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음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초

뇌졸중 환자의 조음기관 기능에 PNF를 이용한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gram by PNF on the Articula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 박유린;권도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03-310
    • /
    • 2014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NF)를 이용한 중재프로그램이 조음기관의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뇌졸중 환자 중에 PNF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 4명, 조음기관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대조군 4명, 어떠한 중재도 하지 않은 통제군 4명을 대상으로 주 3회 30분~50분씩 총 24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각 집단별로 사전, 사후 최대발성시간(MPT), 교대운동속도(AMR), 연속운동속도(SMR)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군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조군은 AMR의 /터/, /아/, /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제군은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PNF를 이용한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조음기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며, 특히 혀의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취학 전 정상구어발달 아동의 조음교대운동 특성 (The study of diadochokinetic (DDK) rate and accuracy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서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21-327
    • /
    • 2013
  • 본 논문은 자연스럽고 빠르게 모델링했을 때 4~6세 37명이 산출한 조음교대운동(DDK) 결과를 통해 모음구조의 DDK도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했고, DDK속도와 함께 조음오류 빈도와 유형 및 규칙성도 분석해야 말장애 아동의 조음능력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자모음(예: '퍼')과 모음(예: '아이')의 음운구조를 반복 산출한 자료에서 각 검사음을 반복한 횟수, 오류 빈도, 오류 유형 및 규칙성(DDKsdp)을 측정했다. 그 결과, 조음교대운동 평균 속도는 연령과 함께 증가했으나, 음운 구조나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DDK 수행시 나타난 실수를 분석한 결과, 4세의 오류빈도는 5세 및 6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DDKsdp에서 표준화된 발음검사 점수와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하악교정 수술환자의 술전후 음향음성학적 연구 (A comparative acoustic study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correction of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 권경환;이숙향;고현주;김수남;이동근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2호
    • /
    • pp.341-346
    • /
    • 1999
  • 본 연구는 악교정 환자 중 9명의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를 대상으로 음향학적 분석을 통하여 술전, 술후에 나타나는 발음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술전, 술후간 모음 조음상의 차이는 술후 혀의 후방, 하방 이동과 동시에 목젖의 후상방 이동으로 인한 구강 내 조음 공간의 극대화로 요약할 수 있다. Long-term average 스펙트라 분석 결과, /ㅅ/의 조음상의 차이는 술전에서는 마찰소음 에너지가 전 주파수대에 걸쳐 고른 분포를 보이나 술후에는 정상인과 같이 고주파수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시에 마찰소음의 peak frequency는 술후에서가 술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PDF

조음도를 이용한 발음훈련기기의 개발 (Development of Speech Training Aids Using Vocal Tract Profile)

  • 박상희;김동준;이재혁;윤태성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1권2호
    • /
    • pp.209-216
    • /
    • 1992
  • Deafs train articulation by observing mouth of a tutor, sensing tactually the motions of the vocal organs, or using speech training aids. Present speech training aids for deafs can measure only single speech parameter, or display only frequency spectra in histogram of pseudo-color. In this study, a speech training aids that can display subject's articulation in the form of a cross section of the vocal organs and other speech parameters together in a single system is to be developed and this system makes a subject know where to correct. For our objective, first, speech production mechanism is assumed to be AR model in order to estimate articulatory motions of the vocal organs from speech signal. Next, a vocal tract profile model using LP analysis is made up. And using this model, articulatory motions for Korean vowels are estimated and displayed in the vocal tract profile graphics.

  • PDF

성대이완 조음치료가 구개파열 아동의 조음정확도 향상과 보상조음 감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cal Relaxation Treatment on the Articulation Accuracy and Compensatory Articulation of Cleft Palate Children)

  • 이소영;김영태
    • 음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185-200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ffects of vocal relaxation treatment on compensatory articulation(i.e., glottalization of plosive sound) of three children with cleft palate.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applied to evaluate treatment,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ffects. The targeted phonemes were ph/, th/, /t/ which Were frequently substituted by glottal stop sounds. The main component of the treatment program was vocal relaxation using humming and aspiration sound /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duced from the results: (1) the treatment program for compensatory articulation was effective in facilitating correct production of targeted phoneme and eliminating glottalization for all subjects, (2) the treatment effects on articulation accuracy were generalized to untreated phonemes (/c/, /c$c^{h}$/) for 2 subjects, (3) the treatment effects on decrease of glottalization were generalized to untreated phonemes for all subjects, and (4) the treatment effects were maintained for all subjects for 2 weeks after treatment was terminated.

  • PDF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 문종훈;원영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91-4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아동의 조음교대운동 특성: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Diadochokinesis in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아림;유재연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231-246
    • /
    • 2018
  • 조음교대운동(DDK)은 구강운동능력과 운동 협응 능력을 평가하여 조음기관의 기능을 알아본다. 현재 국내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DDK 규준데이터가 부족하여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학년 및 성별에 따른 DDK 속도와 규칙성의 특성을 알아보고 규준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남자 45명, 여자 50명)과 2학년(남자: 47명, 여자: 52명), 총 194명이며 수행과제는 AMR '퍼', '터', '커'와 SMR '퍼터커'를 사용하였고 Motor Speech Profile advanced (Model 5141)와 Window용 Praa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MR 속도는 '퍼', '터', '커' 모두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2학년의 AMR 속도가 더 빨랐고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AMR 규칙성은 '퍼', '터', '커' 모두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의 AMR이 더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규칙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SMR 속도는 '퍼터커' 모두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2학년 집단에서 SMR 속도가 더 빨랐고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년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AMR과 SMR 속도와 규칙성에서는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DDK 수행력이 학년과 성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연구에서는 속도와 규칙성 외에 조음정확도, 말 명료도 등과의 상관을 알아봄으로써 조음평가에서 DDK 수행력의 활용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대비

  • 이득춘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27_28호
    • /
    • pp.57-64
    • /
    • 1994
  •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계통에 속하는 언어이다. 이 두 언어의 어음을 음운론적으로 대비하여 보는 것은 자못 의의있는 일이다. 어음에서 보면 각자는 다 자기의 독자적인 음운체계와 특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조음방식과 조음장소 면에서 서로 같거나 유사한 것들도 있으며 음운간의 대립관계, 음절의 형성 둥에서도 서로 같거나 유사한 것들이 있다. 이와 반면에 서로 상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상의 몇 개 면에서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비함으로써 중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거나 한국인이 중국어를 배우는 데 일정한 도움을 주려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한국 아동의 언어발달

  • 배소영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8-105
    • /
    • 1996
  • 한 아이가 태어나서 말을 배우고 글을 읽고 쓰게 되기까지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성공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아동이 해부학적으로 정상적 뇌, 조음 관련 기관, 감각-운동기관을 가져야 하며. 사회적으로 언어적 자극속에 노출되어야 하고. 또 문제 해결이나 의사소통을 위해 말 또는 글이라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Fletcher 1973 ; Kent 1976 ; Kent 1984 ; Spreen et al. 1984 ; Vygotsky 1978). 언어 발달의 기간도 매우 길어 기본적 말의 틀이 3년에서 5년 정도 걸려 완성된 이후 본격적으로 성인언어에 가까운 문법이나 조음 능력을 가지는 데에는 또 여러 해가 더 필요하다(Bloom 1970 ; Bloom 1991 ; Bloom and Lahey 1978 ; Bruner 1983 ; Pinker 1984 ; Radford 1990).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