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사 폭

검색결과 2,128건 처리시간 0.027초

나환자의 눈합병증과 외부측정 (Ocular Complication and Dimension in Leprosy Patients)

  • 김창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7-143
    • /
    • 1998
  • 나환자 111명을 대상으로 외안각 간격(IOCD), 내안각 간격(IICD), 눈꺼풀틈새 폭 (WPF) 그리고 백내장, 각각, 눈꺼풀 이상을 조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외안각 간격의 평균치는 낭자 89.8 mm, 여자 88.4 mm이었고, 내안각 간격은 남자 36.9 mm, 여자 35.8 mm이었으며, 눈꺼풀틈새 폭은 남자 52.9 mm, 여자 52.6 mm이었다. 연령에 따른 연화는 외안각 간격과 눈꺼풀틈새 폭이 좁아졌지만, 내안각 간격은 차이가 없었다. 나병의 눈합병증은 각막이상 37.8%, 눈꺼풀 이상 19.4% 그리고 백내장 29.7%으로 각막 병변이 주증상 이었다. 이들 중상은 남, 여 차이는 없지만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발병빈도가 높아져 실명과 저시력 환자가 증가하였다.

  • PDF

퍼지 펄스폭 변조 궤환 제어: 전역적 지능형 디지털 재설계 접근법 (Fuzzy Pulse-Width-Modulated Feedback Control: Global Intelligent Digital Redesign Approach)

  • 이호재;주영훈;박진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92-97
    • /
    • 2005
  • 본 논문은 비선형 제어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모사하는 TS(Takaki-Sugeno: TS) 퍼지 시스템의 펄스폭 변조 (Pulse-Width Modulated: PWM) 제환 제어기 설계 기법을 논의한다. 효율적이며 신뢰할만한 퍼지 PWM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전역적 지능형 디지털 재설계 기법(global intelligent digital redesign)을 이용한다. 우선 잘 설계된 아날로그 퍼지 제어기를 설계한 후 전역적 지능형 디지털 재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디지털 퍼지 제어기를 설계한다. 유사한 전역적 상태정합 개념을 이용하여 재설계된 디지털 퍼지 제어기론 퍼지 PWM 제어기로 변환한다. 또한 재설계된 퍼지 PWM 제어기의 안정화 가능성을 조사한다.

비점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최적 인자 도출을 위한 연구 (Deduction of Best Design Factor of Riparian Buffer Zone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s)

  • 김성원;최이송;정상준;우효섭;오종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88-1792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수변완충지대 조성 시 설정 폭을 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거리별, 깊이별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에 대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의 설계 시 필요한 유역의 폭, 면적, 길이 등과 같은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입사파폭에 따른 원추형 섬에서의 처오름높이 계산 (Calculation of Run-up Height on a Conical island with Variable Transverse Lengths of Incident Waves)

  • 조용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449-457
    • /
    • 1998
  • 천수방정식을 해석하는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Babi 섬과 Okushiri섬의 배후지역에서 관측되었던 지진해일의 매우 높은 처오름높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입사파의 폭을 조절하여 섬의 바닥지름과 입사폭의 비율 변화에 따른 원추형 섬에서의 최대 처오름높이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여러 경우의 입사파폭에 대하여 수치계산을 수행하여 수리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원추형 섬의 배후지역에서의 처오름높이는 섬의 해저지름에 대한 입사파 폭의 비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 PDF

한라산국립공원의 등산로와 주변의 환경훼손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and around Trail in Hallasan National Park)

  • 오구균;허순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71
    • /
    • 1992
  • 한라산국립공원에서 이용객에 의한 등산로와 등산로주변의 환경훼손실태조사를 1990년에 실시하였다. 등산로폭과 주변의 나지노출폭은 이용강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주변식생의 수고와 경사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노면의 깊이는 노폭 및 나지노출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용객에 의한 등산로주변의 면적훼손은 아고산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주 훼손지역의 총 면적은 121,000$m^2$로, 그중 생태계보전사업이 시급한 면적은(훼손등급 4급이상) 약 72,000$m^2$로 추정되었다. 등산로와 주변의 훼손유형은 10가지로 밝혀졌으며, 총 침식량은 약 62,000$m^2$로 추정되었다.

  • PDF

$Cr^{4+}$:YAG 포화 흡수체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 뒷면 여기 Nd:YAG 레이저의 들뜸 효율 및 Q-switching 특성 연구 (Measurement of excitation efficiency and passively Q-switched characteristics of laser diode end-pumped Nd:YAG laser by using $Cr^{4+}$:YAG as a saturable absorber)

  • 정태문;김광석;문희종;이종훈;김철중;이종민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31-235
    • /
    • 1998
  • 레이저 다이오드 뒷면 여기 방식을 이용한 Nd: YAG 레이저를 제작하고, 뒷면 여기 방식을 이용하였을 때, 들뜸 효율을 측정하였다. 포화 흡수체로 $Cr^{4+}$:YAG를 레이저 공진기 내부에 설치하여 수동형 Q-switching을 수행하였고, 그 때, 평균 출력, 펄스폭 및 반복율 특성등을 조사하였다. 수동형 Q-switching된 레이저의 펄스폭 및 반복율은 평균 출력 및 $Cr^{4+}$:YAG 결정의 낮은 강도 투과율(low intensity trasmission)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평균 출력은 최고 1 W, 펄스폭은 최저 51 nsec 까지 얻을 수 있었고 최고 약 40kHz의 고반복율로 동작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일본잎갈나무 수간내 재질 변동에 관한 연구(II) - 가도관 길이와 폭, 마이크로피브릴 경각, 강도의 남북방향의 변동 - (Studies on Variability of Wood Properties within Stem of Larix kaemferi (II) - Difference in Tracheid Length and Width, Microfibril Angle, and Strength in South and North Sides of Stem -)

  • 이소미;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21-28
    • /
    • 2005
  • 중부 지방의 조림지에서 생육된 30년생의 일본잎갈나무(낙엽송)에 대하여 지상고별로 원반을 채취해 수를 중심으로 남측과 북측 부위의 조재 및 만재에 대해 가도관 길이와 폭, 마이크로피브릴 경각 및 압축, 휨, 충격 강도를 조사했다. 가도관의 길이와 폭에 있어 남측과 북측간에는 측정된 대부분 부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측과 북측간의 마이크로피브릴 경각과 강도 역시 측정된 대부분 부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측과 북측 부위간의 접선방향 수축율과 강도에 차이가 드러나지 않은 것은 남측과 북측간의 마이크로피브릴 경각사이에 차이가 없는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영화관 이용자의식에 기초한 피난시설 규제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ion Plan of Evacu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Cinema User)

  • 정평란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05-113
    • /
    • 2011
  • 본 논문은 대공간이며 다중이용시설인 영화관의 피난시설에 대한 제도적 개선을 위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적으로 영화관 관련 피난시설에 대한 문헌조사로 관련 법제도에 대해서 분석했으며, 2차적으로 영화관의 이용자인 관객을 대상으로 피난시설에 대한 의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했다. 분석결과 개선항목으로 관람석 출구의 폭과 개수, 복도의 폭에 대한 개선 요구의식이 높게 나타나 이용자 중심의 제도개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낮은 이항 비율에 대한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s for a tow Binomial Proportion)

  • 류제복;이승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2호
    • /
    • pp.217-23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낮은 이항비율에 관한 구간추정을 위해서 어떤 신뢰구간이 바람직한지를 살펴보았다. 실제 적으로 희귀질병, 특정 산업재해율, 그리 고 기생충에 관한 실태조사를 위해서 대규모 표본조사가 실시된다. 표본 규모가 크고, 0 < p ${\leq}$ 0.1인 상황에서 모비율 p의 추정에 바람직한 신뢰구간을 살펴보았다. 위의 조건에서 6가지의 신뢰구간들에 대해 평균포함확률과 평균제곱오차의 제곱근, 그리고 평균기대폭을 사용한 결과 Mid-p 신뢰 구간이 가장 바람직하고 다음으로 AC, score와 Jeffrey 신뢰 구간들이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머리운동 제어 시스템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MODELING AND SIMULATION OF BEAD MOVEMENT CONTROL SYSTEMS)

  • 남문현;조용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7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1333-1337
    • /
    • 1987
  • 본 연구는 머리운동 제어 시스템에 대한 생체 물리학적인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모델의 동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생체운동(머리-안구)의 상호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매개변수의 변화가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감도해석법을 써서 감도계수를 구한 결과, 입력 제어신호의 펄스높이(PH), 동근의 펄스폭(PW1), 길항근의 펄스폭(PW2)이, 시스템의 출력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임을 알 수 있었다. 2) 비 선형 제어모델의 선형화를 통하여 선형모델의 응답특성과 크나큰 차이가 없음을 알았다. 3) Main-Sequence도를 작성하여 실험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거의 일치함으로서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4) 머리운동이 시간최적으로 응답하기 위해서는 bang-bang 제어법칙이 적용되어야 함을 알았다. 5) 머리운동이 목표점에 도달하는 순간에는 길항근의 역제통 펄스가 가해 짐으로서, 길항근이 궤적의 마지막 부분을 지배함을 알았다. 6) 머리-안구운동의 main-sequence도를 비교 함으로서 상호관계를 규명하였다. 앞으로는 이 모델링 법을 개선확장하면, 비행시 파일럿의 생체 시뮬레이션, 헬멧 조준 사격 시스템등의 항공공학, 생체의용공학 연구 및 제어입력을 생체신호로 하는 로봇틱스 연구에 본 연구 방법은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