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in Joseon Dynasty and Its Impact on Local Kilns

음각운문청자의 제작현황으로 본 조선시대 관요의 설치와 지방 가마

  • Oh, Young-In (Department of Archaeology & Art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7.08.31
  • Accepted : 2017.11.20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and its impact on local kilns, taking note of celadon vase with inlaid cloud pattern in Joseon Dynasty. For that purpose, it determined the kilns and period to produce celadon vases with inlaid cloud pattern, and compared them with the pattern, design, and deformity of the celadon vases produced in the royal kilns in the 15th centuries. The celadon vase with inlaid cloud pattern was superior in quality than the porcelain for tribute ware manufactured together in Jeolla Province before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And then a majority of sagijangs at local kiln had difficult time securing enough supply of manpower and resources, and discontinued manufacturing the celadon vase with inlaid cloud pattern. En revanche, celadon vases with inlaid cloud pattern produced from specially fixed royal kilns reflected the local sagijang's skill. Local kiln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installation of royal kilns. Those could not freely use high-quality white clay, limited to the market. Besides, most of the skillful sagijangs were assigned to royal kilns. Celadon vases with inlaid cloud pattern can be used as evidence to show that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transferred from local kilns to the royal kilns as well as to show that their production in royal kilns soon became stabilized.

본 논문은 조선시대 음각운문청자의 제작 추이에 주목하여 관요 운영이 지방 가마에 미친 영향과 그 결과에 대해 구체적인 규명을 시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음각운문청자가 제작된 가마와 제작시기를 밝히고, 15세기 관요에서 제작된 청자의 문양을 확인하는 동시에 관요가 설치 운영된 이후 지방에서 자기가 제작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음각운문청자는 관요가 운영되기 이전 전라도 일대에서 공물자기와 함께 제작되던 청자였다. 동일 가마에서 제작된 여타의 자기에 비해 태토의 발색이 밝고 정제수준이 높았으며 시유상태와 유조가 고른 양질 자기였다. 더욱이 음각운문청자에 일정한 규격과 위치로 시문된 문양은 고려청자의 운문과 조선시대 공예품의 운문이 독창적으로 반영된 특징을 보였다. 특히 음각운문청자는 관요가 설치되기 이전에 각 지역별로 다양한 공예적 특징을 보일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지역색이 뚜렷하게 반영된 자기였다. 지방 가마는 관요의 설치와 운영으로 인해 많은 영향을 받았다. 양질 백토를 사용하는데 제약을 받았고, 자기 공급처의 변경에 따라 왕실과 중앙 관청이 아닌 지방 관아나 민가에서 사용할 자기를 제작해야했다. 뿐만 아니라 기술력이 뛰어난 사기장의 대다수는 관요로 차출되어 지방의 자기 제작에 큰 타격을 끼쳤다. 그 결과 관요가 운영된 이후 지방 가마의 대다수는 인력과 자원확보에 어려움을 겪었고, 음각운문청자 역시 전라도 일대 가마에서 더 이상 제작되지 않았다. 반면에 관요에서는 지방 사기장 기술력의 이전에 따라 음각 운문청자가 일시적으로 제작되는 양상을 보였다. 즉, 음각운문청자는 관요로 차출된 전라도 사기장의 기술력이 관요에 투영된 증거인 동시에 관요 자기의 제작이 이내 안정되었음을 보여주는 단서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국대전
  2. 삼국유사
  3. 승정원일기
  4. 신증동국여지승람
  5. 조선왕조실록
  6. 김종직(1431-1492), 점필재집(佔畢齋集)
  7. 성현(1439-1504), 용재총화(慵齋叢話)
  8. 강경숙, 2012, 한국도자사, 예경
  9. 강경숙, 2003, 15세기 경기도 광주 백자의 성립과 발전 미술사학연구237, 한국미술사학회
  10. 강희주, 2002, 단청에 있어서 음양오행설에 의한 색채 표현,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4
  11. 겨레문화재연구원, 2015, 서울 효자동 164-11 유적, p.34
  12.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04, 진해 웅천도요지II
  13. 경북대학교박물관, 1991, 칠곡 다부동 자기요지, 대구 춘천간 고속도로 건설예정지역내 문유적발굴조사보고서
  14. 공주대학교박물관, 1995, 구룡사지, 원색도판8
  15. 구도영, 2015, 16세기 조선 對明 불법무역의 확대와 그 의의 한국사연구170, 한국사연구회, pp.177-218
  16. 국립고궁박물관, 2011, 조선왕실의 御寶 제3권, pp.10-11
  17. 국립공주박물관, 2009, 계룡산 분청사기
  18. 국립광주박물관, 2013, 무등산 분청사기, p.110, pp.30-203
  19. 국립광주박물관, 2002,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 도요지
  20. 국립광주박물관, 1993, 무등산 충효동 가마터, pp.50-141, 154-158, 279-435
  21. 국립광주박물관, 1988a, 전남지방 도요지 지표조사II, p.31, 98, 112, 215, pp.24-25, 32-35
  22. 국립광주박물관, 1988b, 전남지방 도요지 도자보고II
  2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직물, p.354
  24. 국립중앙박물관, 1992, 光州 忠孝洞窯址 - 粉靑沙器.白磁가마 퇴적층 조사 -, p.33, pp.6-7, 159-160
  25.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003, 무안 도리포 해저유적, pp.44-73
  26. 권혁주, 2007, 湖南地域 덤벙粉靑沙器 硏究 호남문화재연구원논문집6, 호남문화재연구원, p.127
  27. 기호문화재연구원, 2010, 화성 와우리유적1, pp.68-71
  28. 김민정, 2003, 朝鮮時代 出土服飾에 나타난 雲.雲寶紋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김영미, 2004, 조선시대 관요 청자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2, 88
  30. 김영원, 2014, 조선시대 도자기 가마의 명칭과 관요의 설치시기 미술자료86, 국립중앙박물관
  31. 김영원, 2003, 조선시대 도자기, 서울대학교출판부
  32. 김영원, 1995, 세조-성종년간의 分院의 設置와 陶磁樣式의 변천 미술사논단2, 한국미술연구소, p.200
  33. 김영원, 1991, 朝鮮靑磁에 관한 再考察 美術資料48, 국립중앙박물관, pp.5-7
  34. 김영진, 2003, 도자기가마터 발굴보고, 백산자료원
  35. 나상철, 2010, 15세기 剝地粉靑沙器 硏究,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05
  36. 노행정, 2013, 광주 충효동 분청사기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0-25
  37.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a, 고령 기산리요지
  38.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b, 고령 사부리요지
  39. 동서문물연구원, 2013, 김제 청도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부지내 유적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2차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40.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2008, 금성관, p.204, 399, pp.241-242, 430-431
  41.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2007, 나주향교 동서재 발굴보고서, p.85
  42.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韓國의 甲冑, p.195, 209
  43. 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3, 영암 상월리 도요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44. 박경자, 2008, 공납용 분청사기의 통일된 양식과 제작배경 미술사논단27, 한국미술연구소
  45. 박경자, 2007, 15세기 공물의 운송방법과 분청사기 명문의 지역별 특징 호서사학47, 호서사학회, pp.219-220
  46. 박경자, 2005, 粉靑沙器 銘文 연구 강좌미술사2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pp.265-270
  47. 박정민, 2014a, 조선 전기 관요의 성립과 그 명칭에 대한 일고찰 미술사와 문화유산3,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pp.94-95
  48. 박정민, 2014b,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71
  49. 박정민, 2013, 조선 전기 한양 출토 중국 청화백자의 소비상황 연구 야외고고학17,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pp.35-40
  50. 상명대학교박물관, 2007,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청사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p.30
  51. 서울역사박물관, 2014, 강북구 우이동 가마터 발굴조사 보고서
  52. 서울역사박물관, 2013, 강북구 수유동 가마터 보고서
  53. 영남문화재연구원, 2009, 칠곡 학하리 분청사기요지I
  54. 오영인, 2017a, 조선 관요 청자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9-13, 35-40, 131-133
  55. 오영인, 2017b, 조선시대 동궁의 청자사용에 대한 법제화와 그 배경 한국문화78,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p.224
  56.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2006, 울주 반곡리 유적
  57. 윤용이, 2001, 조선시대 분원의 성립과 변천 광주분원과 조선도자, 경기도자박물관
  58. 이정수, 2011, 黙齋日記를 통해 본 지방 匠人들의 삶 지역과 역사18, 부경역사연구소, p.209. 주석76)- 주석79)
  59. 이혜경, 2010, 高麗時代 靑瓷 雲鶴文 硏究,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5, p.69
  60. 인천광역시립박물관, 2005, 인천 석남동 회곽묘 출토복식, p.92
  61. 장동철, 2013, 世宗實錄地理志 磁器所 品等基準 硏究-慶尙道를 중심으로 문물연구24,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pp.80-90
  62. 전남문화재연구원, 2011, 광양 황방 분청자가마
  63. 전남문화재연구원, 2005, 전남 곡성 구성리 요지, p.105, 157, 189, pp.159-161, 166-167
  64. 전북문화재연구원, 2008, 완주 화심리 유적, pp.258-263, 411-414
  65. 전북문화재연구원, 2006, 장수 명덕리 요지
  66. 전승창, 2009, 조선 초기 명나라 청화백자의 유입과 수용 고찰 미술사학연구264, 한국미술사학회, pp.42-45
  67. 전승창, 2007, 15-16세기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 관요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8. 전승창, 1998, 15세기 분청사기 및 백자의 수요와 제자성격의 변화 미술사연구12, 미술사연구회, pp.67-69
  69. 제주대학교박물관, 1992, 法華寺址
  70.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동대문운동장 유적 보고서II(유물도판), p.19, 58, 72
  71. 중앙문화재연구원, 2004, 보은 적암리 분청사기요지
  72. 최윤철, 2010, 조선시대 행실도 판화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2
  73.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서울 종친부터 유적, p.78, 190
  74. 한강문화재연구원, 2011, 서울 군기시터 유적(본문), p.572
  75.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4, 울산 고지평유적III
  76.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5, 한국의 무늬, p.89
  77. 한울문화재연구원, 2017, 강진 전라병영성 성내부 유적III, p.378, 403
  78. 한울문화재연구원, 2016, 강진 전라병영성 성내부 유적II, p.166
  79. 한울문화재연구원, 2014, 강진 전라병영성 성내부 유적Ι, p.353, 374, pp.327-328
  80. 한울문화재연구원, 2010, 종로 다이렉트 코리아 종로사옥 신축공사부지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p.58
  81. 호남문화재연구원, 2010, 高敞 茂長邑城III, p.79, 139
  82. 호남문화재연구원, 2008, 고창 용계리요지
  83. 호남문화재연구원, 2004, 고창 용산리요지
  84. 홍희미술관, 1998, 경덕진출토 명선덕관요자기, p.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