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위 관측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Local Winds Effects on the Water Surface Variation at the Shallow Estuary, Mobile Bay (해수순환모델(FVCOM)을 이용한 하구의 조위 변화에 미치는 국부적 바람의 영향)

  • Lee, Jungwoo;Yun, Sang-Leen;Oh, Hye-Cheol;Kim, Seog-Ku;Lee, 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8
    • /
    • pp.570-578
    • /
    • 2014
  • A three-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was applied to a shallow estuary, Mobile Bay, to study local wind setup and setdown. Tides started from the northern Gulf of Mexico propagates up to the Mobile River system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 of the Mobile Bay. However, the tides started in the south of Mobile Bay were distorted when travelling upstream while affected by river discharge and local winds. The water surface elevation was less/over predicted responding north/south winds, respectively, when winds only at the Dauphin Island station (DPI) were used. However, the model predicted water surface elevation better when using two local winds from DPI and Mobile Downtown Airport (MDA). Wind speeds were greatly reduced (~ 88%) in about 43 km distance between DPI and MDA, and the canopy effects may be the reason for this. For this reason, the local winds are greatly responsible for local surface elevation setup and setdown especially at the shallow estuary like Mobile Bay.

Numerical Modeling of Tide Asymmetry in the Southeast Coastal Zone of Yellow Sea (서해남부해역의 조석 비대칭에 대한 수치모의)

  • Jung, Tae-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6
    • /
    • pp.429-441
    • /
    • 2011
  • In the southeast coastal zone of Yellow Sea, the tide characteristics showing ebb-dominant tide and tidal flow were confirmed by analysis of observed tide and tidal currents. Physical factors generating asymmetric tide were reviewed. Influence of bottom shear stress, tidal flat, and nonlinear terms in shallow water equations was investigated by two-dimensional tide modeling. The model results gave good agreements with observed tides, but the amplitude of simulated $M_4$ tide was less than that of observed tide. The tidal flats existing in the study area widely have great effect on the generation of nonlinear tide. The M4 tide is mainly generated near the tidal flats. The deletion of tidal flats prevents the production of the M4 tide. We can conclude that the wide tidal flats is a primary cause of tide asymmetry in the study area.

Analysis of Ground Watertable Fluctuation at the Sandy Barrier Island on Jinu-do in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자연해빈의 지하수위 변동해석)

  • Park, Jung-Hyun;Yoon, Han-Sam;Lee, I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4
    • /
    • pp.382-388
    • /
    • 2014
  • This study selected five observational stations in the normal direction of Jinu-do(island) shoreline and observed water temperatur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ressure from March, 2012 to January, 2013(about 11 months) and attempted to see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table. This study wants to know : 1) External environment force factors(tide, climate, wave etc.) affecting ground watertable variation through time series and correlation analysis. 2) Spatial variations of ground watertabl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change by storm event. First, we found that the station at the intertidal zone was strongly affected by wave and tide level and the stations at sand dune and vegetation zone was affected by precipitation and tide level through time series data and correlation analysis. Second, during the storm event, we found that ground watertabl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re stabilized at the start line of sand dune and vegetation zone and transition zone between freshwater layer and seawater layer exists in the experiment area and is about 50~70 m from coastline of the south side of Jinu-do(island).

3차원 연안 해수유동 및 부영양화 모델

  • Choe, Yang-Ho;No, Yeong-Jae;Jeong, Chang-Su;Kim, Suk-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255-260
    • /
    • 2006
  • 천수만의 수리 역학 및 수질 모델을 위하여 3차원 수리역학 모델(EFDC)과 21개 수질 변수에 대한 수질 모델이 접합된 3차원 수리역학-부영양화 모델(HEM-3D)을 이용하였다. 관측 자료에 대한 모델 검증 결과, 조위는 관측치에 비해 5% 정도, 유속은 10% 정도 작은 값을 보였으며, 지각은 모델 결과치가 고정항에서 늦고 간월도에서 빠르게 나타났다. 수질 항목, 특히 용존산소의 관측치에 나타난 전반적인 분포 양상을 잘 재현하고 있었으며, 항목별 기여도 분석에서는 수질 모델이 퇴적물에 의한 산소 소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용존산소 변화에 있어서 퇴적물에 의한 영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모델 결과는 기존의 모델들과 비교하여 천수만 해역의 해수 유동 특성을 잘 재현하고 있으며, 본 모델과 연계된 수질 모델의 오염물 확산과 수질 항목들의 거동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은, 수질 예측 모델에 필요한 수질 변수들의 관측 자료와 양식장에 의한 오염 부하량 자료가 충분하지 못하며, 퇴적물에 의한 수질 변화를 정량화할 수 있는 모델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특히 퇴적물에 의한 산소 요구량은 유기퇴적물이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산소량으로서, 해수 유동 조건의 변화와 오염부하에 의한 유기퇴적물의 집적이 주된 요인이다. 방조제 건설 이후 해수유동 조건의 변화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오염물이 유입되고, 담수 및 천수만의 수질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부하와 퇴적물에 대한 관리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정확한 수질 예측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에 대한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SAR Images and Interferometric Phase over Oyster Sea Farming Site (굴 양식장에서의 SAR 영상 및 간섭위상 특성)

  • 김상완;이창욱;원중선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8 no.4
    • /
    • pp.209-220
    • /
    • 2002
  • We carried out studies on SAR image intensity and interferometric phase over oyster sea farms. Strong backscattering was observed in amplitude images, and that was considered as a radar signal double bouncing from horizontal bars. These sea farming structures are not visible in satellite optical images except IKONOS image, so that it demonstrates the value of radar remote sensing as an effective tool in support of sea farm detection. The intensity of the image is sensitive to system parameters including wavelength, polarization, and look direction, but does not correlate to tide height. We found that the strongest backscattering can be obtained by L-band HH-polarization with a look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bar. We also succeeded in generating 21 coherent JERS-1 SAR interferometric pairs over the oyster farms. The general trend of the fringe rate of the interferometric phases appeared to be governed by altitude of ambiguity. The general trend was modeled by an inverse function and removed to have a residual phase. The residual phase showed a linear relation with the tide height. The results demonstrate for the first time that SAR can possibly be used to estimate sea level. However, the r.m.s. error of a regression line is 11.7 cm, and that is so far too large to make reliable assessments of sea level in practical applications. Further studies is required to improve the accuracy specifically using multi-polarization SAR data.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Hydraulic Channel Routing Model on the Nakdong River (II) Model Application (낙동강 유역 수리학적 하도추적 모형 구축 및 적용 (II) 홍수사상의 적용)

  • Lee, Eul Rae;Kim, Sang H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1
    • /
    • pp.83-96
    • /
    • 2006
  • In this study, hydraulic flood routing is performed by 1-Di. unsteady flow model, FLDWAV o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For input information, KOWACO Rainfall-Runoff Model is used and resonable boundary condition is constructed. A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about the past flood event, good agreement of comparison with observed and calculated values are show in the interesting sites, Jindong and Samrangjin. Additionally, estuary barrage's WSL evaluation procedure is enhanced to accurate calculation, and it is defined by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 in Nakdiong river. The new regressive equation to calculate the predicted tide value is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astronomical tide and past observed tide value at Nakdong estuary barrage. The guideline's construction of the new application and flood forecasing system of other river basins is possible by using this studied results.

  • PDF

Implementation of Digitizing System for Sea Level Measurements Record (조위관측 기록 디지타이징 시스템 구현)

  • Yu, Young-Jung;Park, Seo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8
    • /
    • pp.1907-1917
    • /
    • 2010
  • It is much needed research for ocean scientists to implement a digitizing system that effectively extracts and digitializes sea level records accumulated from the past. The main difficulty of such a system is huge anount of data to be processed.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digitizing system to handle such mass-data of sea level records. This system consists of a pre-process step, a digitizing step and a post-process step. In pre-process step, the system adjusts skewnesses of scanned images and normalizes the size of images automatically. Then, it extracts a graph area from images and thins the graph area in digitizing step. Finally, in the post-process step, the system tests the reliability. It is cost-effective and labour-reducing software for scientists not wasting their time to such boring manual digitizing jobs.

Long Term Monitoring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Jacket-Type Offshore Structure Using Dynamic Tilt Responses and Tidal Effects on Modal Properties (동적 경사 응답을 이용한 재킷식 해양구조물의 장기 동특성 모니터링 및 조류 영향 분석)

  • Yi, Jin-Hak;Park, Jin-Soon;Han, Sang-Hun;Lee, Kwa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A
    • /
    • pp.97-108
    • /
    • 2012
  • Dynamic responses were measured using long-term monitoring system for Uldolmok tidal current pilot power plant which is one of jacket-type offshore structures. Among the dynamic quantities, the tilt angle was chosen because the low frequency response components can be precisely measured by dynamic tiltmeter, and the natural frequencies and modal damping ratio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using proposed LS-FDD (least squared frequency domain decomposition) method. And the effects of tidal height and tidal current velocity on the variation of natural frequencies and modal damping ratios were investigated in time and frequency domain. Also the non-parametric models were tested to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idal conditions and modal properties such as natural frequencies and damping ratios.

Analysis on the Water Level Variation due to Remaving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 철거에 따른 수위변화 분석)

  • Park, Jae Hyeun;Lee, Jong Jin;Park, Ch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1-101
    • /
    • 2015
  • 1986년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준설이 실시되고, 수위가 낮아지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988년 김포대교 직하류 지점에 신곡수중보를 건설하였다. 당시 수중보의 설치목적은 취수시설 유지를 위한 수위유지가 주요기능이었으나, 30년이 지난 지금 생활용수 취수시설은 잠실 수중보 상류로 모두 이전하였고, 농업용수와 일부 공업용수 등의 일부 시설만이 남아 있어 신곡수중보 시설의 필요성 및 현재 기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변화하는 한강 본류의 수위를 모의하기 위해 수리학적 모형인 HEC-RAS를 이용한 부정류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해 저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45일간과 풍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8월부터 9월까지 45일간을 모의하였다. 조위영향을 받고 있는 강화대교 관측수위를 기점수위로 선정하고, 팔당댐 유량을 유량조건으로 모의하였으며, 본류구간의 전류, 행주대교, 한강대교 지점의 실측수위와 모의결과는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평가를 위해 팔당댐 방류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과 한강의 갈수량, 저수량, 계획홍수량 등 유량조건 변화에 따른 한강 본류수위를 비교하였다. 보 철거시 서해안의 조위영향이 잠실수중보 직하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고, 일시적인 수위하강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보 철거에 의해 감조하천으로 변화되는 구간에서는 전반적인 유속이 증가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신곡수중보 직상류 및 지천 합류부 주변의 퇴적문제와 수질 문제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곡수중보 상류지역에서 잠실수중보 하류까지 발생하는 수위변화와 수면폭변화는 간조대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한강변의 퇴적지 면적 증가 및 생태계 서식처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신곡수중보 하류지역의 수위는 현재보다 전반적인 상승이 예상되어 장항습지 면적이 일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홍수시 침식 및 퇴적이 가장 활발히 발생하므로 하상변동 등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홍수기 신곡수중보 구조물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철거 시 한강 본류의 하천 수위가 일부 하강하는 것으로 모의되어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이 홍수위 상승에 기여한다고 판단되므로 대안마련을 위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PDF

Analysis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Nakdong Estuary Barrage (낙동강 하구둑 주변의 수리특성 분석)

  • Shin, Hyeon-Ho;Hawng, Man-Ha;Kang, Shin-Uk;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64-769
    • /
    • 2009
  •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하구는 자연적인 기능 뿐만 아니라 공학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개발에 따른 용수 사용의 증가, 홍수재해대책 등으로 인해 한강을 제외한 4대강에 하구둑을 건설하였으며 강물과 바닷물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물이므로 하천의 생태적인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은 불가피 하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하구둑이 건설되는 가장 큰 목적 중의 하나는 주변지역의 안정된 용수공급이다. 1987년에 완공된 낙동강 하구둑은 건설 이 후 약 20년 동안 안정된 용수공급과 효율적 운영으로 관리되어 왔지만 그동안 기상 및 수리 수문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다. 하천의 기수역인 하구에서 유체는 하구둑이라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도 매우 복잡하게 거동한다. 하천의 유량, 지형학적 요소 그리고 조위의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변화하며 이러한 하구에서 유체의 거동을 보다 더 정확하게 묘사하려면 흐름방향, 수심방향, 하폭방향의 3차원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하천과 바다를 밀도가 같은 하나의 상으로 가정하고 수행한 수문학적인 분석이나 1 2차원 수치모형을 활용한 수리 분석 결과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경제적이고 양호한 결과를 산출해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의 수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기상청의 홍수추적모형인 FLDWAV 모형과 미수로국(WES)의 2차원 유한요소 모형인 RMA-2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낙동강유역 주요 수위관측소의 실측자료를 토대로 매개변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위가 고려된 2차원 유속장을 구현하였으며 하구둑 유지 관리 개선에 기여코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