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 평가툴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4초

마찰교반접합된 1925 hMo 스테인리스강의 미세 조직 및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riction Stir Welded 1925hMo stainless steel)

  • 안병욱;최돈현;송건;연윤모;정승부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23-23
    • /
    • 2010
  • 마찰교반접합(Friction Stir Welding)은 1991년 영국 TWI에서 개발된 접합 법으로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툴이 재료내부에 삽입 되면서 툴과 재료사이에서 마찰열이 발생하여 연화된 재료와 접합 툴 사이에서의 기계적 교반에 의해 소성변형이 일어남과 동시에 접합이 이루어진다. 마찰교반접합은 동적 재결정에 의한 접합부의 미세한 결정립 형성으로 인하여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며 보호 가스가 필요 없어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용융 용접 법에 비해 접합 시 에너지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마찰교반접합은 기존의 저융점 재료에 관한 접합을 넘어서 최근에는 철계 합금, 타이타늄 합금, 니켈계 합금 등 고융점 재료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마찰교반접합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강한 재료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내구성이 갖추어진 툴이 반드시 수반된다.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염화물의 농도가 높은 부식 환경에 적용되는 소재로서, 공식(pitting corrosion) 및 틈부식 (crevice corrosion)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기 위하여 Mo의 함량을 6%로 낮추고 20~25% Cr과 Ni을 첨가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고합금의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여타 내식성 합금에 비하여 내식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SO2 배출에 대하여 규제가 강화되면서 화력 발전소용 탈황 설비 중 일부 장비에서 6% Mo가 첨가된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_3N_4$ 툴을 사용하여 Mo이 6% 첨가된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1925hMo강을 마찰교반접합하였다. 툴 회전속도 (200rpm, 300rpm, 460rpm, 700rpm)를 변수로 하여 접합을 실시하였다. 접합 후 외관상태를 점검하였으며 광학현미경 (optical microscope)과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미세조직 관찰을 하였으며 경도 및 인장강도 측정 등의 실험을 통하여 접합부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후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통합 자산 저장소 구축 (Construction of Assets Integration Repository for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 박은주;김행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50-553
    • /
    • 2008
  • 최근 많은 기업들이 조직 내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CMMI 레벨 획득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CMMI 지원 솔루션들은 특정 프로세스 영역별로 분리되어 제한적으로 활용됨으로써 원활한 평가 지원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단계별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툴, 자산 그리고 산출물들의 연계적 적용, 관리를 지원하는 통합 저장소 활용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CMMI 관련 툴, 방법론 그리고 다양한 문서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 지원을 위한 통합 저장소인 PARMS(Process Assets Repository Management System) 개발 기술에 대해 서술한다. 즉, 통합 저장소 아키텍처와 메타데이터를 설계하고, 통합 모델을 제시한다. 이들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기 개발된 각 도구간의 효과적 네트워킹을 위한 미들웨어 아키텍처 구현은 CBD 개발 기법을 적용한다. 그리고 구현된 프로토타이핑 시스템 실행 예를 제시하고 저장소 평가 모델을 적용하여 평가한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기존의 지원 도구로부터 산출되는 이질적인 산출물들을 통합하여 보다 쉽고 간편한 제어 및 관리를 가능케 하며, 통합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자산을 통해 CMMI의 인증 지원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가능하다.

백서 날문부에서 스텐트 유도 조직 과증식 형성을 위한 전임상 모델에 관한 연구 (A Rat Pylorus Stricture Model to Create Stent-induce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 김민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59-565
    • /
    • 2022
  • 대체적으로는 전임상 평가로써 소·대동물을 통한 의료기기 개발 평가를 이루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계 위 날문부 협착 치료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조직 과증식 형성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파일럿실험으로 백서 3마리에서 날문부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정상의 날문부 사이즈를 확인하였으며, 그에 맞는 사이즈의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1주일 내에 모든 백서에서 스텐트의 이동이 확인되었으며 본 실험에서는 스텐트를 투시 가이드 하에 gastrostomy 후 스텐트 삽입 시 날문부를 suture 하여 고정하여 조직 과증식이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20마리의 백서를 Healthy Group / Gastrostomy Group으로 나누었다. Stent Group 백서를 마취 후 복부 절개 후 투시 가이드하에 gastrostomy를 실시하여 위 날문부에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또한, 연동운동에 의한 스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의 스텐트와 스텐트가 삽입된 위의 날문부를 suture 하여 고정하였다. 수술 후 행동 및 체중 변화를 매주 모니터링 하였다. 수술 후 4주 뒤 위장조영술을 시행 후 희생하였다. 위의 날문부 과증식 정도 평가를 위해 희생 후 적출한 위의 날문부 병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직병리 및 면역 염색 평가에서 Gastrostomy Group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all p<.001). 결론적으로 Gastrostomy를 통한 위 날문부 수술 모델은 위 날문부 스텐트 삽입술 전임상 평가를 위한 조직 과증식의 형성 정도가 연구평가 툴로써 적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KPA rating 데이터 보정을 통한 성숙도 설문서(MQ) 선정 모델의 신뢰성 평가 (Reliability Test of Maturity Questionnaire Selection Model Through KPA Rating Data Calibration)

  • 김우송;이은서;이경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43-45
    • /
    • 2003
  • 소프트웨어 공학이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관한 방법론, 기술 및 툴 등의 유지보수와 개발에 중점을 두어 왔는데 최근에는 프로세스 개선과 프로세스 능력수준의 향상에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발전하면서 CMM 및 SPICE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심사기법은 대규모의 회사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어서 중소규모의 조직을 위한 간략한 심사기법의 도입이 요구되는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심사기법은 CMM 심사를 위한 KPA 설문서의 rating 방법을 응용한 것으로서 SPICE 심사를 받은 국내 기업 중 일부 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방법론에 대한 신뢰성의 평가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 통계학적 접근방법을 도입하였는데 사용된 통계 기법은 상환계수를 통한 가설검정이다. 그 결과 성숙도 설문서(MQ) 선정모델의 적합성을 통계적 기법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 PDF

OLAP 상에서 데이터 접근 제어 메커니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ta Access Control Mechanism based on OLAP)

  • 민병국;최옥경;김강석;홍만표;예홍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9C권2호
    • /
    • pp.91-98
    • /
    • 2012
  •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툴은 조직 운영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분석 수요도 함께 급증하며 전문 분석가의 역량만으로는 처리할 수 없는 분석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툴이다. OLAP에서는 다양한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대화식으로 질의를 던지고 응답을 받아 분석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많은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을 하게 됨에 따라 조직의 민감한 데이터를 지키기 위한 보안 정책이 필수가 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OLAP의 기능적인 분석에 치중하여 MDX(Multidimensional Expressions)와 XMLA(XML for Analysis) 등의 기법으로 기능을 구현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효율적인 정보 보호를 위한 데이터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데이터 접근 방법이 실제 OLAP 환경에서 효율성 있게 동작함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평가를 수행하여 본 연구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툴 재료가 마찰교반접합된 409 스테인리스강의 부식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ol Materials on Corrosion Properties of Friction Stir Welded 409 Stainless steel)

  • 안병욱;최돈현;송건;연윤모;이원배;이종봉;정승부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2-42
    • /
    • 2009
  • 마찰교반접합 (Friction Stir Welding)은 1991년 영국 TWI에서 개발된 접합 법으로서 회전하는 툴이 재료내부에 삽입되면 툴과 재료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재료는 연화되고, 이러한 재료 내부에서 회전하는 툴이 이동하게 되면 재료 내부는 기계적 교반에 의해 소성변형이 일어남과 동시에 접합이 이루어진다. 마찰교반접합은 동적 재결정에 의한 접합부의 미세한 결정립 형성으로 인하여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며 보호 가스가 필요 없어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용융 용접 법에 비해 접합 시 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또한 접합 후 접합부에서의 변형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마찰교반접합은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그리고 동 합금과 같은 저 융점 비철재료에 많은 연구와 적용 사례들이 있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반 탄소강, 연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니켈 합금, 티타늄 합금과 같은 고융점 재료에도 연구 및 적용이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가격이 비싼 Ni을 함유하지 않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비하여 강재의 가격은 낮으면서도 고온특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여 건축용, 자동차 배기계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장점을 가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기존의 용융 용접 법으로 접합 시 용접부 및 열영향부에서의 결정립의 조대화로 인한 인성 및 연성이 저하되며, 특히 예민화된 열영향부 입계 내에 Cr 탄화물이 석출되어 입계주변에 Cr 결핍 층을 형성되어 입계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찰교반접합을 이용하여 두께 3mm의 409 스테인리스강에 대해 맞대기 접합을 실시하였다. 접합 변수를 툴의 재료 (WC-12wt%Co, $Si_3N_4$)로 하여 접합을 실시하였고 접합 후 외관상태 점검, 광학 현미경과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였으며 황산-황산동 부식 시험을 실시하여 접합부의 부식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아웃소싱 확대를 통한 IT 유연성 강화: 유통업체 A사 사례를 중심으로 (Building up IT Flexibility with Outsourcing Expansion: A Case Study of Distribution Company "A")

  • 조동환;최유정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1-23
    • /
    • 2012
  • 오늘날 급격하게 변화하는 정보기술 시장에서, IT 아웃소싱은 지속적인 경쟁우위 달성 및 IT 유연성 확대를 위한 전략적 도구가 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IT 아웃소싱을 도입하길 원하지만, IT 아웃소싱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한 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인 A업체를 대상으로 IT Outsourcing의 구체적 평가 방법론과 과정에 대한 심층적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기업의 내/외부 환경을 분석하고, 조직/인력/직무 평가를 실시하며, 마지막으로 IT 아웃소싱 업무를 선정하고 인력을 재배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IT outsourcing을 위한 절차 및 방법론을 통해 IT outsourcing을 준비하는 기업들에게 실무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AZ61 마그네슘 합금 마찰교반용접부의 기계적 특성 평가 및 미세조직 분석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Analysis of Microstructure of AZ61 Magnesium Alloy Butt Joints by Friction Stir Welding)

  • 선승주;김정석;임재용;이우근;고요한;김영민;유봉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17-42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AZ61 압출 판재 마찰교반용접부의 기계적 강도 평가와 미세조직 평가를 수행하여 최적의 용접조건을 도출하였다. 용접조건은 용접 툴의 회전속도 400, 600, 800rpm, 이송속도 200, 300, 400mm/min으로 선정하였다. 인장시험 및 경도시험을 통해서 용접부의 기계적 강도 평가를 하였으며, 파단면 관찰과 용접부 단면 미세조직 관찰을 통해서 용접부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였다. 용접부 특성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용접조건 내에서 AZ61 압출 판재의 최적용접조건은 회전속도 800rpm, 이송속도 200mm/min이었고, 용접부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그리고 연신율은 모재 대비 79.0%, 65.4%, 30.1%로 측정되었다.

MSPI설계를 통한 유해 트래픽 차단 (Malicious Traffic Protection through MSPI Designing)

  • 노시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31-42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기존 정보보안체계의 취약성에 대처하고 보다 강력한 침입차단을 위해 통합화 된 인프라스트럭처 구조를 제안했다. 제안된 인프라스트럭처는 정보보안 프레임워크, 기능메커니즘, 통합화구조에 기반한 정보보호스킴으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은 오늘날의 바이러스방역환경에서 악성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인프라스트럭쳐를 기본으로 구조개선과 스캐닝툴의 효과적인 결합을 통한 대응이 최적의 접근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인프라스트럭처상에서의 성능분석모델을 제시했으며 이 분석모델을 통해 1단계, 3단계, 5단계 차단단계별 성능측정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보여줬다. 최적의 정보보호를 위한 효율적인 인프라스트럭처 구조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조직에 의해 계속적인 진단과 평가 및 튜닝이 필요함을 본 연구에서는 결론으로 강조했다.

  • PDF

NaOH 용액을 이용한 부식성 식도 협착 동물모델 형성에 관한 연구 (Corrosive Stricture Model Induced-Esophageal Burn : Animal Pilot Data)

  • 김민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43-6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식성 식도 협착 모델을 만들어 전임상연구 모델로서의 가능성과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20마리의 백서를 Healthy group / Corrosive group으로 나누고, 부식성 화상은 하부 식도에 30% NaOH를 사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수술 후 행동 및 체중 변화를 매주 모니터링했습니다. 수술 후 3주 뒤에 식도조영술을 시행한 후 모든 쥐를 안락사 희생시키고 병리학적 분석을 위해 하부식도를 파라핀블럭 제작하였다. 부식성 협착에 대한 기술적 성공은 100%였습니다. 총 2마리의 백서가 연하곤란과 관련된 부식성 화상으로 Corrosive group에서 14일 이내에 사망했다. 식도 협착 비율은 Corrosive group이 Healthy group보다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40.1 ± 9.2% 및 1.4 ± 7.2%; p = 0.001). 조직 증식 비율도 Corrosive group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각각 62.5 ± 9% 및 22.08 ± 6%; p = 0.001). 결론적으로, 30% 농도의 NaOH를 이용한 백서 부식성 모델은 전임상 연구 평가 툴로서 다양한 부식성 식도 협착 치료 전임상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