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선해양산업

Search Result 23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조선해양기자재 정보센터 설립을 위한 주요 성공요인

  • Lee, Hang-Gil;Jang, Chun-Won;Jang,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115-116
    • /
    • 2013
  • 최근 조선해양산업의 트렌드는 해양플랜트 육성과 친 환경 녹색선박과 에너지 절감기술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조선해양산업의 메가트랜드인 해양플랜트와 친환경 선박 기술력을 확보하고, 국가의 주력산업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니기 위해서 가장 근본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부분은 관련된 다양하고 양질의 정보를 시의 적절하게 산업의 주체들에게 제공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해양기자재 정보센터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정보센터가 어떠한 기능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조선해양 정보센터 기능 및 조직체계에 반영될 수도 있고, 정보센터 설립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의사결정의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전문인력 양성방안 전략

  • An, Yo-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545-547
    • /
    • 2013
  •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은 고상장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국내기업의 진출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해양플랜트 수요는 고유가와 심해유전 개발의 확대로 산업 시장성은 충분하고 석유 가스 개발이외에도 방대한 해양자원 개발에 필수적이다.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이며 진출을 위해선 인력양성이 필수적이다. 또한 서비스 산업은 고수익 업종으로 선원 및 조선산업 유휴인력과 조선해야공학 전공자에게 고급 일자리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원고에서는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현황과 전문인력 양성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서의 해양구조물 및 장비 기술

  • 홍사영;홍석원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1 no.2
    • /
    • pp.25-34
    • /
    • 2004
  • 현재 우리나라는 1995년 국민소득 1만불 진입 이후 8년간 1만불 장벽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그 동안 국가 성장동력의 바탕을 이룩해 온 기간산업 경쟁력의 둔화와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는 줄어들지 않는 한편 중국 등 후발국가의 추격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 있다. 이에 따라 내부적으로 미래에 대한 확고한 비젼 부재상태를 극복함과 동시에 1인당 국민소득 2만불 대의 선진경제로의 도약을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의 창출"이란 국가적 명제를 안게 되었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03년 5월 말 주력 기간산업, 미래 유망사업, 지식기반 서비스산업 등 3개 분야에서 총 60개의 차세대 성장품목을 발굴하고 산업군별로 종합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이 중 조선$.$해양산업은 주력 기간 산업군에서 고부가가치 선박, 디지털기반 조선컨텐츠, 해양부체 강구조물의 3개 항목이 이에 포함되었다. 이후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표 1) 선정과정에서 조선$.$해양산업이 이에 명시적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지능형 로봇분야와 e-Biz/지능형 물류에 부분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산자부에서는 조선$.$해양산업을 포함한 10개 주력 기간산업별 기획단을 구성하여 차세대 성장동력 기획단과 함께 연구기획을 통하여 산업기술혁신 5개년 계획에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중략)다[1]. (중략)

  • PDF

국가 기술개발 수요에 부응, 해양강국 진입에 일조

  • 구광모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4 no.2
    • /
    • pp.16-17
    • /
    • 1997
  • 해양과 관련된 세계적인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우리 선박해양공학연구센터는 지난 '93년 이후 그동안 수행해 오던 조선산업 관련 기술과 더불어 한국기계연구원 선박해양공학연구센터는 국가적으로 필요한 공공의 기술수요 공급을 위해 해양안전과 해양환경 보전기술, 해양자원 개발기술, 해양방위기술, 차세대 선박기술, 조선 자동화기술 등의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 PDF

조선.해양플랜트에서의 IT융합 적용

  • Han, Gyeong-Su;Han, Sang-Cheol;Park, Jeong-Ho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11
    • /
    • pp.48-53
    • /
    • 2013
  • 조선해양플랜트산업은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주도적 역할을 해온 효자산업이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조선해양플랜트 IT융합산업의 특징을 설명함은 물론, 개발현황과 개발사례를 소개하여 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Marine Leisure Equipment Industry Terminology (해양레저장비 산업 용어 표준화 방안 연구)

  • Ming-Su Kang;Jang-Gon Im;Hyen-W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34-135
    • /
    • 2021
  • 조선해양 관련 산업에서는 아직 일본식 및 한자식 조선용어, 외래어가 자리 잡아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고박(固縛, こばく), 취부(取付, とりつ), 반생(番線, ばんせん) 등이다. 용어의 정의는 국가 표준 및 관련 법령의 기본이며, 특히 국내 해양레저 관련 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이에 일부 혼용 중인 해양레저장비 관련 선체, 의장품, 범장 등과 관련하여 영문 명칭, 외래어 사용시 표기법, 권장 한국어 등으로 구분하여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IoT-based Service and Access Basket (SAB) monitoring and alarm system (IoT 기반 Service and Access Basket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설계)

  • Yoo, Ju-Yeon;Woo, Sang-Min;Hwang, Hun-Gyu;Kim, Bae-Sung;Shin, Il-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3-124
    • /
    • 2019
  • 우리나라 조선업은 건조분야에서 세계최고의 위상을 자랑하면서 급속도로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수주 불황과 조선 산업의 침체로 인해서 조선 산업은 직접적인 타격으로 국내의 중견 조선소 및 기자재 공급업체들이 도산되어0 최근부터 해양플랜트 사업이 우리나라 새로운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해양 ICT 융합기술을 활용한 기자재 업체들이 많이 생겨났다. 하지만 실제 해양플랜트 선박 및 기자재의 국산화율은 현저히 낮다. 해양플랜트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Service and Access Basket의 국산화를 위해서 각 모듈별로 임베디드를 연계하여 설계하였다. 기존의 Service and Access Basket의 미비했던 안전 사양(기울기, 하중, 경보 등)을 추가로 설계하고 신뢰성이 높은 센서(자이로, 하중센서, 초음파 거리센서)들을 활용하여 통합 설계하였다. 이러한 통합 시스템이 완성이 되면 고소차, 해양/육상용 고공 작업을 할 수 있는 장비 등에 활용할 수 있을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