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위 예측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Mean Sea Level on the West Coast (서해안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 분석)

  • Yang, Su-Hyun;Choi, Seung-Bae;Ryu, Hong-Ryul;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0-270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반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Yoon and Kim, 2012; Jung, 2014, Yang et al., 2022). 해수면의 상승은 연안저지대 범람, 내수배제 불량 등의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분석과 장래 해수면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해수면의 변화는 전 지구적 평균해수면의 변화와는 별개로 지역적으로 변동특성이 크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Yang and Hwang, 2021), 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가 중첩되는 경우 단기간에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취약지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Arnoldo et al, 2017),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분포한 조위관측소의 조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서해안의 북부보다 남부로 갈수록 평균해수면의 변화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의 변화량보다 최근의 평균해수면 변화가 더 큰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umerical Modeling of Storm Surge around the Coast of Pusan (부산연안 폭풍해일 변동양상과 수치예측)

  • 이종섭;주귀홍;장선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 no.2
    • /
    • pp.104-111
    • /
    • 1990
  • The water level variation due to the Typhoon around the coast of Pusa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s investigated from the observed tidal record. Water level variations at six stations along the coast are discussed in association with the meteorological data. The characteristics of storm surge at Pusan during Typhoon Thelma in 1987 is analysed using the observed data, and it is performed the numerical simulation of storm surge which includes a inverse barometric effect due to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sea sur-face pressure. From the calculation results, the peak value of storm surge in the coast of Pusan was occur-red around the 01:00 July 16th, which is well coincident with the observed water level variation at the Kadukdo. However, the calculated value at the Pusan TBM is inconsistent with the observed one, which is regarded due to a reason that the Tidal Bench Mark (TBM) locates in the channel. In the computation results, the maximum surge occurs at the coast of Nakdong estuary, which is considered primarily due to a topographic effect, and water level variation exceeded 2.5 meter in these areas while only about 60 cm in another coasts.

  • PDF

Optimal Water Quality Management due to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최적 수질 관리)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8-358
    • /
    • 2016
  • 본 연구에 앞서 가뭄에 따른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1차원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결과와 연계하여 수질 모형을 구축하여 금강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위 영향에 따른 염도의 역류 모의를 위하여 전자해도와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금강 하굿둑에서 외해 방향으로 약 9km에 이르는 모의 구간을 확장하였으며, 상류단의 진두수위표를 포함한 8개 지천의 유입유량 및 수질, 하구의 조위와 염도, 농공용수 취수시설의 취수량 및 회귀수 수질, 금강 배수갑문 운영, 대상 구간에 인접한 기상대의 기상자료 등을 고려하고 금강 본류를 따라 9개 수질측정소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 구간 내 2015년의 갈수기 유황 분석을 토대로 비선형 회귀분석식을 도출하여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과 함께 수질-유량 관계식을 도출하여 대상 구간의 수온, 염도, 용존산소(DO), BOD, 조류 등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온 분석 결과, 지점에 따라 2015년 유황 대비 평균 수온 1.79~3.83도, 최고 수온 1.74~4.30도 상승할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염도는 2016년 갈수기 동안의 금강 하굿둑 외해 염도는 담수 방류량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평균 53%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어 기수역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갈수기 동안의 금강 하굿둑 내수의 염도는 배수갑문 개방 빈도, 개방 시간, 개방 정도의 감소에 따른 해수 역류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할 것으로 모의되었다. 용존산소는 2016년 갈수기 동안의 용존산소 농도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4~11% 감소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2016년 갈수기 동안의 BOD 농도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30~57%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류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29~67%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유량의 감소에 따른 수온 증가 및 수질 악화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나, 도수에 따른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Hydraulic Impact Analysis of Geum River with the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for Low Flow Augmentation of Boryong Dam (금강-보령댐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수리영향 분석)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9-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금강 본류의 농공용수 취수에 제한을 초래할 수 도 있는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하류 외해 방향으로 약 9km 지점에 위치한 금강 하구로부터 상류 방향으로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약 76km 지점에 위치한 공주시 반포면 검상동의 검상천 합류지점까지 총 85km에 이르는 구간에 대한 1차원 수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보령댐으로의 도수가 갈수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2015년 2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두수위표의 시간별 유량과 8개 지천의 유입 유량, 장항검조소의 시간별 조위, 농공용수 취수시설 취수량 및 회귀수, 금강 배수갑문 운영 등을 고려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고, 유황분석에 따른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을 추정하여 보령댐으로의 도수에 따라 금강 본류 내 주요 구간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서해안 조위에 따른 금강하굿둑 배수갑문의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배수위 구간임을 감안하여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갈수기 예측 유량 추정 결과 2015년과 같은 가뭄이 지속될 경우, 2016년의 유황은 2015년 대비 21%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보령댐 도수 여부에 관계없이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령댐으로 도수를 실시할 경우, 도수시 금강호 최저 수위는 각각 EL(+)0.94m와 EL(+)0.72m로 모의되어 농업용수를 비롯한 기존 취수시설 뿐만 아니라 보령댐 도수시설의 운영에도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6년 갈수기 동안 과업 대상 구간인 금강 하류부의 유황은 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2월에는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을 유지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지만 3월 이후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면 농업용수 취수시설이 집중된 입포수위표 ~ 금강 하굿둑 사이 구간은 하천유지유량 이하로 유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Analysis of a Change of Hydrodynamic Environments due to the Port Developments in the Intertidal Zone (조간대 발달영역에서 개발에 따른 유동환경변화 해석)

  • Jung, Jae-Hyun;Lee, Joong-Woo;Jeong, Young-Hwan;Jun, Sung-Hwan;Kim, Kang-M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1 no.8
    • /
    • pp.689-695
    • /
    • 2007
  • The under developing estuarial port Bupsung is bounded by a river and the sea, and has several well developed tidal lands, where the littoral drift is strong due to the tide and the river discharge. The study area is located at the inner part of a concave bay and has a large tidal range due to the water discharge through the Watan-chun and Junnam-dike. In beginning stage of the ocean physical impact study, the tidal modeling is very important and difficult especially in this area. Moreover, we need a model experiment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formulated model based on ocean survey.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numerical model to the Bupsung port coastal boundaries, which varies with the past and future development and made simulation with it. The result after development shows that there is a decrease of velocity on flood current and a increase on Ebb current and the minor variation of the tide level, compared with before development.

Study of the Saemangeum District Flood Level after Completion of Saemangeum Master Plan (새만금종합개발계획 완료 후 새만금 지구 홍수위 검토)

  • Jeong, Seok Il;Ryu, Kwa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8-248
    • /
    • 2018
  •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정부, 2011)에 따른 내부개발의 완료시점은 2030년이며, 방수제 공사와 준설 등과 같이 만경강 및 동진강 유역 내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현재와 2030년의 하천 및 호의 수리특성은 다를 것이라 예상된다. 2030년까지 준설상황 등을 예측하여 반영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부개발의 완료시점을 기준으로 홍수사상을 모의하였다. 새만금 호의 물리적인 변화는 수리특성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류지역으로 전파가 될 수 있으므로 호내 뿐만 아니라 만경강과 동진강 전역에 대한 홍수시의 수리특성을 검토하였다. 새만금 호와 연결된 만경강과 동진강의 설계홍수량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100년 빈도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100년 빈도 홍수사상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홍수위 검토를 수행하였고, RCP8.5 시나리오를 적용한 100년 빈도 홍수량과 500년 빈도 홍수량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취약지구 분석 및 대책 등을 제시하였다. 수치모의는 Delft3D를 이용하였으며, 새만금 유역의 동진강 지구의 실측치와 비교함으로써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서해안 조위 특성상 새만금 방조제는 조위 영향이 크므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조위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새만금 유역 주변의 12개 조화상수(tidal harmonic constant)를 이용하여 조위에 대한 모의를 별도로 수행하고, 이 결과를 배수갑문의 경계조건으로 이용하였다. 상류 경계조건은 하천기본계획상에 제시된 하천은 이를 이용하였으며, 그 외의 소하천은 유역면적을 이용한 계산법을 사용하여, 선형적 면적 비유량(Specific Discharge, SD) 방법을 적용하여 본류의 유량에 부가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준설 구간의 수위는 전반적으로 저하되었으며, 거리에 따른 수면의 경사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하천구역이 준설 등으로 인하여 호수의 특성으로 변화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약지구는 홍수위가 제방고의 약 80% 이상 되는 지역으로 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구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 100년 빈도에서 1지점, RCP 8.5 시나리오가 적용된 100년 빈도에서 88지점, 500년 빈도에서 125지점이 잠재적인 치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존의 1차원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있는 부분은, 다수의 취약지구가 만곡부 또는 합류부 인근에 위치한 것이다. 향후 이러한 상대적인 치수 취약지점에 대해 정밀하고 국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정확한 홍수위 예측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Anomaly Detection Neural Network Model Based On Flow Direction/Velocity Data (유향/유속 데이터 중심의 이상 검출 신경망 모델)

  • Seong-Kil Hyun;Dong-Young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555-557
    • /
    • 2023
  •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상 해양 상황은 산업 및 생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OPEN API 를 이용하여 유향/유속, 조위등 해양 환경관련 실시간 시계열 데이터를 수집한 후 2 차원 공간에 표시하여 순환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학습된 모델을 실제 데이터에 적용하여 파랑을 예측한다. 시계열의 성격이 있고 공간상에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라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체계를 통해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Local Winds Effects on the Water Surface Variation at the Shallow Estuary, Mobile Bay (해수순환모델(FVCOM)을 이용한 하구의 조위 변화에 미치는 국부적 바람의 영향)

  • Lee, Jungwoo;Yun, Sang-Leen;Oh, Hye-Cheol;Kim, Seog-Ku;Lee, 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8
    • /
    • pp.570-578
    • /
    • 2014
  • A three-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was applied to a shallow estuary, Mobile Bay, to study local wind setup and setdown. Tides started from the northern Gulf of Mexico propagates up to the Mobile River system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 of the Mobile Bay. However, the tides started in the south of Mobile Bay were distorted when travelling upstream while affected by river discharge and local winds. The water surface elevation was less/over predicted responding north/south winds, respectively, when winds only at the Dauphin Island station (DPI) were used. However, the model predicted water surface elevation better when using two local winds from DPI and Mobile Downtown Airport (MDA). Wind speeds were greatly reduced (~ 88%) in about 43 km distance between DPI and MDA, and the canopy effects may be the reason for this. For this reason, the local winds are greatly responsible for local surface elevation setup and setdown especially at the shallow estuary like Mobile Bay.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Tidal Residuals' Mid/Long-period Components Using a Wavelet Method (웨이블릿방법을 이용한 조위편차 성분의 중·장주기 특성 분석)

  • Kang, Ju Whan;Kim, Yang-Seon;Shim, Jae-S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5 no.4
    • /
    • pp.200-206
    • /
    • 2013
  • Fourier analysis and a wavelet method were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residual components in coastal waters. The result of Fourier analysis shows tide-induced and monsoon-induced residuals are conspicuous at the short period and mid period, respectively. The tidal residuals were decomposed by period from 3 hours to 8 month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mponents were shown by reconstituting them with short periods less than 24 hours, mid-periods between 1 day and 16 days and long periods longer than 1 month. The tidal residuals in the short period, i.e., tide-induced components, being based on the tidal elevation prediction errors, appear in the West Sea with high tidal ranges and do not have much seasonal fluctuation. Additionally, the period of typhoon induced surge ranges more or less than 12 hours. The mid-period components were clearly generated mainly in the West Sea during the winter and largely affected by monsoon. Accordingly, the pure surge height components were concentrated on the mid-period and had clear features for each coastal waters. The long period components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at all stations and are considered to stem from variations of mean sea levels.

Time Series Analysis of Area of Deltaic Barrier Island in Nakdong River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연안사주의 면적 시계열 분석)

  • Lee, Seulki;Yang, Mihee;Lee, Ch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4 no.5
    • /
    • pp.457-469
    • /
    • 2016
  • Nakdong river barrage was affected by artificial interference such as construction of port, industrial complex and estuary barrage. This change in Nadong river lead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affected the ability of barrier islands. Therefore, it is decided that the observation of chan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the topographic change of the Nakdong river barrage observe based on Landsat TM, ETM+ images from 1984 to 2015.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rea for change of sandy sediment according to tide level. This results could estimate height and volume about sandy sediment accumulated on the lower sand dune. Also,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prediction of the changing topography of the sand dune. The area of the average change in region 1,2,3 was calculated as 3,015m2, 167,550m2, 14,596m2.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for the continuous observation for sediment changes of Nakdong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