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 지원 인식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5초

철도기관을 대상으로 한 사업연속성 인식도구의 타당성 검증 (Verification of Validity on Awareness Tool of Business Continuity for Railway Organizations)

  • 장정호;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95-203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철도관계기관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연속성 인식의 하위 요인에 대한 측정/분석을 통해 사업연속성 인식 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사업연속성 인식 측정도구에 대해 하위 요인을 7개로 구분한 총 29개 문항을 이용하여 철도관계기 관의 임직원 대상 온라인 설문 및 방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보았을때, 사업연속성 인식 척도는 이론적 근거를 통해 가정한 요인 수는 7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전체 설명량은 82.616%였다. 요인별로 문항 확인 시 모든 문항이 기존에 측정하고자 한 요인으로 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조직의 이해, 리더십, 기획, 운영, 지원, 실적평가, 개선을 하위 요인으로 하는 철도기관의 사업연속성 인식에 대한 측정도구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과제로는 재난 관련 기관에서 사업연속성계획의 실질적인 작동성 유지 및 고도화를 위해 본 도구를 변수로 사용한 사업연속성 내재화, 조직효과성, 학습지원환경 등과의 구조적인 관계 연구가 필요하다.

새만금유역에서 농업비점오염 관련 지식흐름과 교육효과 분석 (Analysis of knowledge flow and education effect on the Saemangeum)

  • 장정렬;김미선;김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3-113
    • /
    • 2015
  • 공공수역 수질오염 관리에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새만금호 유역은 농경지비율이 40%로서 넓기 때문에 농업비점오염 관리가 중요하다. 농업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기법 연구는 국내에서 그 간 상당 수준으로 진행되었지만, 그 기법을 실행할 주체인 농업인이나 지역주민의 역량이나 농업비점오염의 인지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새만금유역에서 농업비점오염과 관련된 주체들 간의 정보의 소통과 흐름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또한 농업오염 교육 전후에 있어서 지역주민과 농업인의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농업비점오염과 관련된 주체들 간의 지식흐름은 매크로레벨 즉, 정책입안자, 전문가 레벨에서 관련정보가 정체되어 있었고, 실제 농업비점오염 관련 저감 기법이나 정책을 실행하는 주체인 마이크로레벨의 농업인과 지역주민, 이를 지원하는 시군 공무원, 지역전문가 등 매소레벨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로 가공 전달되지 못하고 있었다. 농업부서와 환경부서 사이의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정 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한 소통이 있는 반면, 정보의 의도적 차단, 자기조직의 대응을 위한 형식적, 임시적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귀농인과 친환경농업인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는 교육 전 38.1%에서 교육 후 100%로, 교육 후 농업비점이 오염원이라는 인식도도 친환경농업인 91%, 귀농귀촌인 78%로 응답하였다.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수질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는 친환경농업인은 5점 만점에 3.67점, 귀농귀촌인은 4.05점,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친환경농업인은 4.05점, 귀농귀촌인은 4.09점으로 두 집단 모두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친환경 농업은 저감기법의 오염 저감 효과는 높게 인식하였지만, 직접 실행해 볼 의사는 3.4점, 저감 기법을 주위에 소개나 권고할 의사는 3.5점이었다. 또한, 실행 가능한 저감 기법으로는 퇴액비 사용, 완효성 비료사용, 녹비작물재배 등의 순이었다. 저감기법이 어렵다고 응답한 이유는 복잡할거 같다, 귀잖을 것 같다, 추가비용으로 손해, 저감효과 신뢰성 부족, 농업은 오염원이 아니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주체들 간의 정보와 지식흐름을 이어줄 중간조직의 필요성과 농업인의 인식의 변화가 행동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홍보 기법과 농업인의 수용성이 높은 저감기법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소방공무원의 법적 분쟁 시 법률지원을 위한 인식조사 분석 (Perception survey analysis for legal support in case of legal disputes among firefighters)

  • 임영진;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95-507
    • /
    • 2023
  • 이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적 분쟁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대한 효율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법적 분쟁에 대한 인식조사를 위해 소방공무원 3,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으며, 설문에 참여한 50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소방공무원의 법에 대한 인식조사를 근거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초통계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방공무원은 직무 수행 과정에서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직장 내 불이익과 정신적 불안, 시간적, 물질적 손실 등 많은 부분에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효율적 대응 방안으로 직장 내 조직적인 대응의 필요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이 법적 분쟁으로부터 자유롭게 직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각 시·도 소방본부 내에 전문 법률지원팀의 설치와 상설 운영을 제언한다.

조직의 정보보안 목표 설정과 공정성이 보안정책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Information Security Goal Setting and Justice 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Intention)

  • 황인호;김승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7-126
    • /
    • 2018
  • 전 세계적인 정보보안 위협의 증대에 따라 조직들은 보다 전문화된 정보보안 정책 및 시스템을 도입 및 활용에 투자 비중을 높이고 있다. 정보보안은 보안 시스템 및 정책을 이행하는 조직원들의 참여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조직 내부의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원들의 정보보안 준수의도 향상을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보안 분야에 공정성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을 적용하여 조직원의 정보보안 준수의도를 높이기 위한 매커니즘을 찾는다. 즉, 보안정책 목표설정이 조직원들의 보안관련 공정성 인식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정성은 준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델 기반 가설 검증을 실시한다. 연구대상은 정보보안 정책을 도입한 조직의 조직원들이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유효샘플 383개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보안정책 목표 요인(목표 난이도, 목표 구체성)이 조직원의 보안관련 공정성 인식을 높이며, 보안관련 공정성(분배, 절차, 그리고 정보 공정성)이 준수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조직의 보안 정책에 대한 조직원들의 준수의도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보건소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 권동연;안재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44-55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public healthcare center workers. In specific, authors focu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one between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thods: For the empirical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of workers in the public healthcare center, and 502 final data was secured after eliminating the insufficient ones, which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Emotive effort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emotive dissonance show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motive effort showed to reduce the level of all job burnouts while emotive dissonance showed to increase the level of all job burnouts. All job burnout show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burnout showed to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lusion: Emotive efforts of emotional labor has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le emotive dissonance has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verall. Therefore, public healthcare center should try to seek for proper way to reduce job burnout of workers, because job burnout functions as mediating element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부모의 지원과 조직문화, 결혼지원정책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rriage Support Policies on the Intention of Marriage of Unmarried Workers)

  • 황인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15-34
    • /
    • 2021
  • 본 연구는 미혼직장인의 개인 관련 변인, 부모 관련 변인, 직장 관련 변인, 정책 관련 변인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결혼의향을 상승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종속변수인 결혼의향은 결혼의향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경제자원은 월평균소득과 자산총액을 측정하였고, 부모의 지원은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 도구를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직무만족도는 김혜영, 선보영과 김상돈(2010)의 근무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고, 가족친화조직문화는 Tomson, Beauvais & Lyness(1999)의 도구 중 방묘진(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결혼지원정책필요성은 김혜영 외(2010)의 도구에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6-2020)'을 추가로 구성해 측정하였다. 측정도구의 적절성 확인을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총 480부 자료를 IBM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혼직장인 결혼의향의 유의미한 차이는 성별, 연령, 교육기간, 자산총액, 부채유무로 나타났고, 부모경제수준과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도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와 직무만족도, 가족친화조직문화에 따른 결혼 의향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정책 관련 변인에 따른 결혼의향 차이는 자금주택정책필요성과 결혼준비정책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 관련 변인, 부모 관련 변인, 직장 관련 변인, 정책 관련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연령,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이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고, 가족친화조직문화와 자금주택정책필요성도 유의미한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자금주택정책필요성이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부모의 주택결혼비용지원가능성과 직장의 가족친화조직문화도 미혼직장인의 결혼의향 향상에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갈등이 일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ole Conflicts on the Work-related Flow of Childcare Teachers)

  • 이경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Mihaly Csikszentmihalyi가 제시한 인지적, 정의적, 동기적 차원의 플로우 개념을 바탕으로, 어린이집 교사가 직업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일 플로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일 플로우가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갈등의 다양한 요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4명의 어린이집 교사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일 플로우 변수군(몰입, 즐거움, 내재적 동기)과 역할갈등 변수군(교사개인, 유아, 조직구성원, 학부모, 행정 및 업무지원, 장학, 사회적 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개별변수들의 상호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집교사의 일 플로우와 역할갈등 변수군 간의 관계는 상호교호적인 한편, 일 플로우의 예측변수로서 역할갈등을 설정하는 인과관계모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린이집교사의 일 플로우의 변수 중 몰입과 즐거움은 교사개인 및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영향력이 높고, 즐거움은 행정 및 업무지원과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영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 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어린이집교사의 개인적, 조직적 맥락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플로우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기업 내 기업가정신과 감성지능, 지원적 리더십, 적응성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Intrapreneu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Supportive Leadership and Adaptation Performance in Organization)

  • 김종관;박기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289-301
    • /
    • 2018
  • 사내기업가정신은 기업 내 기업가정신으로 지칭되기도 하며, 조직 내에서 변화의 기회를 인식하고, 평가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는 기업 혁신의 원동력으로 사내기업가정신이 발휘되는 모든 조직에서는 높은 경영성과를 창출해 낸다는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내기업가정신과 개인의 적응성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사내기업가정신과 개인의 적응성과의 관계에서 지원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부산광역경제권의 기업에 종사하는 종업원(편의상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생, 재학생 중 지역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설문조사하여 총 113명의 설문결과를 통해서 이들 변수들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고 그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사내기업가정신과 개인의 적응성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와 지원적 리더십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보건소 간호사의 개인-직무적합성과 조직지원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Person-Job Fi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on the Public Health Center Nurses : Moderating Effect of Full-time Public Servants and Temporary Public Servants)

  • 박시현;권동연;남혜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8-19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person-job fit as the basis for a better job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wi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45 public health center nurs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were verified for use by SPSS & AMOS 22 ver. to target to nurs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First, the person-job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ull-time public servants and temporary public servant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son-job fit, job satisfaction as a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mediated effect for nurses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The nurses in government service containing permanent and temporal employees was the adjustment effec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ability of public health center nurses to perform tasks related to person-job fit and the ability of the individual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high. In addi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good.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부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rnal Organizational Factors to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 김기영;최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5-354
    • /
    • 2015
  • 본 연구는 도서관 내부의 조직적인 관점으로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에 접근하여, 주제전문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부적 영향요인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서관 조직 내부에서 주제전문서비스와 관계있는 사서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조직구성원 개인 수준, 주제전문서비스 담당 팀의 수준, 도서관 전체 조직 수준에서의 주제전문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조직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주제전문서비스는 팀 내 중요성 인식, 팀 차원의 지원과 협력, 동기부여와 팀 효능감, 내부 커뮤니케이션 등의 조직행동요인으로 설명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도서관의 목표달성에 기여하는 단위 활동으로서 주제전문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조직 차원에서 고려하여야 하는 내부요소를 탐색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