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적 성과

검색결과 11,246건 처리시간 0.041초

조직 구성원의 지식공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Activities of Knowledge-Sharing in Organization)

  • 이국용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81-105
    • /
    • 2010
  •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지식공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여러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인적 성과기대, 업무-기술 적합성, 보상, 공유된 비전, 지식공유의 유용성, 최고경영자 지원, 조직문화, 조직몰입, KMS 자기효능 등을 각각 도출하였으며, 이들의 영향력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업무-기술 적합성과 지각된 보상 그리고 지식공유의 유용성이 지식공유 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인적 성과기대와 공유된 비전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개인적 성과기대는 업무-기술 적합성을 경유한 간접적인 효과가, 공유된 비전은 지식공유의 유용성을 경유한 간접적인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적 특성으로 설정한 최고경영자 지원과 조직문화, 개인적 특성으로 설정한 조직몰입과 KMS 자기효능 역시 지식공유 활동 촉진요인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기업내 조직구성원의 지식공유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업 전략 수립과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복지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내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 윤성호;배화숙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 /
    • pp.589-609
    • /
    • 2005
  • 현대는 지식사회이다. 이는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 사회복지영역에서 지식의 중요성은 이미 오래 전에 합의되었다. 그렇지만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격한 발달은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적지 않은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본 연구에서는 10의 영향은 이미 전제되어있는 상태에서 변화된 조직 관리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가 사회의 구조적이고 파생적 문제해결에 중심을 둔 실천과학이라는 정체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단초적 시도로서 지식관리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지식관리 중 지식공유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시켰다. 즉 사회복지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공유는 어느 정도이며, 그 결과는 어떤 조직적 성과를 산출하고, 또 이러한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전제 조건은 무엇인지를 부산광역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지식공유 관련 요인을 11개의 요인으로 재구성하여 이를 구성요인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동료관계 망, 보상, 상부관계, 조직 규범, 의사소통 둥의 조직 환경이 지식공유와 조직성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 보다 지식공유를 고려한 상태의 전체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나 지식공유가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에 사회복지 조직에서 조직성과를 높이는 지식공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노력과 아울러 추후과제로서 여타 사회복지 기관에서의 지식관리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도서관사서의 조직헌신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유평수;최흥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3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사서의 조직 헌신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 사서의 헌신성, 조직시민행동, 조직효과가 사서의 연령, 사서경력, 그리고 고용형태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으며,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사서의 헌신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사서의 연령에 따른 조직시민 행동의 수준은 다른 집단보다 50세 이상이 더 높고, 조직효과의 수준은 29세 이하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사서경력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은 15년 이상이 다른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며, 조직효과는 1년 미만이 5~15년 미만보다, 15년 이상 집단이 5~15년 미만보다 높다. 고용형태에 따른 조직효과는 정규직보다 계약직 직원이 더 높다. 둘째, 변인들 간의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은 유지적 헌신과 헌신성 전체, 비불평적 행동과 조직시민행동 전체, 양심적 행동과 조직시민 행동, 적극적 행동과 비불평적 행동의 순으로 높다. 셋째, 조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헌신성에서는 정서적 헌신이고, 조직시민행동에서는 적극적 참여행동이다. 조직효과에 대해 조직헌신성은 5.6%의 설명력을, 조직시민행동은 13.4%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조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 중의 하나인 조직헌신성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조직의 리더는 정서적 헌신에 해당되는 소속감, 애착심, 가족적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조직시민행동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서들의 개인적 성장과 발전에 특별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며, 부서의 각종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연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Stud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47-5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조직성과를 재무적 관점이 아니라 정책관점, 고객관점, 조직내부관점 등으로 구분하여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사례로 선정된 공공기관은 환경부 산하의 공공기관으로서 환경산업육성과 환경기술개발사업 등의 관리, 개발된 환경기술의 보급 및 실용화 촉진을 목적으로 설치된 기관이다. 연구대상이 된 공공기관은 조직성과를 어떻게 정의하며 어떻게 하면 조직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재무적 성과보다는 고객이나 정책의 관점에서 성과를 측정해보자 하는 데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연구대상이 된 공공기관의 정책적인 측면, 고객적인 측면, 조직내부적 측면에서의 성과에 대해서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정책성과, 고객성과 및 조직내부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수평적 조직구조, 고객의 정책과정에의 참여독려, 업무 프로세스를 조직의 고객입장에서 재설계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BSC와 DEA 기법을 이용한 조직 성과 비교에 대한 연구

  • 신기태;김범수;박진우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809-816
    • /
    • 2002
  • 전통적 재무제표가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 측정에만 초점을 맞춘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BSC(Balanced Scorecard)가 제시되었다. BSC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들의 상관관계가 명확하고 논리적이라는 장점 때문에 정부 및 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왔다. 이러한 BSC는 KPI를 통해 측정된 값의 비교에 대한 고려를 하고 있지 않으므로 다수 조직의 성과를 비교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조직의 효율성을 rPfidd적으로 나타내는 여러 기법 중, 경영과학 기법을 이용한 DEA의 경우 다수의 측정 지표를 단일의 통합된 성과 측정 지표 (Aggregate Performance Measure)_로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DEA에 고려되는 입력 및 출력의 개수에 제한이 있으며 다수 조직의 분석에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무적인 요소와 비재무적인 요소를 포괄하여 조직간의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한 벙법으로서, DEA를 이용한 효율성 평가에 조직의 성과측정 기법인 BSC가 제공하는 KPI 간의 노릴적 인과관계(cause-and-effect relationship)와 측정 지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CDB(Combined DEA and BSC methodology)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BSC 정보 비교 가능한 형태로 바꾸는 방법을 제시하며, 기존 DEA가 지니는 입력 및 출력 변수 개수의 증가에 따른 효율성의 구분능력의 감소와 관련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일과 삶 균형' 정책과 정책 부합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비교를 중심으로

  • 김선아;김민영;김민정;박성민
    • 한국행정학보
    • /
    • 제47권1호
    • /
    • pp.201-237
    • /
    • 2013
  • 본 연구는 효율적 인적자원관리의 실행과 유지에 있어서 '일과 삶 균형(WLB: Work-Life Balance)' 정책의 중요성을 이론적·실증적 접근방식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WLB 정책을 유연근무제, 친가족정책, 개인신상지원 프로그램 등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분석대상을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으로 구분하여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도모하였다. 연구모형 개발과 가설검증을 위해 제3차 여성가족패널(KLoWF) 자료를 바탕으로 WLB 정책과 정책 부합성,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공공조직 및 민간조직 여성 근로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WLB 정책과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에 있어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결과가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상호 이질적인 조직 문화, 제도,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고 각 영역 구성원들의 서로 다른 욕구 및 동기 유발 체계에 의한 것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조직 특성에 맞는 수요자 친화형 WLB 정책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WLB 정책 시행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조직 구성원의 흡수능력, 조직 시민 행동, SCM 성과 및 혁신의도 간 연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Absorptive Capacity of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SCM performance, and Intention to Innovate)

  • 김태웅;김경희;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65-75
    • /
    • 2012
  • 조직시민행동이란 조직내의 공식적 역할이나 기능을 넘어서는 구성원들의 재량적 행동을 의미하며, 조직의 성과 제고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급망관리(SCM) 시스템이 도입되면, 글로벌 표준, 프로세스 혁신, 핵심성과지표 등에 관한 정보가 여러 부서에 폭넓게 전달되어 구성원들의 흡수 및 혁신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은 이런 과정을 활성화시켜 SCM 성과를 증진시키며 결과적으로 조직 혁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에서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는 글로벌 제조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의 흡수능력과 조직시민행동의식, SCM의 성과 및 혁신의도 간 인과관계 분석에 초점을 둔다. 122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시민행동은 SCM 성과와 흡수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흡수능력 또한 SCM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한 바와 같이 SCM 성과는 혁신의도의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분석되었지만, 조직구성원의 흡수능력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본 연구결과의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도 함께 제시하였다.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Maufacturing Businesses' Company Cul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김영일;김광수;김기완;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27-32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문화, 즉 개인의 조직 몰입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 및 창의성 향상 등의 조직 성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p<.001, ${\beta}=.493$). 조직적 문화(조직 화합도)와 환경적 문화(환경적 요인 중시 태도)는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또한 근로자 개별 특성에 따라 개인의 조직 몰입도는 사원급보다 차장/부장 이상에서 더 높았으며 조직 화합도는 20대보다 40대, 전문대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 근속년수 5년 이하보다 10년 이상일 경우 더 높게 평가했다. 조직성과, 즉 직무 만족도와 창의성 향상과 같은 요소들은 고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일 경우 더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 조직 환경적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근로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조직 평판의 역동적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Dynamics of Organizational Reputation and Performance)

  • 김은정;김도현;김민지;유혜경
    • 중소기업연구
    • /
    • 제40권1호
    • /
    • pp.67-83
    • /
    • 2018
  • 본 연구는 조직 평판의 역동적인 특성인 추세와 변동성이 조직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조직의 평판은 그 조직의 제품/서비스의 질에 대한 판단을 돕는 신호를 제공하므로, 잠재적 파트너들은 조직 평판의 여러 특성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본 연구는 조직 평판의 수준뿐만 아니라 추세 또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변동성은 간접적으로 평판의 수준과 추세의 성과에 대한 효과를 조절한다는 것을 미국 벤처캐피털 회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어떻게 학문적으로 기여하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과학자 연구성과에 대한 젠더, 코호트, 조직적 요인 효과: 생화학자를 중심으로

  • 박찬웅
    • 한국인구학
    • /
    • 제30권1호
    • /
    • pp.97-124
    • /
    • 2007
  • 국내 생화학 분야 학자들의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젠더는 연구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항목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연구성과의 특징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연구성과를 학술지 유형에 따라 SCI논문과 비SCI논문으로 구분해서 비교분석했다. 둘째, 교육기간부터 경력기간별로 연구성과에 미치는 요인이 변화할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델을 대학원 기간과 졸업 이후 경력 기간별로 구성했다. 셋째, 연구성과에 대한 이론적 요인으로서 사회인구학적 요인, 조직적 요인, 그리고 이전 연구업적의 누적효과를 음이항모델을 사용해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CI논문성과의 경우 젠더 효과는 대학원 기간 동안에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경력 초기부터 다음 기간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SCI학술지 연구성과의 경우 조직적 요인 중에서 외국 학위가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전 연구성과 역시 누적적으로 그 후 연구성과에 영향을 주었다. 비SCI논문 수를 분석한 결과, 대학원 기간과 졸업 후 3년간 기간에는 젠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졸업 후 3-6년 기간에 젠더 효과가 발견되었다. 또한 대학원 기간의 비SCI논문의 누적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