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선관

Search Result 46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hae jae kong's thoughts on scenic site and vaule of related works (번암 채제공의 명승관과 관련 저작류의 명승학적 가치)

  • Lee,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5-146
    • /
    • 2017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신 채제공의 저작류에 나타난 명승관련 내용분석을 통해 그의 명승에 관한 의식과 관점을 파악하고 저작류에 나타난 명승과 관련된 당시 현황을 명승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전래명승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작업이 될 것이다.

  • PDF

소형선(小型船)의 복원성(復原性)에 관(關)하여

  • Hak-Seon,Choe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18 no.1
    • /
    • pp.39-43
    • /
    • 1981
  • The auther presents two simplified methods of stability analysis for small vessels. The paper includes a brief review of some excellent papers recently published. The righting arm and moment of inertia of trimmed waterplane resulted from two methods are compared with. The conclusion is reached that CTTM is more adequate than CTM to ensure statical stability for vessels.

  • PDF

기관기진력과 축계진동

  • 안시영;정정훈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3
    • /
    • pp.16-20
    • /
    • 1994
  • 본 고에서는 진동관점에서 특히 문제시되고 있는 장행정.소수실린더.저속 2행정 디젤주기관의 기진력 발생기구와 기관본체진동에 대하여 살펴보고, 박용디젤 추진축계의 진동문제와 관련해 서는 198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국내의 연구사례들을 중심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중심적으로 연구해야 할 문제점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가구구성의 유형에 따른 차별출산력 : 중국 연변자치주의 조선족과 한족의 비교분석

  • 권혁인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3 no.1
    • /
    • pp.31-53
    • /
    • 2000
  • 이 논문은 중궁의 가족적 특성과 츨상력의 관계를 보다 면밀하게 알아보기 위해 사회 문화적 특성을 근간으로 하는 가구유형을 분류, 이들간의 출산수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990년에 실시된 제 4 차 중국인구센서스 자료 중에서 조선족이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는 길림성내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50% 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가구유형별 출산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자료를 가구구성특성에 따라 네가지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가족경제의 생산단위와 세대구성을 기준으로 고립형, 병렬형, 직계형, 전통형의 네가지 가구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출산력을 한족과 조선족의 네가지 가구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출산력을 한족과 조선족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농가와 비농가의 가구형태 또는 세대구성의 성격아 출산수준과 갖는 상관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중국의 사회 경제적요인과 결부하여 전통적으로 유지되던 가족관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민족별 출산수준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연구결과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해체하고 집단적 공동생산 체제를 대체시키려는 중국의 사회주의 정책이 현실적으로는 가족중심의 생산체제와 전통적 가족주의를 변화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구유형에 따른 출산수준의 편차는 두 민족간에 차이를 보여 주었다. 한족이 여성의 직업이나 교육수준에 따라 가구유형별 출산수준의 편차가 크게 변화되는 것과는 달리 조선족은 비교적 전통적인 세대관 이 강조되는 다가구 유형에서 높은 출산수준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는 중국의 인구정책과 경제개방 시행과정에서 약소민족인 조선족의 저출산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가구 유형별 출산수준에 대한 영향력이 한족에 비해 적었던 것으로 지적할수 있다.

  • PDF

On the Stability Criteria adopted by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대한조선학회(大韓造船學會) 복원력기준(復原力基準)에 관(關)하여)

  • Hun-Chol,Kim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6 no.2
    • /
    • pp.17-23
    • /
    • 1969
  • The Stability Criteria adopted by the 1969 Standard Ship Design Committee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from a personal point of view. The Stability criteria are derived primarily from a similar standard now in practice in Japan expect the design wind condition and a addition of a buoyancy standard.

  • PDF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in Joseon Dynasty and Its Impact on Local Kilns (음각운문청자의 제작현황으로 본 조선시대 관요의 설치와 지방 가마)

  • Oh, Young-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0 no.4
    • /
    • pp.38-63
    • /
    • 2017
  •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and its impact on local kilns, taking note of celadon vase with inlaid cloud pattern in Joseon Dynasty. For that purpose, it determined the kilns and period to produce celadon vases with inlaid cloud pattern, and compared them with the pattern, design, and deformity of the celadon vases produced in the royal kilns in the 15th centuries. The celadon vase with inlaid cloud pattern was superior in quality than the porcelain for tribute ware manufactured together in Jeolla Province before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And then a majority of sagijangs at local kiln had difficult time securing enough supply of manpower and resources, and discontinued manufacturing the celadon vase with inlaid cloud pattern. En revanche, celadon vases with inlaid cloud pattern produced from specially fixed royal kilns reflected the local sagijang's skill. Local kiln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Those could not freely use high-quality white clay, limited to the market. Besides, most of the skillful sagijangs were assigned to royal kilns. Celadon vases with inlaid cloud pattern can be used as evidence to show that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transferred from local kilns to the royal kilns as well as to show that their production in royal kilns soon became stabi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