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침착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초

마우스에서 스쿠알렌에 의한 방사성수은 억제 효과 (Inhibition of radiomercury(Hg-203) by squalene in mice)

  • 이경희;김영호;김종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45-51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우스 주요 조직내의 방사성수은 침착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 건강한 ICR계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두 개의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실험군은 방사성수은(0.005 uCi/b.w.)을 단독처치하고 스쿠알렌(200mg/kg)을 1일 2회씩 구강 처치하였다.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사성수은만 단독처치 하였다. 결과적으로 주요 침착 장기는 신장, 간, 혈액, 심장, 두개골이었다. 대조군의 경우 모든 장기에서 6시간째에 가장 높은 방사성수은 침착을 보였으나, 스쿠알렌을 처치한 실험군의 경우는 6시간째에 방사성침착이 유의하게 억제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p<0.05). 결론적으로, 스쿠알렌이 방사성수은의 조직 침착을 억제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천식 환자의 기관지 조직에서 Eotaxin mRNA 발현에 관한 연구 (Eotaxin mRNA Expression in Bronchial Mucosa of Patients with Asthma)

  • 인광호;조재연;강세용;이상엽;심재정;강경호;유세화;나영순;김한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697-704
    • /
    • 1998
  • 연구배경: 천식은 기관지에 호산구의 침착을 동반한 염증을 특징으로 한다. 말초 혈액에 존재하던 호산구가 천식 반응시 기관지 조직 내로 침착되는 과정에는 여러 종류의 호산구 화학 주성인자들이 관여한다. Chemokines은 염증 부위에 백혈구를 동원시키는 중요한 화학 주성 물질 중의 하나이다. 호산구 화학 주성에 관여하는 chemokines으로는 RANTES, MCP-3 등이 있지만 호산구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세포에도 작용한다. 최근에 호산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조직에 호산구의 침착을 유도하는 새로운 chemokine인 eotaxin이 cloning되었으며 호산구가 혈중에 증가되거나 조직에 침착하는 여러 알러지 질환의 중요한 매개불질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사람에서의 eotaxin은 호산구의 강력한 화학 주성 물질로 조직내의 호산구 침착의 주요 원인이며 천식에서 중요한 매개물질일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식 환자의 기관지 조직에서 eotaxin mRNA의 발현을 조사하고 기관지 조직 내 호산구의 침착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최근 수개월간 특별한 치료없이 폐기능의 저하와 천식 증상을 갖고 있었던 천식 환자 4예(A 군), 흡입용 혹은 경구용 스테로이드 사용을 유지하면서 정상 범위의 폐기능을 유지하고 증상이 없었던 천식 환자 3예(B 군), 정상 대조군 2예(C 군), 최근 3개월 이상 어떤 천식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상 범위의 폐기능을 유지하고 증상이 없었던 천식 환자 2예(D군), 천식의 악화로 입원하여 기관지 확장제와 경구용 혹은 정맥용 스테로이드를 10일 이내 사용하여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폐기능의 저하를 보였던 2예(E 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는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하여 기관지 조직 검사를 시행했다. 조직에서 분리된 RNA로 부터 semi-quantitative RT-PCR를 시행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GAPDH mRNA에 대한 eotaxin mRNA의 비(ratio)를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여 eotaxin mRNA의 발현을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Eotaxin mRNA의 발현과 기관지 조직내의 호산구 침착 정도의 상호 관계를 관찰하였다. 결 과: Eotaxin mRNA의 발현은 최근 수개월간 특별한 치료 없이 폐기능의 저하와 천식 증상을 갖고 있었던 현증 천식 환자 4예(A 군), 최근 수개월간 천식 치료를 받지 않았지만 천식 증상이 없었던 2예 중 1예(D군), 천식이 악화되어 경구 혹은 정맥 스테로이드를 10일간 사용하였던 2예(E 군)에서 나타났다. Densitometer로 eotaxin mRNA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A군은 4예 모두에서 높았으며 D, E 군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Submucosa 내의 호산구 침착과 eotaxin mRNA의 발현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 론: 천식환자 기도에서 eotaxin의 발현은 증가되며 호산구의 기도내 침착을 유도하는 화학 주성 물질로 생각된다. 따라서 기도내 eotaxin mRNA의 발현은 천식의 발병의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 PDF

대기오염이 동물의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 (On Some Influences of Air Pollution on Respiratory System of Captive Wild Animals)

  • 문홍식;오창영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9-225
    • /
    • 1978
  • 1973년 6월부터 1975년 6월까지 2년간 창경원 동물원에서 사유중에 사망한 동물과 조류의 폐와 수집된 비둘기의 폐 231건을 대상으로 하여 육안적 및 조직학적으로 폐내 분근침착상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231건의 동물폐중 170건($73.6{\%}$)이 탄폐로 검출되었으며 이중 고도침착이 $3.9{\%}$로서 대개가 경도 및 중등도 탄폐로 검출되었다. 2. 포유류에선 $89.3{\%}$ 조류에선 $71.5{\%}$가 탄폐로 나타났으며 파충류에서는 3건 모두 양성이었다. 이중 고도탄폐는 포유류와 조류에서 각각 $3.6{\%}$$4.5{\%}$였다. 3. 사유기간이 길수록 탄폐는 심한 경향이 있었다. 즉 사유기간이 1년 이하의 동물은 $53.8{\%}$ 2년 이상에서는 $87.2{\%}$가 양성으로 나타났다. 4. 축사내사유가 축사외사유은 각각 $68.6{\%}$$74.5{\%}$의 탄폐가 있어 유의한 차가 없었다. 5. 육안적소견으로 탄내 분허침착을 확인한 경우는 5건밖에 없었으며 전부 조직학적검사로서 확인되었다.

  • PDF

만성 C형 간염의 약물 치료와 연관된 구강 내 색소 침착의 치험례 (Oral Pigmentation Resulting from Pharmacological Treatment in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C)

  • 김영건;안형준;최종훈;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189-193
    • /
    • 2012
  • 구강내의 다발성 색소침착은 애디슨증후군, 포이츠-예거 증후군과 같은 선천성질환에 의하여 유발되거나, 악성 흑색종, 흑색극세포종, 신경섬유종증과 같은 국소적인 질환, 흡연, 만성 외상, 약물 복용 등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질환 중 악성흑색종과 같은 질환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구강 내 색소 침착이 발견될 경우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병소의 정확한 감별 진단을 위해서는 구강 내 색소 침착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에 대해서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상세한 병력 청취가 중요하다. 또한, 필요 시 혈액검사를 비롯한 이화학검사를 시행하거나 생검을 통하여 조직병리학적인 소견을 확인하고, 주기적으로 환자의 임상 소견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여 변화를 확인하여야 한다. 그 동안 일반적으로 색소 침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약물 외에,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페그인터페론 알파와 리바비린의 병용 요법 중 발생한 구강 내 다발성 색소 침착 증례가 있어 문헌 상에 보고되었던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약물치료와 연관된 구강 내 색소 침착의 증례들과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자기공명영상에서 뚜렷한 조영증강을 보이는 경추 황색인대의 칼슘수산화인회석 결정침착질환: 증례 보고 (Calcium Pyrophosphate Dihydrate Crystal Deposition Disease Involving the Ligamentum Flavum of the Cervical Spine with Intense Enhancement on MRI: A Case Report)

  • 이준영;이승훈;배지윤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234-1238
    • /
    • 2020
  • 칼슘수산화인회석(calcium pyrophosphate dehydrate; 이하 CPPD) 결정침착질환은 연골석회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주로 무릎, 손목, 골반, 드물게는 척추를 침범한다. 이전 보고에 따르면, CPPD 결정침착은 MRI에서 불균질하게 조영증강이 될 수 있다. 주변 연부 조직의 염증과 동반된 CPPD 결정침착의 뚜렷한 조영증강은 감염성 척추염 등 다른 질환과 유사한 영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이 경우 CT는 감별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MRI에서 황색인대에 저명한 조영증강을 보이는 CPPD 결정침착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뇌 조직의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Acctylcholine(ACh) and Its Related Enzymes in Brain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박시향;백승진;김남주;조원기;김군자;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2호
    • /
    • pp.95-99
    • /
    • 2004
  •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뇌조직획분의 콜레스테롤 및 lipofuscin(LF)의 침착, acetylcholine(ACh) 및 ACh의 합성효소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효소 acetylcholinesterase(AChE)의 활성, 카테콜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 monoamine oxidase-B(MAO-B)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뇌조직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중의 콜레스테롤이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유의적인 11.8-12.1% 및 9.6-13.0%의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LF는 모든 EtOAc획분의 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침착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뇌조직중의 신경전달물질 ACh의 함량 및 ACh의 합성효소 ChAT의 활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다같이 약 10%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뇌조직 중의 신경전달에 관계하는 AChE의 활성도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EtOAc-50 및 EtOAc-100투여 그룹에서만 8.2-11.9%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Catecholamine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인 MAOB의 활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지만,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약 10%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솔잎의 EtOAc획분의 투여는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억제하며 기억$.$학습관련 신경전달물질 및 관련효소의 활성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뇌 조직의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부탄올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Butanol Fraction on Acetylcholine (ACh) and Its Related Enzymes in Brain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박시향;김남주;백승진;김군자;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176-181
    • /
    • 2004
  • 솔잎 BuOH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 동안 투여하여 뇌조직획분의 콜레스테롤 및 LF의 침착, ACh 및 ACh의 합성효소, ChAT,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효소 AChE의 활성, 카테콜라민계 신경 전달물질의 파괴효소 MAO-B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뇌조직의 mitochnodria 및 microsome 획분 중의 콜레스테롤이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4∼17% 및 23∼34%의 통계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뇌조직에 대한 LF도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0∼14%의 유의적인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중의 신경전달물질 ACh의 함량 및 ACh의 합성효소 ChAT의 활성은 BuOH획분의 거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각각 11∼17% 및 11∼23%의 통계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AChE의 활성도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4∼17%의 통계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중의 MAO-B의 활성은 BuOH 획분의 거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지만, 그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솔잎 BuOH 획분의 투여는 뇌조직의 유동성을 축진하고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억제하며 ACh와 그 관련효소의 활성을 촉진하여 기억ㆍ학습의 증진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채체질 분석에서 콜레스테롤·심신이 약한 체질과 TNF-alpha 유전자 다형성과의 상관성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holestrol·cardiorenal connective tissue weakness type" and TNF-alpha gene polymorphism in iris constitution analysis)

  • 유춘상;황우준;김경식;최성용;김종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89-101
    • /
    • 2004
  • 홍채학은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서 홍채 침착의 불규칙성을 주시함으로써 의학적 상태를 진단한다. 홍채학적 분류에 의한 체질은 가족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홍채체질의 유전성을 의미한다. 강력한 면역조절자이며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 TNF-${\alpha}$)는 많은 병리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고혈압환자에서 홍채체질과 TNF-${\alpha}$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87명의 고혈압 환자와 79명의 정상인을 홍채체질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이들의 TNF-${\alpha}$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정상인에 비하여 TNF-${\alpha}$ GA 이형접합체의 빈도가 고혈압 환자군에서 감소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TNF-${\alpha}$ 다형성이 고혈압에 대한 저항성과 관련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혈압환자에서 콜레스테롤 침착체질과 심신 결합조직 허약 체질은 42.5%로서 정상인 16.5%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P<0.001). GG TNF-${\alpha}$ 유전자형을 갖고 있는 군에서 심신 결합조직 허약체질과 콜레스테롤 침착체질의 빈도는 정상인보다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본 연구에서 저자는 홍채체질과 고혈압사이의 관련성을 발견함과 동시에 TNF-${\alpha}$ 유전자 다형성과 고혈압, 그리고 홍채 체질과의 관련성을 최초로 입증하였다.

  • PDF

양식 가물치(Channa argus)에 대한 Saprolegnia sp.의 병리학적 특성과 물곰팡이의 생장을 제어하는 정유의 영향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prolegnia sp. to Snakehead and Effect of Essential Oils to the Growth of the Water Mold)

  • 이근광;김영길;이민웅;이형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32-38
    • /
    • 1999
  • 양식 가물치로부터 Saprolegnia sp.를 분리하고 그들의 일부 생리학적 특성과 제어를 위한 식물 추출물(精油)을 탐색하였다. 분리된 Saprolegnia sp. 영양체 생장 최적 온도는 $25^{\circ}C$이었고, 최적 pH는 6.0이었으며, 최적 NaCl 농도는 0%이었다. 또한 phosphate 10 mM 농도와 casamino acid 10mg/L농도에서 균사의 생장은 잘되었다. Saprolegnia sp.의 제어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쑥, 편백, 측백나무로부터 정유를 분리하여 10, 100, 500, 1,000, 1,500, 2,000ppm에서 처리한 결과 쑥 정유는 처리농도 10 ppm 이상 농도에서부터 억제 양상이 나타나다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더 많은 억제양상을 나타냈다. 측백과 편백나무 정유를 처리한 것에서는 10ppm이상 처리 농도에서부터 억제되기 시작하여 그 이상의 처리 농도에서는 상당한 균사 생장 제어 효과를 나타내다가 500 ppm 이상 처리 농도에서는 완전한 제어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Saprolegnia sp.에 감염된 가물치의 조직 병리학적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균사가 감염된 근육조직 부분에는 깊은 곳까지 균사가 침투하였고, 아가미의 세포는 곤봉형태를 나타냈으며, 간조직 세포에서는 일부가 괴사되었고 부분적으로 ceroid 물질이 침착되어 있었다. 또한 비장조직 세포에서는 일부 괴사된 세포를 관찰하였고, ceroid 물질의 침착을 볼 수 있었다. 신장조직은 세뇨관의 상피세포에서 일부 괴사를 관찰하였고, 조혈 조직에는 ceroid 물질의 침착상태가 나타났다.

  • PDF

외상성교합의 처치 (Treatment of Traumatic Occlusion)

  • 황광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1권6호통권169호
    • /
    • pp.459-462
    • /
    • 1983
  • 교합의 부조화는 외상성교합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치태의 침착을 용이하게 하며 일단 침착된 치태의 제거에도 애로점이 있고 외과적으로 치주낭을 제거하기 위한 술식을 적용할 때에도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합의 부조화를 치료해주는 교합치료는 완벽한 치주처치를 위한 중요한 한 분야이다. 특히 치주과 영역에서 외상성교합의 처치는 필수적이며, 그 방법도 대단히 다양하다. 외상성 교합의 증상에 따라서 치료방법을 선택하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치은조직에 치은퇴축 혹은 형태의 이상이 야기되었을 때에는 이에 따라 외과적인 처치가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다음 단계가 치아의 위치이상을 교정적인 처치를 통하여 정복하거나 동요치를 안정시켜줄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정확한 교합조정술이 필요하다. 교합조정술에 대한 제반 사항과 술식에 대하여는 본지, 1982년도 6월호에 상세히 언급되었으므로 본 원고에서는 교정적인 처치방법과 치주고정장치의 적용에 대하여 기술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