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분류체계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1초

Trends of Study and Classification of Reference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n Korea after Liberation (해방 이후 우리나라 산업보건관리에 관한 문헌분류 및 연구동향)

  • Ha, Eun-Hee;Park, Hye-Sook;Kim, Young-Bok;Song, Hyun-J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4호
    • /
    • pp.809-844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the scop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and to classify occupational management by review of related journals from 1945 to 1994 in Korea. The step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earch of secondary reference; (2) Collection and review of primary reference; (3) Survey; and (4) Analysis and discu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ost of the respondents majored in occupational health(71.6%), and were working in university (68.3%), males and over the age 40. Seventy percent of the respondents agreed with the idea tha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s necessary, and 10% disagreed. 2. After integration of the idea of respondents, we reclassified the scop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It was defined 3 parts, that is , occupational health system, occupational health service and others (such as assessment, epidemiology, cost-effectiveness analysis and so on). 3. The number of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was 510. It was sightly increased from 1986 and abruptly increased after 1991. The kinds of journals related to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were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18.2%), Several Kinds of Medical Colloge Journal(17.0%), The Korean Journal Occupational Health(15.1%), The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15.1%) and others(34.6%). As for the contents, the number of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s was 33(6.5%) and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477(93.5%). Of the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s, the number of journals on the occupational health resource system was 15(45.5%), occupational finance system 8(24.2%),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6(18.2%), occupational organization 3(9.1%) and occupational health delivery system 1 (3.0%). Of the journals on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the number of journals on disease management was 269(57.2%), health management 116(24.7%), working environmental management 85(18.1%). As for the subjects, the number of journals on general workers was 185(71.1%), followed by women worker, white coiler workers and so on. 4. Respondents made occupational health service(such as health management, working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health education) the first priority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Tied for the second are quality analysis(such as education, training and job contents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 and occupational health systems(such as the recommendation of systems of occupational and general disease and occupational health organization). 5. Thirty seven respondents suggested 48 ideas about the future research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40.5%; (2) Study of organization system 27.1%; (3)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ystem (e.g. information network) 8.3%; (4) Study of working condition 6.2%; and (5) Study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analysis 4.2%.

  • PDF

A Study of Job Analysis Method using Information Systems (정보체계를 활용한 직무분석 방안 연구)

  • Hwang, Ho-ryang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제22권10호
    • /
    • pp.521-531
    • /
    • 2016
  • In this paper, since most business process of D-agency is being performed through some information systems, including Onnara System is a government standard operating management system, computerized accumulated in the system documentation based on, even if there is no independent job analysis system, in a judgment that can be can be tissue diagnosis, it presented a job analysis plan that leverages the existing information system. Most material is passed online in business processing between departments and between colleagues, it is returned. In situations where most information systems for such business processing is built developed, grasp the work procedures and information systems D-agency data accumulated to derive the necessary elements for job analysis quantified,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element in the regression statistics.In addition, classification system (BRM, Business Reference Model) of the existing functionality that is available only Onnara System, and to establish a job analysis architecture to be able to function diagnostic departments to leverage common also in other information systems, related implement illustrating additional features of the information system, to derive a department duties value calculation formula with it, and present various job analysis plan that can actually be utilized to diagnose and derived elements department appropriate personnel.

A Study on CALS/EC Classification Scheme & Characteristic Model Development (CALS/EC의 유형별 분류 및 특성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이국철;조선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499-507
    • /
    • 1999
  • CALS/EC의 도입ㆍ활용은 생산 및 유통비용의 감축과 업무처리시간 단축 및 조직간 정보교환의 원활화를 통해 산업 및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제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을 막론하고 세계화의 추세에 맞춰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CALS/EC의 도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CALS/EC 후발국의 입장에서 볼 때, CALS/EC 도입 환경이 제대로 성숙되어 있지 못한 채 구체적인 도입 유형 및 방법론 등에 대한 연구가 취약하여 도입 관련 의사결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CALS/EC 도입 의사결정에 수반된 도입 목적의 파악 및 효과 측정방안, 대상요소기술의 선택, 적용 대상분야의 산정 등에 관한 구체적인 대안제시가 실무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CALS/EC 도입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위한 기반연구를 수행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ALS/EC가 그 유형별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한다는 전제하에 우선 CALS/EC의 유형별 분류체계 정립을 시도하였으며 각 유형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유형별 특성 모형을 개발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물을 근거로 수립될 구체적인 유형별 도입방법 및 절차는 후속연구에서도 다루기로 한다.

  • PDF

Morphological and Cellular Criteria of Ovaries, Follicles and Oocytes for In Vitro Maturation in the Pig (체외배양을 위한 돼지 난소 및 난포란의 형태학적 조건)

  • 변태호;이상호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제7권2호
    • /
    • pp.97-110
    • /
    • 1992
  • 돼지난포란의 안정된 체외배양 체계를 위하여 도살장에서 재취된 난소로부터 난포 및 난자난구세포체의 혀태적인 선정기준을 설정하고 이의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였다. 난소를 난포상태 및 분포나 황체 존재 여부에 따라 A,B 및 C 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각 type의 난소에서 직경 3-5mm인 난포로부터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난포란을 난구세포 부착상태에 따라 Good, Fair 및 Poor 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각각을 호르몬이 첨가된 M16+FCS 배양액으로 35시간 동안 체외배양하여 성숙율을 비교 검토 하였다. 난소의 형태에 따라 회수된 난포란 중 Good 또는 Fair 형태는 Type A 및 C 난소에서 85%를 차지한 반면, Type B 난소에서는 53%에 불과하였다. 또한 이들 난포란을 체외배양한 결과 Type A 및 C 에서 회수된 난포란은 90 및 85%의 높은 성숙율을 보인 반면, Type C 의 난포란은 33%의 저조한 성숙을 나타냈다. 한편 핵형 분석 및 조직학적 분석에서도 Type C 난소의 경우 난포란의 핵형이 대부분 GVBD 및 퇴화 형태를 보였으며, 폐쇄포난포의 비율도 Type A 난소의 53%에 비해 월등히 높은 85%를 나타내어 성숙율 비교실험의 결과와 일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선별기준에 의한 돼지 난소 및 난포란의 형태적 분류 작업에 의해 난포란의 체외배양 성적 향상 및 안정된 배양체계의 확립이 가능하였다.

  • PDF

A Study on CALS/EC Classification Scheme & Characteristic Model Development (CALS/EC의 유형별 분류 및 특성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이국철;조선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499-507
    • /
    • 1999
  • CALS/EC의 도입·활용은 생산 및 유통비용의 감축과 업무처리시간 단축 및 조직간 정보교환의 원활화를 통해 산업 및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제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을 막론하고 세계화의 추세에 맞춰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CALS/EC의 도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우리 나라와 같은 CALS/EC 후발국의 입장에서 볼 때, CALS/EC 도입 환경이 제대로 성숙되어 있지 못한 채 구체적인 도입 유형 및 방법론 등에 대한 연구가 취약하여 도입 관련 의사결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CALS/EC 도입 의사결정에 수반된 도입 목적의 파악 및 효과 측정방안, 대상요소기술의 선택, 적용 대상분야의 산정 등에 관한 구체적인 대안제시가 실무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CALS/EC 도입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위한 기반연구를 수행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ALS/EC가 그 유형별로 고유한 특성이 존재한다는 전제하에 우선 CALS/EC의 유형별 분류체계 정립을 시도하였으며 각 유형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유형별 특성 모형을 개발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물을 근거로 수립될 구체적인 유형별 도입방법 및 절차는 후속연구에서도 다루기로 한다.

  • PDF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System of Korean Government in the Early 1960s (1960년대 초반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수립과정과 제도적 특징)

  • Lee, Se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제7권2호
    • /
    • pp.43-71
    • /
    • 2007
  • The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System of Korean Government was founded in the early 1960s after the overall national structure refor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administrative management technique, which boosted the efficiency of the way of conducting business, into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Promoted in 1962, the records appraisal and destruction works included not only retention and destruction of official documents but als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management and elimination systems for official documents to be produced in the future. and Korean government elaborated the appraisal system to stipulate the retention period on the basis of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documentary function.

Analysis and Examination for Needed Technology In Power System Operation Field (계통운영 분야 필요기술 분석 및 수요조사)

  • Choi, S.Y.;Kim, H.J.;Cha, J.S.;Jung, U.S.;Oh, C.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432-434
    • /
    • 2005
  • 전력계통 운영은 크게 전력 수급조정 및 계통 안정운영으로 대별되며 이러한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운영조직은 한국전력거래소의 계통운영 부문 조직, 한국전력공사의 송 변전 설비 운영 및 지역별 계통운용 조직과 각 발전회사의 발전소 운전 요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거래소의 계통운영 부문에서 현재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조사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기술에 대한 특징 및 기술 계발 현황 등을 파악하였다.

  • PDF

금융시스템과 기업시스템간의 관계에 관한 제도론적 연구

  • Kim, Seok-Y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제14권2호
    • /
    • pp.109-149
    • /
    • 1997
  • 자본주의 경제체제에 있어서 금융시스템과 기업시스템은 경제시스템의 핵심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경제의 효율성을 좌우한다. 중요한 것은 이 두 시스템은 국가의 경제적 기능과 함께 상호관련적으로 형성되고 전개되어 나간다는 점이다. 최근 세계 경제메카니즘의 변화에 따라 이들을 어떻게 재편성할 것인가 하는 것이 주요 관심대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고는 국가-금융-기업 시스템간의 시스템적 상호관련성에 유의하면서 거시적인 신제도 학파적 시각에서 그 관계의 틀을 고찰, 그 유형을 분류하여 보고 특히 금융시스템과 기업시스템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제도론적 시각에서 볼 때 이 문제는 제도적 환경과 제도적 장치간의 체계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경제행위의 지배조정 메카니즘을 시장, 위계(조직), 네트워크 중 어느 방식에 중점을 둘 것인가와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볼 때 금융시스템에 있어서의 자본시장중심적 체계와 은행중심적 체계, 기업과 시장의 범위와 기업의 네트워크적 전개, 금융과 기업간 규율시스템에 있어서의 관계 둥은 모두 이러한 시각에서 일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상호관계를 유형화시켜보고 그 논리를 우리의 현실에 적용시켜 볼 때 국가의 기능조정을 바탕으로 시장규율하에서의 네트워크적 관계를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Usefulness of Color-overlay Pattern of Breast Elastic Ultrasonography (유방 탄성초음파의 Color overlay pattern에 대한 유용성)

  • An, Hyun;Im, In-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제11권5호
    • /
    • pp.401-406
    • /
    • 2017
  • Breast cancer rates are increasing every year, biopsy for diagnosing breast cancer is increasing as well. Biopsy also invasive test, have bad side effects from patients anxiety, infection, bleeding. In this study, Conduct a survey of 69 patients who brest lesion patient, both B-mode ultrasound and elastography exam and B-mode ultrasound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I-RADS category, and the elastography exam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lor overlay pattern that the value of the kPa expressed in relation to the propagation velocity of Transverse waves. The optimal cut off value of the high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as 54.70 kPa. In the color overlay pattern, Dark Blue 42 people, Light blue ~ Red 27 people classified results and BI-RADS classification results, benign 40 people and malignant 29 people classified results showed similar resul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color overlay pattern is positive when classified into Dark Blue, and malignant when classified into Light blue ~ Red. In conclusion, breast elastography is expected to play a innovative role in reducing the number of breast cancer examinations and classify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tumo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Code for Naval Safety Accidents (해군 안전사고 분류 코드 개발에 관한 연구)

  • Jeong-Woo Han;Ki-Jae Kim;Won-Young Lee;Hyun-Min Baek;Hyung-Min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제30권4호
    • /
    • pp.332-339
    • /
    • 2024
  • Safety is essential for organizations operating in high-risk environments, such as the Navy. Effective safety management requires continuous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commonly achieved through the PDCA (Plan-Do-Check-Act) cycle. Despite reinforced safety regulations and expanded education, safety accidents persist in the Navy, indicating a need to enhance the safety accident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ystem.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Navy safety accident classification system to establish a more effective framework. By doing so, we will be able to register the results of safety accidents, identify their root causes, and propose a 12-digit Navy safety accident classification code. This code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id- to long-term safety management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