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소통

Search Result 40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Effect of Hospital Internal Marketing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erceived by Nurs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간호사가 인식하는 내부마케팅과 조직의사소통이 간호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Go, Young Jin;Lee, Mi-Hyang;Kim, Min 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479-486
    • /
    • 2022
  •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hospital internal market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argeted at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s, and apprehend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ere 239 nurses answered, was used to figure out general features, hospital internal market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ted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zing tool was IBM SPSS 21.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hospital internal marketing 3.13±0.58 point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3.23±0.48 point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3.34±0.51 poin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ospital internal marketing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hose two explained 61.0%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hospital internal marketing strategy - encouraging nurses in individual aspect - and integrated strategy - establishing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in organizational aspect -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nurses.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Small and Medium Cosmetic Brand Shop (중소화장품 브랜드샵 종사자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영향)

  • Lee, Byung-Hyo;Yi, Seon-Gyu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3
    • /
    • pp.117-125
    • /
    • 2017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salespeople in cosmetic brand shops in Seou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s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immersion. Communication variables were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form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 and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factors were set as support of superiors and support of colleag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mmunication factors such as form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were analyzed as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workers. The support of supervisor was analyzed a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workers. However, support of colleagues was analyzed as a factor that did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workers.

The Impact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on Group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Ship Organization (선박조직의 의사소통과 갈등이 집단응집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Lee, Jong-Seok;Kim, Tae-Hyung;Shin, Yong-Joh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6
    • /
    • pp.489-49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conflict in the ship organization and to analyze the affect of the conflict on the group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view of dysfunctional conflict that would play on the negative role to decrease the group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empirical survey showed that the intragroup and intergroup communications in the ship organization affect on the conflict of within and between groups, these conflicts decrease the group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at cohesiveness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ship organization member significantly.

A Study on the Effect of Risk Communication on the Formation of Safety Culture (위험소통이 안전문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a, Youngi-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53-15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의사소통이 갖고 있는 복잡한 과정을 고려하여 재난 시 위험의 소통방식에서 나타나는 오류들을 분석하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위험소통"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안전문화를 개인의 과제가 아닌 조직 내에서의 협동과제로 인식하고, 조직 내 소통을 통한 신뢰가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해 위험소통에 대한 새로운 원칙들을 제시함으로써 조직 내 안전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BUSINESS GUIDE_특별기획 - 소통(疏通)에 능한 기업만이 살아남는다!(3)

  • LGERI, LGERI
    • Product Safety
    • /
    • s.199
    • /
    • pp.72-77
    • /
    • 2010
  • 탁월한 성과를 내던 기업이 갑작스럽게 좌초되곤 한다. 이때 그 주된 문제점을 들여다보면 빠지지 않는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소통(疏通)의 문제다. 고객과의 소통에 실패해 고객의 마음을 잘못 읽었거나, 조직 내부 소통의 장벽을 쌓고 있는 경우이다. 창의성의 시대에는 이 같은 소통의 문제가 더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아무리 좋은 품질과 비용 우위를 갖춘 제품일지라도 고객의 마음 속에 울림을 주지 못한다면 시장으로부터 외면 받을 가능성이 크다. 개개인의 창의성이 집단의 창의성으로 승화되는 것은 서로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소통은 고객 가치 창출의 근간, 집단 창의성 발현의 토대 등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집단의 창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가진 인재들이 서로 통섭 할 수 있게 해야하며, 이들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잘 공유될 수 있는 시스템과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건전한 피드백이 숨쉬는 상호 신뢰와 협력적 조직 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CEO가 그 선봉장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 내부의 집단 지성이 고객과의 소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때 진정한 고객 가치 창출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성과 창출을 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PDF

BUSINESS GUIDE_특별기획 - 소통(疏通)에 능한 기업만이 살아남는다!(1)

  • LG 경제연구원
    • Product Safety
    • /
    • s.197
    • /
    • pp.32-35
    • /
    • 2010
  • 탁월한 성과를 내던 기업이 갑작스럽게 좌초되곤 한다. 이때 그 주된 문제점을 들여다보면 빠지지 않는 문제가 하나 있다. 바로, 소통(疏通)의 문제다. 고객과의 소통에 실패해 고객의 마음을 잘못 읽었거나, 조직 내부 소통의 장벽을 쌓고 있는 경우이다. 창의성의 시대에는 이 같은 소통의 문제가 더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아무리 좋은 품질과 비용 우위를 갖춘 제품일지라도 고객 마음 속에 울림을 주지 못한다면 시장으로부터 외면 받을 가능성이 크다. 개개인의 창의성이 집단의 창의성으로 승화되는 것은 서로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소통은 고객 가치 창출의 근간, 집단 창의성 발현의 토대 등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집단의 창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가진 인재들이 서로 통섭 할 수 있게 해야하며, 이들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잘 공유될 수 있는 시스템과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건전한 피드백이 숨쉬는 상호 신뢰와 협력적 조직 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CEO가 그 선봉장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 내부의 집단 지성이 고객과의 소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때 진정한 고객 가치 창출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성과 창출을 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PDF

BUSINESS GUIDE_특별기획 - 소통(疏通)에 능한 기업만이 살아남는다!(2)

  • LG 경제연구원
    • Product Safety
    • /
    • s.198
    • /
    • pp.32-37
    • /
    • 2010
  • 탁월한 성과를 내던 기업이 갑작스럽게 좌초되곤 한다. 이때 그 주된 문제점을 들어다보면 빠지지 않는 문제점 하나 있다. 바로, 소통(疏通)의 문제다. 고객과의 소통에 실패해 고객의 마음을 잘못 읽었거나, 조직 내부 소통의 장벽을 쌓고 있는 경우이다. 창의성의 시대에는 이 같은 소통의 문제가 더 중용한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아무리 좋은 품질과 비용 우위를 갖춘 제품일지라도 고객의 마음 속에 울림을 주지 못한다면 시장으로부터 외면 받을 가능성이 크다. 개개인의 창의성이 집단의 창의성으로 승화되는 것은 서로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소통은 고객 가치 창출의 근간, 집단 창의성 발현의 토대 등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집단의 창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가진 인재들이 서로 통섭 할 수 있게 해야하며, 이들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잘 공유될 수 있는 시스템과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건전한 피드백이 숨쉬는 상호 신뢰와 협력적 조직 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CEO가 그 선봉장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 내부의 집단 지성이 고객과의 소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때 진정한 고객 가치 창출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성과 창출을 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rus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의사소통, 신뢰 및 조직문화간의 관계가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효과)

  • Jinhee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51-56
    • /
    • 2023
  •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development culture, intra-organizational trust, and communication and their influence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The research model is composed that development cul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communication, and that trust and communi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integrated at the company level (510 companies) and used the data of 9,053 employees collected in the 1st survey of the Human Capital Company Panel(HCCP II)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For corporate competitiveness, responses to 10 factors for internal process capability and customer service capability were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velopment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communication. And trust and communic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ly effect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through bootstrapping, the development culture did not show indirect effects through trust and communication, so only direct effects between development culture, trust and communication,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could be confirmed.

사회적기업가의 리더십과 역할스트레스, 의사소통,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Son, Jeong-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69-74
    • /
    • 2019
  • 사회적기업이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중간형태로서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는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혹은 판매 등의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서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업을 말한다. 현재 사회적기업은 2019년 3월말 기준 2,154개의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양적증가에 따라서 사회적기업가 리더십과 조직의 존재가치를 설명하는 조직유효성이 중요하다. 조직유효성의 증가하기 위해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들 중에서 어떤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연구는 사회적기업 조직유효성에 대한 조직문화, 리더십 등 조직 관련 개별요인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파악에 한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션을 추구하는 사회적가치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경제적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리더십, 의사소통, 조직문화의 개별적 요인 뿐 아니라 통합적인 적용을 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의사소통 능력이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Han, Soo Yeoun;Im, Ae-Jung;Lim,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8
    • /
    • pp.154-159
    • /
    • 2020
  • In this study, we set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s the main variable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to improve the work of dental hygienists.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0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hospitals and dental clinic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y 18, 2019 to June 12, 2019. We analyzed the data wit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Research results: Job satisfaction (r=0.193, p<0.05) and communication ability (r=0.404, p<.00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communication ability (β=0.461, P<.001), whic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within this organiz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dental hygienists, they should be proud of their work as professionals,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and be able to have a clear expression of their own intentions and effective dialogue.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opportunities such as opening related lectures during internal education and maintenanc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