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석모델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5초

혼합율 개념을 이용한 서해 중부 조석전선의 수치모델 (A Numerical Modelling of the tidal front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using a concept of Mixing rate)

  • 신상익;승영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1-131
    • /
    • 1993
  • 연구에서는 서해 중부역(태안반도 부근)에 형성되는 조석전선을 3차원 해수유동 모델(Semtner, 1974) 과 Simpson & Hunter (1974)의 혼합효율(mixing efficiency)개념 을 발전시킨 혼합을 개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모델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모델 영 역의 남·북에 위치한 개방경계에는 간단한 radiation condition을 적용하였으며, 동 계 외양조건을 초기조건으로 하여 표층의 지속적인 열에너지 공급 및 공간적으로 상이 한 수직혼합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조석전선을 계산하였다.

  • PDF

아라비아만(灣)의 조석(潮汐)모델 (A Tidal Model of the Arabian Gulf)

  • 최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67-76
    • /
    • 1988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아라비아만(灣)(페르시아만(灣))의 기본적(基本的)인 조석역학(潮汐力學)을 연구(硏究)하기 위한 2차원(次元) 조석수치(潮汐數値) 모델을 수립(樹立)하였다. 모델외해경계(外海境界)는 만동측(灣東側)의 육붕단(陸棚端)에 위치(位置)하며 위도상(緯度上) $1/12^{\circ}$, 경도상(經度上) $1/10^{\circ}$의 격자해상도(格子解像度)를 갖는다. 수립(樹立)된 모델은 $M_2$, $S_2$, $K_1$, $O_1$$N_2$ 분조(分潮)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이용(利用)되었는데 외해개방경계조건(外海開放境界條件)은 Schwiderski의 해양조석(海洋潮汐) 모델로부터 취하였다. 주분조(主分潮)의 독립적(獨立的)인 등진폭(等振幅)과 등위상도(等位相圖)가 제시(提示)되었으며, 기존영국수로부(旣存英國水路部)의 조석도(潮汐圖)와도 비교검토(比較檢討)되었다. $M_2$분조(分潮)와 $M_4$분조(分潮)에 의한 반일주기(半日週期)의 최대해저응력(最大海底應力)벡터가 이 해역(海域)의 토사이동(土砂移動) 방향(方向)을 추정(推定)하기 위해 제시(提示)되었다.

  • PDF

조석잔차류와 해상풍에 의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수 순환과 부유물 이동 모델 연구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irculation and Suspended Materials Movement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by Tidal Residual and Wind-Driven Current)

  • 전혜진;안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29-539
    • /
    • 1997
  • 본 연구는 2차원 순압모델을 사용하여 황해와 동중국해에서 조석잔차류와 춘 하 추 동 4계절의 해상풍에 의한 해수 순환과 이러한 순환에 의한 부유물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황해 해수 순환의 주요 외력은 조석과 바람이라고 생각되어, 조석은 $M_2$ 조석으로부터 조석잔차류를 계산하였고, 계절별 바람으로서 1월(겨울), 4월(봄), 7월(여름), 10월(가을)을 사용하였다. 조석잔차류는 한국 남 서해안과 제주도 부근과 중국 양자강 하구역 부근에서 크게 나타난다. 제주도 부근에서는 10 cm/s 이상의 최대 잔차류가 나타나며 시계방향의 순환을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남해안을 따라 동향류의 경향이 있다. 또한, 중국의 연운항에서 상하이 사이의 영역에서는 한국의 남해로 향하는 순환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바람에 의해 형성된 순환은 북풍의 성격을 띤 1월, 4월, 10월에는 해역에 시계 방향의 순환이, 남풍과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 7월에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이 우세했다. 이로 인하여, 한국연안에서는 7월을 제외하고는 남향류가 나타났다. 부유물은 조석 잔차류와 취송류에 의해 이동한다. 10일 동안의 이동에서는 수 십 cm/s에 달하는 취송류가 조석 잔차류보다 크게 작용했다. 그러나, 수 개월 이상의 이동에 있어서는 수 cm/s의 조석잔차류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원형섬 주변 조사 잔차류에 대한 삼차원 수치실험연구 (Three-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 on the Tide-Induced Residual Currents around a Circular Island)

  • 이호진;최현용;정종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38-349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해저지형이 변화하는 원형의 섬 주변에서 발생하는 조석 잔차류에 대하여 3차원 수치실험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차원 수치모델은 스펙트랄 모델로서 수평적으로는 유한 차분법을 적용하고 연직방향으로는 깊이에 따라 변하는 기저함수의 곱으로 확장하여 해류의 연직분포를 구하는 모델이다. 수치실험 결과 조석 잔차류 발생에 있어 수심변화의 효과와 비선형 효과가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것은 기존의 조석 잔차류 발생에 대한 2차원적 수치실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또 조석 잔차류의 수평구조는 시계방향의 회전성 조류일 때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잔차류의 특성을 보였으며 3차원적 구조를 검토한 결과 잔차류의 수평속도 성분 즉 u, v의 연직구조는 대수함수적인 분포를 나타냈다.

  • PDF

동지나해의 조석 및 해일 수치모델 (Mathematical Modelling of Tides and Surges in the East China Sea)

  • 최병호
    • 물과 미래
    • /
    • 제16권4호
    • /
    • pp.221-236
    • /
    • 1983
  • 황해 및 동지나해와 같은 천해에서 해류 및 해면변화의 주요인은 조석이다. 근년에 수직적분된 운동방정식 및 연속방정식을 기초로 한 황해 및 동지나해의 이차원 수동역학적 수치 모델이 개발되어 조석의 주분호의 진폭, 위상을 만족스러운 정도로서 재현할 수 있었으며 일련의 수치실험에 의해 이 해역의 조석역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다음 단계로서 황해 및 동지나해의 삼차원 수동역학적 수치모델이 수립되어 조류와 정상 균일풍에 의한 해류의 수직분포가 산정되었으며 그 결과가 토의되었다.

  • PDF

동북아시아 조석 모델의 최소수심에 대한 민감도 분석 (A Sensitivity Test on the Minimum Depth of the Tide Model in the Northeast Asian Marginal Seas)

  • 이호진;서옥희;강현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7-466
    • /
    • 2007
  • 북서태평양의 $115{\sim}150^{\circ}E,\;20{\sim}52^{\circ}N$ 사이의 해역을 $1/12^{\circ}$ 격자망으로 구성한 광역 조석 모델을 수립, 연안역 수심 조정이 전체 조석 모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최소 수심을 10 m에서 35 m까지 5 m 간격으로 증가시키며 계산된 모델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M_2,\;S_2,\;K_1$ 진폭의 정확도가 최소 수심이 25m일 경우최소 수심 10 m인 경우와 비교하여 각각 약 42%, 32%, 26% 정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주변 해역의 $M_2$ 조석 진폭은 연안역 수심 조정에 따라 약 20cm이상 차이를 나타냈으며 발해만 내에 존재하는 무조점의 위치도 크게 변화하였다. 해저마찰계수 및 최소수심에 따른 평균상대오차(ARE)를 계산해 본 결과 해저마찰계수 0.0015와 최소수심 25 m의 조합이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 값으로 확인되었다.

병렬 클러스터 시스템 구축 및 유한요소모형을 이용한 황해 조석재현 (Setting Up of Parallel Cluster System and Reproduction of the Yellow Sea Tidal Hydrodynamics Using a FEM Model)

  • 서승원;이화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5
    • /
    • 2007
  • 서해연안역의 폭풍해일고 산정을 위한 초기 연구 단계로, 8 node 병렬 리눅스 클러스터의 효율성과 함께 황해 조석 모의결과의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NPB 벤치마크 결과 7배에 이르는 계산 효율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pADCIRC 모델을 이용한 황해 조석재현 결과는 선행된 연구들과 비교하여 만족스런 신뢰성을 나타냈다. 모델 변수 선정에 따른 영향을 살펴본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서해연안과 같은 천해역의 조석수동역학 해석에는 수심에 따른 바닥마찰계수의 적절한 사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GPS 정밀단독측위기법을 이용한 해양조석하중 분조성분 검출 (Detection of Ocean Tide Loading Constituents Based on Precise Point Positioning by GPS)

  • 원지혜;박관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511-520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밀단독측위 기법을 이용하여 해양조석하 중(Ocean Tide Loading, OTL) 분조성분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조석모델에 의한 예측값과 비교하였다. 고정밀 GPS 자료처리 프로그램인 GIPSY를 사용하여 인천, 서산, 제주 GPS 상시관측소를 대상으로 10분 단위의 수직좌표 시계열을 산출하였으며, 시계열의 조석조화분해를 통해 OTL 지각변위를 일으키는 주요 4대 분조($M_2$, $S_2$, $K_1$, $O_1$)의 진폭과 위상을 검출하였다. 조석모델의 예측값을 기준으로 GPS로 산출한 OTL 분조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진폭은 제주관측소, 위상은 인천관측소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주요 11개 분조 중 최대비율을 차지하는 $M_2$분조의 경우 진폭성분에서 평균 23.8%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GNSS 측위방법에 따른 해양조석하중 성분 검출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Ocean Tide Loading Constituent Detection Using GNSS Positioning)

  • 윤하수;최윤수;권재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99-308
    • /
    • 2016
  • 오늘날 우주측지기술은 측위정밀도를 높이고 시간과 비용적 측면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정밀측위를 위하여 지구의 물리적 현상을 보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그 중 해양조석하중의 보정은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 제주의 조위관측소 GNSS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양조석하중에 의한 수직지각변위를 산출하고 지각변위를 일으키는 각 분조의 조석성분을 검출하였다. GNSS 측위방법과 자료처리 시간에 따른 해양 조석하중 성분 검출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대측위와 정밀절대측위로 GNSS 데이터를 처리하여 주요 8개 조석성분의 진폭을 산출하고 전지구 해양조석하중 모델의 진폭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조석분조 진폭 검출에는 2시간 간격의 자료처리와 정밀절대측위 방법이 해양조석하중 분조 검출에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에는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장주기 조석성분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복합확률에 의한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최극해면분석

  • 최병호;노상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50-54
    • /
    • 1996
  • 극치확률 모델과 더불어 최극해면분석에 이용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조석 및 비조석성분의 복합확률방법(joint probability method)으로 Pugh와 Vassie(1978)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 방법은 조석(tide)과 비조석성분(surge)이 통계적으로 독립적인 변수(statistically independent variable)로 취득될 수 있는 가를 일차적으로 분석한 후 해면의 확률분포를 조위분석함수(tidal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와 비조석성분분포함수(surg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의 복합으로서 산정하는 것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