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사료

Search Result 3,32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Surveys to Determine the Real Prices of Ingredients used in School Foodservice (학교급식 식재료별 시장가격 조사 실태 분석)

  • Lee, Seo-Hyun;Lee, Min A;Ryoo, Jae-Yoon;Kim, Sanghyo;Kim, Soo-Youn;Lee, Hojin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v.26 no.3
    • /
    • pp.188-199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was to identify the ingredients that are usually surveyed for assessing real prices and to present the demand for such surveys b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for ingredients used by school foodservi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December 2019 to January 2020.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158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439 (37.9% return rate) of the 1,158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ingredients which were investigated for price realities directly by schools were industrial products in 228 schools (51.8%), fruits in 169 schools (38.4%), and specialty crops in 166 schools (37.7%). Moreove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earched in different ways for the real prices of ingredi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price information about grains, vegetables or root and tuber crops, special crops, fruits, eggs, fishes, and organic and locally grown ingredients by the School Foodservice Support Centers. Real price information about meats, industrial products, and pickled processed products were sought from the external specialized institutions. In addition,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anted to obtain prices of all of the ingredients from the Offices of Education or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Conclusions: Schools want to efficiently use the time or money spent on research for the real prices of ingredients through reputable organizations or to co-work with other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urvey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al price information for ingredients used by the school foodservice.

우리나라 조사료 포장에 발생하는 주요 외래잡초의 생태적 특성 및 방제에 관한 연구

  • 박근제;이종경;윤세형;김영진;오세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06a
    • /
    • pp.81.1-81
    • /
    • 1999
  • 초지 및 조사료포장에 자생하여 사료작물의 생육을 저해하고 수량과 품질을 저하시키는 외래잡초의 분포를 조사하여 적정 방제법을 구명하고 유입경로를 차단하여 조사료포장의 생태적 환경을 개선코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외래잡초로서 가축에 해를 미치거나 뜯지 않아 초지를 부실화시키는 잡초는 도깨비가지, 도꼬마리, 독말풀, 붉은서나물, 개꽃아재비, 방가지똥, 미국자리공 등이었다.(중략)

  • PDF

조사료의 확보방안 및 농산부산물의 활용

  • 성경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8.04a
    • /
    • pp.25-59
    • /
    • 1998
  • 충청남도 내 초지 가운데 68%가 황무지화(중앙일보, 91년 6월 8일), 강원도 횡성군 내 초지의 64%가 부실초지(강원일보, 91년 12월 14일), 강원도 평창군 내 초지 대리관리 증가(도민일보, 93년 7월 27일), 강원도 홍천군 내 부실초지의 대부분은 외지인 소유(도민일보, 93년 7월 28일)라는 기사를 각 신문이 게재하고 있다. 아마 정부기관의 조사료관련 부서가 없어지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인 것 같다. 농후사료는 물론 조사료까지도 전화 한 통으로 해결하던 양축가가 많았던 것도 불과 몇 개월 전의 일이다. (중략)

  • PDF

하절기 사료이용률 증진 방안

  • 고영두
    • Feed Journal
    • /
    • v.3 no.6 s.22
    • /
    • pp.75-82
    • /
    • 2005
  • 여름철 고온기에는 동물의 체온 상승으로 식욕의 감퇴와 섭취량의 감소현상이 뚜렷이 나타나므로 축사나 동물의 하절기 고온관리에 신경을 쓰야 한다. 사료급여 전에 시원한 물을 주고 그늘진 곳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고온관리 대책의 하나가 된다. 사료급여는 기온이 높은 한나절을 피하고 아침이나 저녁의 시원할 때 섭취량을 증가시켜주는 것이 좋다. 특히, 조사료는 제 1위내에서 발효율 생산이 높아짐으로 조사료 감량과 양질 조사료와 농후사료 위주의 사료급여가 효과적이다.

  • PDF

Effects of Planting and Harvest Times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pring and Summer Oats in Mountainous Areas of Southern Korea (남부산간지에서 봄과 여름 조사료 귀리의 파종과 수확 시기에 따른 조사료 품질과 생산성 변화)

  • Shin, Seonghyu;Lee, Hyunjung;Ku, Jahwan;Park, Myungryeong;Rha, Kyungyoon;Kim, Byeongju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6 no.2
    • /
    • pp.155-170
    • /
    • 2021
  • Oats (Avena sativa L.) represent a good forage crop for cultivation in regions with short growing periods and/or cool weather, such as the mountainous areas of southern Korea. In this study, using the Korean elite summer oat varieties 'High speed' and 'Dark horse', we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to plant and harvest forage oats seeded in spring and summer in a mountainous area. Seeds were planted three times from late February and early August at 9- or 10-days intervals, respectively, and plants were harvested three times from late May to October at 10-day interval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n upland field (Jangsu-gun Jeonbuk) in 2015 and 2016.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forage yield (FY) and quality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s] based on the time of planting and harvest. Neither the forage quality nor yield of either spring and summer oat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ime of planting. The CP of spring oats harvested three times at 10-day intervals from late May was 12.0%, 8.2%, and 6.5%, thereby indicating a reduction with a delay in the time of harvest. In summer oats, CP ranged from 8.4% to 8.7%, although unlike CP in spring oats,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ime of harvest. For both forage types, harvest tim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DN. The FY of spring oats harvested in late May and early and mid-June was 10.2, 18.7, and 19.5 ton ha-1, respectively, with that of oats harvested on the latter two dates being significantly increased by 83% and 91%,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 late May. Similarly, the FY of spring oats harvested in late October and early and mid-November was 7.1, 12.5, and 12.1 ton ha-1, respectively, with that of oats harvested on the latter two dates being significantly increased by 75% and 71%,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 late October. Taking into consideration forage yield and quality (not less than 8% CP), it would be profitable to plant spring oats in the mountainous areas of southern Korea until March 15 and harvest around June 10, whereas summer oats could be beneficially planted until August 25 and harvested from early November.

수입쇠고기와 유제품 수입의 완전개방에 대비하는 낙농가의 자세

  • 조장환
    • 월간낙농육우
    • /
    • v.19 no.3 s.203
    • /
    • pp.98-99
    • /
    • 1999
  • 1995년도에는 봉황 조사료기계화영농단의 발족과 더블어 베일러, 옥수수 수확기 등 기본장비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거기에 옥수수 파종기, 레이키등 많은 종류의 조사료 생산기계를 갖추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는 조사료 생산장비 20여종과 약 30,000평의 사료포를 이용하고 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Nutritive Value of Imported Roughages (수입 조사료의 사료가치 비교 연구)

  • 이형석;이인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0 no.4
    • /
    • pp.303-308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chemical composition, dry matter(DM) digestibility, DM intake, relative feed value(RFV) and hay grade of imported roughage which was collected by wholesale dealer at Chungnam province in 1999.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s 8 kinds of imported hays(com stover bale, tall fescue straw, green cell, bermudagrass straw, reed carnarygrass straw, alfalfa bale, sugarcane bale and oat hay) and mixture hay(control) which was harves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experimental field. Compared with mixture hay(control) except for alfalfa bale, crude protein of most imported roughage was low, but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compound were high. Futhermore, DM digestibility, DM intake, RFV and hay grade of imported roughage except for alfalfa bal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ixture hay(control)(P<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in the aspect of quality for the imported roughages.

  • PDF

Analysis of traction and power requirement for forage harvester (조사료 수확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

  • Hong, Seongha;Kang, Daein;Cho, Yongjin;Lee, Kyou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0-80
    • /
    • 2017
  • 국내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사료(사일리지) 수확 작업은 베일 생산 및 비닐 래핑 작업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사료 수확기는 수집, 롤링, 베일 네트 생성, 래핑, 래핑 종료 및 베일 방출작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통합형 다목적 조사료수확기의 설계는 3D 디자인 툴 (CATIA V5R18)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기구부 23 파트 어셈블리, 전기제어 어셈블리, 유압요소기술을 통합하여 통합시작기를 제작하였다. 기초 프레임, 오거장치파트, 픽업장치파트, 하부롤러파트, 상부롤러파트, 하부 프레임 및 주행부 파트, 래핑회전파트, 롤러부 구동 동력부, 유압파트, 전기제어파트, 드로우바파트, 체결 및 컨트롤러 파트 등 2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작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Brixius (1987) 제안 모델을 체택하여 분석하였다. 이 Brixius 제안 모델은 견인력 예측에서 토양변수 및 토양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원추지수 (Cone Index, CI)를 이용하여 트랙터의 견인력 예측에 사용하였다. 또한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소요 견인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이 운용되는 토양조건과 트랙터의 마력에 따른 소요 견인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3수준의 토양조건 (CI: 356 kPa, 543 kPa, 1,429 kPa)을 적용하였으며, 베일의 개당 최대무게는 최고 수준인 옥수수 기준으로 800 kgf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3수준의 CI 조건은 연구팀에서 선행연구과정 (토양특성에 따른 최적 경운작업 시스템 개발, 2006)에서 분석한 전국 10개 지역의 33개 지점의 경반층 CI지수의 측정범위인 1,050-3,170 kPa에 대해 견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열악한 조건 수준을 적용하였다. 각 작업에 사용된 소요동력은 베일 작업시 (ASABE D497.7, 2011) 그리고 래핑작업시 (Zhortuylov et al., 2013)를 사용하였으며 두 소요마력을 트랙터-조사료 수확기 시스템의 필요 소요마력의 합계로 계산하였다.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최소 소요 동력, 차축 소요 동력과 PTO 소요 동력을 Zoz and Grisso (200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ASAE의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적용하였는데, 적용된 조사료수확기의 현장 작업효율은 60-86%의 범위이고 일반적으로 70%를 적용하고 이때 작업속도는 2.5-8.0 km/h이며 전형적으로 5.0 km/h를 기준하고 있다. 자주식 (SP; sief-propelled machine) 조사료수확기의 경우 작업속도가 2.5-10.0 km/h의 범위에서 작업효율은 60-85% 범위이다. 적용되는 조사료 수확기의 작업효율인 60-85%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작업효율인 70%를 적용하면 트랙터의 소요동력은 95hp를 적정 작업환경으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