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종모델

Search Result 31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 개선에 관한 연구

  • Choe, Won-Jin;Jeon,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57-258
    • /
    • 2019
  • 이 연구는 기 개발한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의 조종성능 개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에서 모델선박의 조종성 지수는 임의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모델대상선박의 실제 움직임과 동등하거나 유사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이미 발표된 대학교 실습선(한바다호)의 선박조종 실선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선박의 조종성 지수를 도출하였으나, 타각이 10°를 초과할 경우 네 종류의 실선시험 결과와 평균 17.9%의 상대오차가 발생하였다. 이에, 타각 10°, 20° 및 35°에서의 한바다호 조종성 지수에 대해 에르미트 보간을 이용하여 3차 다항식을 산출하고, 이를 모델선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타각 35° 이내의 전 구간에서 조종성능의 상대오차가 평균 13.7%에서 11.6%로 약 2.1%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횡경사를 고려한 선박조종운동의 새로운 수학모델에 관한 연구

  • 손경호;김용민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1.05a
    • /
    • pp.149-166
    • /
    • 2001
  • 작은 메타센터높이를 가진 선박이나 고속선 등의 조종성능은 횡동요(roll) 운동이 미치는 영 향에 대해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종성능의 추정은 surge-sway-yaw 조종운동 방정식에 횡동요 운동을 추가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4-자유도 운동에 대한 조종성능 추정기법에 대해서 논하였다. 구체적으로 surge-sway-yaw 조종운동방정식에 추가되는 roll 운동항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다른 추정결과값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모델을 운동방정식에 추가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조종성능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Mathematical Model of Manoeuvring Motions of Twin-propeller Twin-rudder Ship for Construction of Real-time Ship-handling Simulator (시뮬레이터 구축을 위한 2축2타선박의 조종운동 수학모델에 관한 연구)

  • 손경호;김용민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1.05a
    • /
    • pp.53-77
    • /
    • 2001
  • 선박의 항행안전의 문제가 중요시됨에 따라 선박조종시뮬레이터에 의한 안전성 검토의 필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 또한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양한 선종이 출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선박조종시뮬레이터의 개발에 있어서 선박의 데이터베이스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종에 따른 수학모델을 각각 선박조종시뮬레이터에 적용시킴으로써 다양성이라는 가상현실의 잇점을 한층 부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추진성능을 목적으로 한 2축2타선박을 대상으로 조종운동 수학모델을 정식화하였다. 구체적으로 항만내에서의 저속시 조종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수학모델에 대해서 검토하였으며, 선체·프로펠러·타의 상호간섭에 대해서도 고려하였다. 또한,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2축2타선박의 기본적인 조종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New Mathematical Model of Ship Manoeuvring Motion Taking Coupling Effect of Roll into Consideration (횡동요를 고려한 선박조종운동의 새로운 수학모델에 관한 연구)

  • Sohn, Kyoung-ho;Kim, Yong-m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7 no.5
    • /
    • pp.451-458
    • /
    • 2003
  • A ship with small metacentric height or high speed vessel performs relatively large roll angles in her manoeuvring motion. Roll coupling effec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ccurate prediction of manoeuvring motion of such a ship. This paper proposes a new mathematical model of ship manoeuvring motion taking coupling effect of roll into consideration. Some kinds of manoeuvring motion are simulated by computer, based upon the proposed model. The simualted results by proposed model here are compared with those by existing model. The proposed model is found to be practical and useful for prediction of manoeuvring motion with roll effect.

A Study On Mathematical Model of Manoeuvring Motions of Twin-screw and Twin-rudder Ship for Construction of Real-time Ship-handling Simulator (시뮬레이터 구축을 위한 2축2타선박의 조종운동 수학모델에 관한 연구)

  • 손경호;김용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7 no.3
    • /
    • pp.1-16
    • /
    • 2001
  • In view of the fact that marine casualties have more often occurred recently, there is a need for ship-handling simulator as a useful tool for maritime training, safety assessment and so on. Moreover various kinds of hull forms have appear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hip manoeuvrality. Therefore ship-handling simulator is in need of a database for various ships, and it can make diverse maneuvering simulations possible to apply respective mathematical model to ship-handling simulator. In this paper, we adopted twin-screw and twin-rudder ship and discussed mathematical model of maneuvering motions for her. It was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hull damping forces at low advance speed and interaction between hull, propeller and rudder. Using this model, maneuvering motion of twin-screw and twin-propeller ship was simulated numerically and her principal manoeuvrability was examined.

  • PDF

랩탑(laptop) 기반의 도선사용 선박조종시뮬레이터 개발

  • Jeong, Tae-Gwon;Lee, Sin-Geol;Lee, Jeong-Jin;Jin, Cho;Heo, Yo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99-101
    • /
    • 2011
  • 접이안 조선은 도선사들의 필수 업무에 해당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새로운 항만의 개발, 새로운 선형 선박의 등장 등으로 도선사가 접이안 하는 항만은 계속 그리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도선사 개개인의 선박조종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서 도선사들이 쉽게 어디서나 접할 수 있도록 랩탑(laptop) 기반의 선박조종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도선사들이 다루는 선박에서는 통상의 정속의 항행속력이 아닌 저속에서의 선박 조종이 주가 되므로 이에 대하여 특별히 고려하여 선박모델을 개발하였다. 선박 텔러그래프의 해당 속력 및 그 속력에 도달하는 시간 등이 실선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박은 일본의 MMG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실제 선박의 시운전 데이터를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실선박이 가진 시운전 자료는 공선의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하여서는 각 도선사들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 PDF

Design of Neural-Network Based Autopilot Control System (I) (신경망을 이용한 선박용 자동조타장치의 제어시스템 설계 (I))

  • Kwak, Moon Kyu;Suh, Sang-Hy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4 no.2
    • /
    • pp.56-63
    • /
    • 1997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sign of neural-network based autopilot control system. In this paper,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is introduced and explained in detail. The system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neural networks for ship motion is developed and its efficacy is verified by using a simple ship maneuvering model. Problems which may arise in a complex maneuvering model are then discussed. The neural-network based system identifica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paper can be used effectively for reconstructing the ship maneuvering moodel which is known to have nonlinearity.

  • PDF

Research on the Prediction of Maneuvering Motion for a Twin-Screw Twin-Rudder Ship (2축(軸)2타선(舵船)의 조종운동 추정(推定)에 관한 연구)

  • Lee, Seung Keon;Kim, Yoon Su;Lee, Seung J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4
    • /
    • pp.60-65
    • /
    • 1996
  • Mathematical model of maneuvering motion for a single-screw single-rudder ship established and versatile applications to the special situations of maneuvering are attempted. While, the mathematical model for twin-screw twin-rudder ship is not presented so much, because that type of ship is not popular. Lee et al.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ship by captive model tests in 1988. This paper treats new mathematical models for propeller effective wake ($1-w_p$) and effective neutral rudder angle ${\delta}_R$ in the case of twin-screw twin-rudder ship. And some maneuvering motions are calculated with proposed models and compared with exact simulations.

  • PDF

Development of Simple Dynamic Models for Ship Manoeuvring Simulation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을 위한 단순 기동 모델 개발)

  • Kim, Dong-Jin;Yeo, Dong-Jin;Rhee, Key-Py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3
    • /
    • pp.17-25
    • /
    • 2010
  • It is necessary for the ship dynamic models to realize ship dynamics and to achieve the real-time analysis in the manoeuvring simulation. Generally, simple dynamic models, such as 1st-order differential equation models of turning angle, turning rate, and forward speed, are used in the manoeuvring simulation for multiple ships. Ship dynamic modeling and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based on its turning test results are proposed in this paper.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for the constant speed model and the speed-changing model are mathematically developed and verified by comparing with turning test results of a real ship.

Research on the Rescue Maneuvering of POB to Implement Cognitive Simulation (인지 시뮬레이션 구축을 위한 익수자 구조 선박조종법 검토)

  • Yoon, Cheong-Guem;Kim, Deok-Bong;Jeong, Ch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59-261
    • /
    • 2015
  • The model for ship maneuvering simulation is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officer's ship maneuvering skills such as navigation equipment operation, collision avoidances, countermeasure an emergency situation so on. Despite using such ship maneuvering model, critical maritime accidents are occurred periodically in the world. To find adequat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competence abilities of deck officer who have maneuvering skills with some competence levels, we search the standard ship maneuvering method representing on the part 3 Person Overboard(POB) to onboard emergences of IAMSAR manual. Moreover we monitor the officer's human factors appearing dur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nsider the use of human factors as fundamental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