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학적 확인

검색결과 1,330건 처리시간 0.023초

N2 병기의 비소세포성 폐암 수술 후 림프절 전이 양태에 따른 생존율 비교 및 예후 인자 분석 (Analysis of Prognositic Factors and Long-tenn Survival According to the Pattern of Lymph Node Metastasis in Surgically Resected N2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 정경영;김시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74-485
    • /
    • 2000
  • 배경 및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원발성 비소세포성 폐암에 있어서, 병리학적 N2병기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에 있어서 림프절 전이양태에 따른 수술 후 장기 성적을 평가하고, 여러 가지 임상, 병리학적 예후 인자들에 따른 위험 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술후 병리학적 N2 병기로 확인된 환자는 총 180명(남자 145, 여자 35)이었다. 병리 조직학적 분류로는 편평상피세포암이 47.2%, 선암이 43.9%, 선편평상피세포암이 3.3%, 대세포암이 2.2% 기타가 3.8% 이었다. 총 180명의 환자 중 수술사망 10명(5.6%)을 제외한 170명 환자에서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다. 추적조사가 불가능한 환자는 없었고 평균추적조사기간은 25.0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생존율은 20.6%이었으며 중간 생존 기간은 21.1개월이었다. Cox 비례위험 모형을 이용해서 다변분량분석을 해보았을 때 60세 이하의 환자들에 비해서 60세 이상의 그룹에서 위험도가 2.1배(p<0.001) 높은 것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고, 그 외 통계학적으로 고려해 볼만한 요인들로는 수술 전 T 병기가 2이하인 환자들에 비해서 3이상의 환자에서 1.63배(p=0.07) 그리고 편평상피세포암환자에 비해서 비편평상피세포암 환자가 1.5배(p=0.0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 중 스텝와이즈 처리(stepwise procedure)를 이용해서 3개의 독립적인 예후 인자들을 구해보았는데 환자의 나이가 60세 이상일 때, 병리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이 아닐 때 그리고 혈관침범이 있는 경우에서 각각 비교 그룹에 비해서 2.1, 1.5, 그리고 1.9배의 위험도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N2 병기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들을 예후가 더 불량하다고 생각되는 세부그룹으로 나누어서 비교해 보았다. 수술당시 나이가 60세 이상이면서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비편평상피세포암인 환자군에서 5년 생존율은 5.0%였으며 2가지 인자에 모두 해당되지 않는 환자군은 5년 생존율은 56.6%(p<0.001)을 보였다. 또한 혈관침범을 보이면서 비편평상피세포암인 환자군에서 5년 생존율은 11.9%였으며 2가지 인자에 모두 해당되지 않는 환자군은 5년 생존율이 33.6%였다.(p=0.01). 결론 : 본 연구의 수술당시의 나이가 가장 유의한 예후 인자로 판명되었고, 아울러 혈관침범의 유무와 병리조직학적 소견도 중요한 예후 인자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수술 전 종괴의 크기 등도 수술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안자들이라고 생각한다. 종격동 림프절 전이 양태에 따른 술후 장기 성적을 원발 병소에 따라 비교해 보았을 때는 원발병소가 우하엽이면서 상종격동 림프절에 전이양성인 환자들에서 통계학적인 의의에 근접할 정도의 낮은 생존율을 보였고, 그외에 단일 림프절 전이, 단일 부위 전이, 양성으로 판명된 림프절의 개수, 그리고 상종격동 림프절 전이 양성의 여부도 수술 후 장기 성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는 좀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조직내교잡법을 이용한 결핵균의 검출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by In Situ Hybridization)

  • 박창수;김영철;이지신;정종재;김두홍;김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699-708
    • /
    • 2000
  • 배경 : 올리고누클레오티드 탐식자를 이용한 조직내교잡법은 감염성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는 분자병리학적 검사방법이다. 그러나 결핵균의 세포벽에는 다량의 지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탐식자의 침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식자의 침투력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알아보고, 결핵의 조직학적 진단법으로써 조직내교잡법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방법 : 결핵으로 진단된 환자의 인체조직 절편과 배양된 결핵균을 흰쥐의 간 조직 내에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제작한 실험조직 절편을 실험대상으로 하고, 바이오틴을 부착시킨 올리고누클레오티드 탐식자를 이용하여 조직내교잡법을 시행하였으며, 탐식자의 효과적인 침투를 위해 전처리를 시도하였다. 결과 : 펩신-염산 (2 mg/ml, 0.1M) 혼합액을 이용한 전처리 과정 (5-6분) 후 조직내교잡법을 수행한 결과 배양된 결핵균을 주입한 실험조직에서 결핵균의 검출에 성공할 수 있었다. 간 조직이 주사바늘에 의해 기계적으로 손상된 자리를 따라 군데군데 위치하고 있는 배양액 내에서 불규칙하게 모여있는 점상 혹은 간상의 양성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민감도는 80-90% 수준이었다. 그러나 결핵환자의 조직절편에서는 조직내교잡법을 이용하여 결핵균을 검출할 수 없었다. 결론 : 이는 배양액 내에서 빠르게 증식하는 결핵균과는 달리 인체에 감염된 결핵균에서는 rRNA의 양이 적어, 바이오틴이 부착된 탐식자를 이용한 조직내교잡법의 민감도를 벗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향후 조직내교잡법으로 인체조직 내의 결핵균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제자리 중합효소연쇄반응 (in situ PCR) 법의도입이나, 보다 높은 민감도를 갖는 동위원소를 부착 시킨 탐식자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슈트 정단분열조직의 체제와 기능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shoot apical meristem affecting growth and development in plants)

  • 이규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180-193
    • /
    • 2014
  • 식물에서 슈트 정단부에는 분열하는 세포들로 이루어진 슈트 정단분열조직이라는 조그마한 부분이 있다. 슈트 정단분열조직은 그 식물의 일생을 통해서 땅 위의 모든 구조를 만들어 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250년 동안 슈트 정단분열조직의 체제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발전해 온 이론들을 기술하여,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슈트 정단분열조직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 1759년 볼프(C. F. Wolff)가 최초로 슈트 정단분열조직을 기재한 이후, 1858년에 네겔리(C. N${\ddot{a}}$geli)는 무종자 유관속식물의 슈트 정단분열조직에서 하나의 커다란 정단세포를 관찰하여 정단세포설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설은 종자식물에 적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서 1868년 한스타인(J. Hanstein)에 의해 조직원설이 제한되었으나, 이 설도 종자식물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없었다. 그 후, 1924년 슈미트(A. Schmidt)은 피자식물의 슈트 정단분열조직에서 세포의 분열면이 서로 다른 것을 관찰하여 초층-내체설을 제안하였다. 이 설은 나자식물에 적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938년 포스터(A. Foster)는 세포조직학적으로 서로 다른 구역으로 이루어진 나자식물의 슈트 정단부를 관찰하여 세포조직학적 구역화설을 제안하였다. 또한 1954년 기포드(E. Gifford)의 연구에 힘입어 피자식물의 슈트 정단분열조직에도 세포조직학적 구역화설이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또 다른 설로서, 1952년 뷔바(R. Buvat)는 대기 분열조직설이 제안되었으나, 영양생장 시기에 분열조직 중앙의 시원세포들이 분열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수용되지 않았다. 최근에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를 이용한 연구에서, 슈트 정단분열조직의 형성과 유지가 몇 개의 유전자들에 의해서 조절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SHOOTMERISTEMLESS(STM) 유전자는 슈트 정단분열조직을 형성하고, WUSCHEL(WUS) 및 CLAVATA (CLV) 유전자들은 슈트 정단분열조직을 유지시키며, WUS와 CLV 두 유전자들 사이의 신호전달은 음성되먹임회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연부조직 종물의 진단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심부 침생검 (Ultrasound-guided Core Needle Biopsy in Diagnosis of Soft Tissue Masses)

  • 김정일;윤명수;천상진;최경운;이태홍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3-119
    • /
    • 2004
  • 목적: 근골격계 종물의 진단에 있어 초음파 유도하 생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8월 사이에 본원 정형외과를 내원한 환자 중 연부조직 종물을 가지는 환자의 진단을 위하여 조직 생검이 필요하였던 5 5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조직검사는 초음파 유도하에서 조직의 채취 부위에 국소마취하에 시행하였으며 14 gauge 또는 18 gauge의 굵은 바늘을 사용하여 5~6개의 조직을 얻을때까지 시행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임상적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던 11명의 환자와 수술적 절제 후 조직의 최종 확인이 가능한 38명을 포함하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불충분한 조직을 얻은 경우나 조직학적 진단이 불가능한 6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정확한 진단은 49명의 환자중 47명의 환자에서 얻을 수 있어 정확도는 96%였고 민감도는 90%, 특이도는 100%였다. 전체 55명의 환자중 89%(49명)에서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한 충분한 조직을 얻을 수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생검은 연부 조직 종물의 정확한 위치에 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어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이나 골종양의 진단에서 골외 부분이 있는 경우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하면서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한국산 거머리(Erlsobdell$\alpha$ lineata) 전, 후 흡반의 구조에 관한 연구 (Structural study on the Anterior and Posterior suckers of Korean Leech (Erpobdella lineata))

  • 장남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81-288
    • /
    • 1994
  • 한국산 거머리(Erpobdella lineate)의 전, 후 흠반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직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거머리 전, 후 홍안에서 관찰된 상피세포는 불규칙한 단층원주형 상피로 되어 있으며, 상피세포의 상단에는 큐티를층이 있고 측면원형질 막은 거치상을 이루면서 여러개의 desmosome이 관찰되 었다. 큐티클층은 projection eplcuticularis, amorphorous stratum 및 fibrous stratum 등 3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전, 후 출반의 상피조직 사이에서 공히 a형 분비과립과 b혐 분비과립 등이 관찰되었는데, 이 세포에서 분비된 과립들은 중성점액다당류로 확인되었다. 전 흠반의 횡단면 상피조직 밑에서 많은 근육세포들조 형성된 원형의 집단들이 다수 관찰되었는데, 이는 흠반의 흡수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비교적 통근형태의 근육세포들은 세포의 원형질막 내측에 많은 근섬유 다발을 지니고 있고 그 중앙에는 cristae가 발달된 많은 수의 사립체들이 모여 있었다. 전, 후 출반의 결합조직 내에서 5종류(A, B, C, D 및 I 등)의 분비과립들이 관찰되었다. 그 중 C, D 과립은 전, 후 흡반에서 공통으로 관찰되고, A, B 과립은 전 흠반에서, E 과립은 후 흠반에서만 각각 관찰되었는데, 이들 역시 모두 중성점액다당류로 확인되었다.

  • PDF

Trichosporonoides madida 균주의 성상 및 실험동물에 대한 병원성 (Characterization of Trichosporonoides madida and Evaluation of Virulence in Laboratory Animals)

  • Jong-Bae Kim;Young-Mi Kim;Sang-Wook Par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7-82
    • /
    • 1997
  • Trichosporonoides madida와 같이 자연계에서 새로 분리된 균종을 산업 분야에서 이용하기 위하여 이들 균종의 제반성상을 명확히 확인하여야 함은 물론 분리균주의 병원성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실험에서는 자연계에서 분리된 T. madida 분리균주의 제반성상을 확인하고 실험동물에 대한 병원성 여부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산업미생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T. madida N-5-3 분리 균주의 생화학적, 형태학적인 특성은 전형적인 T. madida 균주의 미생물학적인 특징과 모두 일치하였다. T. madida N-5-3 균주의 실험용mouse에서의 복강내 투여 치사량 $(LD_{50})$은 실험에 사용한 $1{\times}10^1$에서부터 $1{\times}10^8$ 투여 시까지 사망하는 동물이 관찰되지 않아 $1{\times}10^8$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1{\times}10^8$의 시험균주를 실험용 mouse의 복강에 접종한 후 각 시기 별로 심장, 폐, 간, 비장 및 신장에서의 시험균주의 증식 여부를 조사한 결과 간과 비장에서만 접종 후 2일까지 $1{\times}10^{4.3}$에서 $1{\times}10^{2.87}$의 시험균주가 분리되었으나 접종 4일째부터는 시험기간 완료일까지 접종균주가 전혀 관찰되지 않아 실험동물 체내에서 신속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시험균주 접종에 따른 mouse내부장기의 조직학적인 변화를 조사한 결과 특징적인 병리학적 소견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T. madida N-5-3 분리균주는 산업분야에서 이용시 공중보건학적인 관점에서 비병원성 균주이며 안전한 균주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홍민어 Sciaenops ocellatus에서의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viral nervous necrosis (Occurrence of viral nervous necrosis(VNN) in red drum(Sciaenops ocellatus) larvae)

  • 김진도;김석렬;정성주;김영진;정태성;최태진;박성우;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95
    • /
    • 2001
  • 1999년 10월에서 11월 사이에 남해안 일대의 홍민어 종묘 생산장에서 20~30열령의 치어가 척추만곡 및 이상유영을 하며 대량 폐사하였다. 병어는 특이 외부 증상이 없었고, 높은 누적폐사량이 바이러스 질병으로 의심되어, 조직학적 및 분자생물학적인 검사를 행하여 폐사원인을 확인하였다. 폐사개체의 조직을 H-E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뇌와 안구의 신경세포에서 공포와 괴사가 관찰되었고,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안구와 뇌에서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RT-PCR 결과에서는 ${\fallingdotseq}426$ bp의 DNA 단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홍민어에서 발생한 대량폐사는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VNN)으로 진단되었다.

  • PDF

비장 조직에서 에탄올 대사체(EtG, EtS)를 검출하는 방법과 유효성 확인 (Method validation of detecting ethanol metabolites (EtG, EtS) in post-mortem spleen)

  • 김수민;조영훈;안성희;이우재;권미아
    • 분석과학
    • /
    • 제34권3호
    • /
    • pp.115-121
    • /
    • 2021
  • 에탄올 대사체인 에틸글루쿠로나이드(ethyl glucuronide, EtG)와 에틸설페이트(ethyl sulfate, EtS)는 에탄올 섭취의 직접적인 지표물질로서 여러 생체 시료에서 법과학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부검 변사자에게서 검출된 에탄올이 사망 전 음주에 의한 것인지 사후 부패에 의해 생성된 에탄올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에탄올 대사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에서 에탄올과 함께 EtG, EtS를 검출하고 있지만 부패 상황에 따라 혈액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조직 생체시료를 이용해 에탄올 대사체를 검출함으로써 이를 대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중에서 비장을 선택하여 LC-MS/MS를 이용해 EtG, EtS를 검출하였으며 시험법이 적합한 방법인지를 증명하기 위해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여 법과학적 감정에 사용할 수 있는 분석법을 완성하고 실제 부검 사례에 적용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Focusing on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손다진;김경화;신은경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101-111
    • /
    • 2023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특성, 직업특성, 조직특성 등 다차원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장애인복지관 45개소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77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는 연령(-)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특성 중에서는 탄력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특성 중에서는 이직의도(-), 피드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가졌다. 넷째, 조직특성에서는 조직신뢰와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함의를 다차원적으로 제시하였다.

영지 단백다당체 G009의 간장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G009, a protein -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Ganoderma lucidum.)

  • 이대우;유관희;정경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9-109
    • /
    • 1995
  • 정상 동물군의 GOT값 및 GPT 값이 각각 137.8$\pm$23.4 및 67.4$\pm$10.0 이었고 acetaminophen 투여군은 418.6$\pm$69.1 및 447.4$\pm$7.7로 증가하였으나 G009 투여군은 그 증가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즉 G009 10mg/kg 투여군은 GOT 및 GPT 값이 192.6$\pm$19.2 및 144.8$\pm$28.7에 그쳐 각각 GOT 및 GPT 값의 상승이 80.5% 및 79.6% 억제되었고 20mg/kg 투여군은 90.8% 및 86.6% 억제되었다. 그러나 Licovek 은 50mg/kg의 투여군에서 이와 유사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간 절편의 조직학적 관찰 결과 acetaminophen 투여 대조군이 간세포 괴사등 심한 조직 괴사를 보인 반면 G009 10mg/kg 및 20mg/kg 농도에서는 간장 손상이 매우 경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