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사 곡선

Search Result 1,53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Analysis of Outflow Hydrograph Resulting from an Earth Dam-Break (Earth Dam의 파괴로 인한 유출수문곡선의 해석)

  • Han, Kun Yeun;Lee, Jong Tae;Lee, Won H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5 no.2
    • /
    • pp.41-50
    • /
    • 1985
  • The mathematical analysis of the outflow hydrograph resulting from earth dam-break was studied. DBFW(Dam Break Flood Wave) model based on the breach mechanism and reservoir storage equation was developed and was applied to the Teton and Buffalo-Creek dam. The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shape of outflow hydrograph, peak discharge and failure duration time had a good agreement with the data analyzed by NWS. The breach mechanisms which exert influence on the outflow hydrograph were consisted of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 breach mode, breach width and failure duration time. The earth dam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y the reservoir geomorphology, and water surface elevation-failure duration time-peak discharge relationships were also presented. The methodological procedure made in this paper will provide a basic contribution to dam-break study in river system.

  • PDF

Computerized Analysis of Thermoluminescence from ${\gamma}$-Ray Irradiated $\alpha$-$Al_2$$O_3$ (감마선 조사된 $\alpha$-$Al_2$$O_3$의 열자극에 관한 수치해석적인 분석)

  • 김태규;이병용;김성규;박영우;추성실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4 no.2
    • /
    • pp.49-58
    • /
    • 1993
  • The complex glow curves were split into isolated glow curves to be calculated the values of kinetic order, activation energy, escape frequency and density of initial trap from the independent glow curves using the mathematical method of thermally stimulated processes. The minimization of the intensity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nd theoretical glow curve was done by the nonlinear least-square program. The results of the fitted curves were almost equal to the actual values of the parameters. Thermoluminescence from gamma ray irradiated ${\alpha}$-Al$_2$ $O_3$ over the range of 300K to 600K was split into six glow curves. The kinetic order, activation energy and escape frequency of first glow curve were obtained as 1, 1.12eV and 6.79X10$\^$12/sec$\^$-1/,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other method. Also the parameters of the second and the third glow curve and so forth were calculated.

  • PDF

Development of Advanced Data Analysis Method Using Harmonic Wavelet Transform for Surface Wave Method (하모닉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한 표면파 시험을 위한 향상된 데이터 해석기법의 개발)

  • Park, Hyung-Choon;Cho, Sung-Eu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4
    • /
    • pp.115-123
    • /
    • 2008
  • The dispersive phase velocity of a wave propagating through multilayered systems such as a soil site is an important parameter and carries valuable information in non-destructive site characterization tests. The dispersive phase velocity of a wave can be determined using the phase spectrum, which is easily evaluated through the cross power spectrum. However, the phase spectrum determined using the cross power spectrum is easily distorted by background noise which always exists in the field. This causes distortion of measured signal and difficulties in the determination of the dispersive phase velocities.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evaluate the phase spectrum using the harmonic wavelet transform is proposed and the phase spectrum by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dispersion curve. The proposed method can successfully remove background noise effect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numerical simulations of multi-layered systems were performed. Phase spectrums and dispersion curves determined by the proposed method we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phase spectrums and dispersion curves biased by heavy background noise. The comparison manifests the proposed method to be a very useful tool to overcome noise effects.

Calculation of mean velocity and Discharge Method using Water Surface Velocity Measurements (표면유속측정을 통한 평균유속과 유량산정 방법)

  • Lim, Hyeok Jin;Seol, Myoung Soo;Jung, Moon Soo;Kim, Sam Eun;Kim, Ch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03-503
    • /
    • 2017
  • 대부분의 자연하천에서 유량조사는 하천 횡단면의 유속을 측정하여 수위-유량관계로부터 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유속의 측정은 통상적으로 횡단면을 일정 구간으로 구분하여 회전식, 전자식 유속계, 부자 등과 같은 접촉식 장비를 이용하여 일차원 유속으로부터 구간을 대표하는 평균유속을 기반으로 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접촉식 장비를 통한 유속 측정은 인력, 장비, 비용 및 돌발 호우사상의 측정자의 안전 등 현장 조건의 한계로 관측자료를 확보하지 못 하는 미측정 영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수위와 유량측정성과로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은 미측정 구간인 외삽구간에서 정확도가 낮은 유량자료가 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하천 횡단면의 일부 고정된 지점에서 측정된 표면유속을 이용하여 유량규모에 따른 평균유속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수위-유량관계곡선으로 산정된 유량과 비교함으로써 비접촉식 유속 측정방식을 통한 유량산정의 활용성과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표면유속을 활용한 유량산정의 실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고수위 외삽구간의 유량을 비교 및 검증하였으며 수위 1.23m 이상에서 표면유속(0.62m/s ~ 2.69m/s)과 평균유속의 관계는 구간별로 일정한 선형관계가 나타났으며 각 구간에 대한 상관계수는 $R^2=0.97$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비접촉식 표면유속측정으로 홍수기 중고수위 이상에서 접촉식 유속계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여 연속적인 유량생산이 가능하고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외삽구간을 검토할 수 있는 참고자료를 획득하여 고수위 유량자료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ainfall-Runoff Forecasting System (RRFS의 개발 및 적용)

  • Hwang, Man-Ha;Ko, Ick-Hwan;Lee, Sang-Jin;Jeong, Woo-Chang;Maeng, S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97-800
    • /
    • 2005
  • RRFS를 개발하기 위해 NWSRFS 모형, SSARR 모형 및 TANK 모형 등에 대한 유출모형 현황 조사 및 특성 분석을 실시하여 실용성, 합리성, 적절성 중심의 기반모형으로 "수문학적 수문유출성분과 저수지 운영기법이 결합된" SSARR 모형을 선정하였다. 수계내 기상청, 건설교통부, 수자원공사에서 관할하는 강우관측소를 대상으로 관측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일강우자료 수집하였다. 12개 소유역에 대한 주요지점별 수위자료와 수위-유량 곡선식을 수집, 검토하여 수계 상하류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유출량 비교를 통해 적정 수위-유량곡선식을 선정하였다. 수계내 양수장, 보, 댐, 저수지 등 주요 수리시설물 현황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유역유출분석을 위한 유출모식도는 수자원공사내 DB 구조 및 유역유출 모의 시스템의 입출력 관계 등을 분석하여 구성하였다. 유출모형의 실시간 유역관리의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과거 생공용수 및 농업용수의 수요량을 조사하였으며, 이들을 고려한 농업용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유역유출 모의를 위해 SSARR모형의 매개변수 초기치 설정과 모형 보정을 위한 GUI를 개발하였다.

  • PDF

River discharge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Nakdong-river basin in 2008 (2008년 낙동강 유량측정 및 유출특성 분석)

  • 유량조사사업단 유량조사실 낙동강그룹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89-1893
    • /
    • 2009
  •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하여 홍수 피해를 저감하고 환경친화적인 수자원의 역할을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무엇보다 필요한 사항은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를 기초자료로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유량 측정은 측정기준의 불명확, 예산과 측정장비의 부족, 전문 인력의 부재로 인해 유량자료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정도 높은 유량 자료를 생성하고자 최근 유량조사사업단의 설립과 함께 유량측정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인력이 국내 주요지점에 대한 유량측정과 분석을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등 유량자료의 품질의 개선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강화된 유량측정 기준과 개선된 방법론에 따른 현장측정을 통해 정밀한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여 측정된 유량측정성과의 일상 검증을 통해 보다 정밀한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량측정 전 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평가하여 낙동강권역의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곡선식을 이용하여 유량자료를 생성하고 유출률 분석 등을 통해 2008년 낙동강권역의 유출특성을 검토하였다. 2008년 낙동강권역의 유출특성은 낙동강 상류 및 동해 및 남해지역에 집중된 강수분포와 높은 가뭄지수로 인해 2008년 발생한 호우사상은 침투 및 증발에 의한 손실에 따라 유출량이 적게 평가되어 평균유출률은 약 30% 내외로 작게 산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rating curve by long-term monitoring of vegetation cycle (식생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수위-유량관계곡선 변화 연구)

  • Kim, Seung Hyun;Kim, Young Jin;Lee, Chu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9-419
    • /
    • 2019
  • 우리나라에서는 인공하천 중심의 개발에서 자연형 하천 복원으로 변화가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강우 발생에 따른 하도와 식생의 빈번한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하천 내의 하도와 식생은 물과 유사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하상 형태로 하도와 식생의 변동은 건강한 하천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이다. 특히 하도와 식생은 하천의 흐름에 영향을 주고 다시 하천의 흐름은 하도와 식생에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하천 흐름 특성에 핵심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장기간의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수위-유량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에 위치한 완주군(용봉교)관측소를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식생 및 하도 모니터링을 통한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7년에는 식생의 활착, 성장, 소멸에 따라 9개의 기간분리가 발생하였으며, 2018년에는 8개의 기간분리가 발생하였다. 2017년은 저수위1로 시작하여 성장 및 소멸을 반복하다 저수위3으로 회귀하였으며, 2018년은 2017년 저수위 3으로 시작하여 성장과 소멸을 반복하다 저수위9로 회귀하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의 식생과 하도 변화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과 흐름 특성이 변화하는 기간의 유량측정성과 확보를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flow rate relational curve according to the vegetation influence in the stream (하도 내 식생영향에 따른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변화)

  • Park, Jun Su;Ok, Young Jun;Lee, J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5-395
    • /
    • 2021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여름철에 집중된 강우 특성으로 인하여 하천의 하도와 하도내 식생영향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도 내 식생과 하천의 흐름은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하도내 식생은 하천 흐름 특성에 핵심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하도의 변동성은 단면 측량 등으로 확인 할 수 있으나, 하도내 식생은 주변 환경에 따라 매년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에 위치한 전주시(서천교)관측소를 대상으로 2017년~2018년, 2020년의 하도 내 수중식생과 하안 영역의 식생 성장과 소멸 및 식생사주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7년은 하도 내 식생의 성장과 소멸에 따라 저수위 구간에서 다수의 기간분리가 발생하였으며, 중수위 구간은 기간분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8년과 2020년은 하도 내 수중식생의 성장과 소멸로 인항 저수위 기간분리 이외의 하안영역의 식생 성장과 소멸에 따른 통수능 변동으로 인하여 중수위 기간분리가 추가로 발생하였고, 식생사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중수위 구간분리를 추가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도 내의 식생영향에 따른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였으며 확보한 유량측정성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valuation of Horizontal Curve Transition Section Using Lateral Acceleration Model (횡방향 가속도 모영을 이용한 곡선부 도로의 변이구간 평가에 관한 연구)

  • Park, Je-Jin;Kim, Yong-Gil;Ko, Yeong-Sun;Ha, Tae-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2
    • /
    • pp.135-143
    • /
    • 2008
  • According to the present highway design criteria, there are minimum standards which re ade from special design speeds. If some highways are satisfied the standards, it regards he highway as safety. In reality, however, most drivers drive a car at different speed compared with design speed. It is very dangerous for drivers especially at transition sections between curve and horizontal curve sections. Hence, this study calculated the rate of changing and horizontal acceleration at each section. Moreover, this study evaluated thesafety of design at curve transition sections and then calculated lateral acceleration and curve radii. This study found the minimum standards which are using as basic safety standards are not appropriate for measuring driver's safety.

  • PDF

Assessment of River Discharge Survey Project in 2009 (2009년 유량조사사업 평가)

  • Kwon, Dong-Seok;Lee, Shin-Jae;Oh, Chang-Ryeol;Hwang, Seok-Hwan;Jung, Sung-Won;Lee, Ja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84-1190
    • /
    • 2010
  • 유량조사는 하천의 임의 한 단면에 흐르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하천유역의 물순환 구조 파악, 하천시설의 설치, 각종 수공 구조물의 설계, 하천 주변지역의 이용 및 관리 등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량조사사업단은 전국 수위관측소 지점을 대상으로 유량측정을 실시하고 측정된 성과에 대한 체계적인 품질관리와 연구개발을 통한 유량자료의 안정화를 위하여 매년 100여개 지점에서 유량조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도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평가기준으로 각 성과별 구간유량비와 불확실도를 선정하였으며, 이와 같은 항목은 측정 중 배치된 측선수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2009년 유량측정성과의 측선수 평균은 2003년도 대비 유속계 및 부자의 경우 각각 3.7배, 2.2배 증가한 35.1개, 13.8개로 나타났다. 측선수 증가를 통해 최대구간유량비는 유속계 및 부자 각각 30.0%, 51.2% 감소한 7.1%, 14.6%로 나타났으며, 불확실도의 경우 45.1%, 62.4% 감소하여 4.6%, 8.8%의 개선된 값을 보였다. 이러한 양질의 측정성과를 이용해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과 환산유량에 대한 유출률을 검토한 결과, 조석 및 배수 영향을 받는 지점과 계기수위 자료에 문제가 발생한 지점을 제외한 지점에 대한 유출률 분포는 2003년 최대 300%까지 나타났던 유출률이 일반적인 하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유출률 50~90% 비율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강수량은 평년 수준을 보였으나, 지역적 시기적 편차 등으로 인해 낙동강 권역의 경우 50% 미만의 유출률을 보인 지점이 다수 나타났다. 이러한 성과는 전문 인력에 의한 유량측정 및 유량성과에 대한 품질관리시스템의 운영을 통해 비교적 양질의 유량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과 환산된 유량자료는 과거에 비하여 신뢰성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일련의 체계적인 운영 및 검증을 통해 2009년 유량조사사업은 성공적인 수준으로 판단되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유량자료의 품질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