 많이 나타날수록 VLNW 방법에 비해 좋은 성능을 보이며 이는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음극 크기에 따라 가상 음극발진기를 이용한 고출력 마이크로파 발생 및 진단

  • 정민우;최명철;최성혁;조광섭;서윤호;최은하;엄환섭;신희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179-179
    • /
    • 2000
  • 음극의 크기에 따라 발생된 전자빔 전류가 도파관 영역에서 공간 전하 한계 전류를 초과할 경우 형성되는 가상 음극 (Virtual Cathode)을 이용한 축 방향으로의 고출력 마이크로파 발생 및 진단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실험에 앞서 전산모사를 통해 결과를 예측하고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순으로 하였다. 전산 모사는 2-1/2차원 Partical-In-Cell(PIC) 코드인 "MAGIC"을 사용하여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새로운 개념의 가상 음극발진기를 모사하고, 정확한 경과를 얻기 위해 강렬한 상대론적 전자빔 발생 장치인 "천둥"( 최대 전압 600kV, 최대 전류 70KA, 60ns)을 사용하여 전산 모사에 넣어줄 전류값을 얻었다. 음극의 반지름이 2.5cm 일 때 전파되는 최대 출력이 약 800MW인 마이크로파가 발생되었고, 이때 출력변환 효율이 약 30%임을 전산모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파하는 전기장의 축방향 성분(Ez)의 반지름 방향에 대한 분포 특성을 통하여 주된 전파 모드가 TM01와 그 상위모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졌음을 알았고 이때 기대되는 동작 진동수는 5~7 GHz임을 전산 모사 결과로부터 알 수 있었다. 실험을 통해서도 음극의 크기가 2.5cm 때, 최대 출력이 약 520MW인 마이크로파를 발생하였고, 이 때 출력 변환 효율은 약 8%이고, 방전 사진을 통해서 주된 동작 모드가 TM01와 그 상위모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졌음을 알았고, 이때 주된 출력 진동수는 5~6 GHz임을 알 수 있었다.는 5~6 GHz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the optimal 2-dimensional code generation algorithm for high-speed optical CDMA network (초고속 광 코드분할 다원접속 네트웍용 최적 2차 코드 생성 알고리즘 제안 및 연구)

  • 신종윤;박남규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3 no.5
    • /
    • pp.435-441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al 2-dimensional construction algorithm of a code family for a high-speed 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The optimal 2-D code family generated by search algorithm has better spectrum efficiency than previous codes, having relatively many code sets with short code length and the same or lower BER. Using the optimal 2-D code, OCDMA systems make it possible to utilize the spectrum more efficiently than WDM systems. The probability of bit error for high-speed OCDMA transmissions is calculated 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users in the presence of receiver and shot noise(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 Study on Tracing-Threshold of Public-Key Traitor-Tracing Schemes (공개키 기반의 공모자 추적기법에서의 추적 임계치에 관한 연구)

  • 임정미;이병선;박창섭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3 no.6
    • /
    • pp.121-127
    • /
    • 2003
  • The threshold value of the traitor-tracing schemes means a maximum number of traitors whose identities can be uniquely exposed using the tracing scheme. In the traitor-tracing scheme based on an error-correcting code, which is focused at this paper, the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by the error-correcting capability of the underlying error-correcting code. Analyzed in terms of a combinatorial property of the tracing scheme is the resulting effect on the tracing scheme when the collusion size is over the threshold value, and a possibility of two disjoint groups of users making an identical unauthorized decryption key is shown.

Approximation Algorithm for Multi Agents-Multi Tasks Assignment with Completion Probability (작업 완료 확률을 고려한 다수 에이전트-다수 작업 할당의 근사 알고리즘)

  • Kim, Gwa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2
    • /
    • pp.61-69
    • /
    • 2022
  • A multi-agent system is a system that aims at achieving the best-coordinated decision based on each agent's local decis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a multi agent-multi task assignment problem. Each agent is assigned to only one task and there is a completion probability for performing. The objective is to determine an assignment that maximizes the sum of the completion probabilities for all tasks. The problem, expressed as a non-linear objective function and combinatorial optimization, is NP-har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and efficient solution methodology. This paper presents an approximation algorithm using submodularity, which means a marginal gain diminishing, and demonstrates the scal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algorithm i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ways.

Implementation of Software Product-Line Variabiliy Applying 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를 적용한 프로덕트 라인 가변기능의 구현)

  • Heo Seung-Hyun;Choi Eun-Ma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4 s.107
    • /
    • pp.593-602
    • /
    • 2006
  •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has been developed for satisfying goals of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nd reduction in time-to-market through the reuse of software assets. The current methods that implement software product-line, one of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ies, interfere massively with the core assets, which require high cost in assembly level reducing the effectivenes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 as a method for improving assembly process in software product-line. The method that assembles core assets and variabilities is described by grammar elements such as Join point, pointcut and advice without code-change. We analyze requirements of a mini-system as an example adapting AOP and design using UML. Our study implements the variabilities, which are from design stage, using an Asp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spectJ and prove usability and practicality by implementing the proposed idea using an Asp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spectJ.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3차원 틀 개발 및 적용 :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Park, Se-Gi;Lee, Gi-Ye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7-67
    • /
    • 2010
  • 과학교육에서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하여 과학사 도입의 중요성이 계속 강조되어 왔다. 이에 따라 과학 교과서에는 많은 과학사 자료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가 어떤 유형과 맥락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3차원 틀을 개발하고, 이를 제 7차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내용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개발된 분석틀은 수업맥락, 역할, 제시유형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된다. 수업맥락 차원은 흥미, 사회-문화적, 인식론적, 개념적 맥락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되며, 제시유형 차원은 에피소드/일화, 발견/고안, 선형적인 발전, 역사적 실험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역할 차원은 기본적, 보충적, 탐구적의 3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3차원 분석틀을 적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수업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맥락의 과학사 자료가 모든 학년별 과학 교과서에서 가장 많았다. 역할 차원에서는 기본적 역할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탐구적 역할의 경우에는 매우 적었다. 제시유형 차원에서는 발견/고안과 선형적인 발전 유형이 대부분이었고, 에피소드/일화 유형의 자료는 주로 흥미 맥락과 연계되어 극히 일부만 사용되고 있었다. 3차원 각 영역들을 48개의 조합으로 분석한 결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발견/고안 유형'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선형적 발전 유형' 2개 조합에 집중되었으며, 나머지 조합들의 빈도는 매우 낮았다. 전체적으로 3차원 분석틀 각 영역에 부합하는 과학사 자료가 과학 교과서에 다양하게 포함되지 못하고 일부 영역에만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양한 수업맥락, 역할, 그리고 유형으로 과학사 자료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