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립오차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Variation Stack-up Analysis using a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허용차 해석에 관한 연구)

  • Byoungki L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17 no.32
    • /
    • pp.187-197
    • /
    • 1994
  • 오늘날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여러 개의 복잡한 부품들로 이루어진 제품이 많아지게 되었다. 각각의 부품들의 공차가 제대로 결정되지 못함으로 해서 완성된 조립품의 품질이 예상외로 나빠지는 경우가 종종있다. 본 연구는 각각의 부품들의 치수 공차와 생산 공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차들을 모두 포함시켜서 완성된 조립품의 품질을 예상할 수 있는 정확한 공차 해석 방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그 방법으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소개하고 그것에 대해서 연구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완성된 조립품의 품질 및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 PDF

The Influence of Assembling Errors on the Performance of the Rotor Supported by Active Magnetic Bearings (조립오차가 능동 자기베어링으로 지지된 축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Kim, Dae-Gon;Kim, Kyung-Wo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0 no.12
    • /
    • pp.3909-3916
    • /
    • 1996
  • Magnetic bearing is the machine element that supports the shaf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magnetic force induced by permanent magnet of electromagnet. Active magnetic bearing system is composed of sensor, controller, power amplifier, and electromagnet. If all the elements were dieal, shaft position could be controlled to sensor resolution, Because each elements inreal system have mechanical and electricla losses and nonlinearity, it is impossible to attain the desired performance using general control algorithm. So far it has been studied on improvement of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electric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s. Another factors to affect shaft behavior are the manufacturing errors due to machine work, and assembling errors due to accumulate manufacturing errors of the radial magnetic bearing. This paper describes that the shaft behavior due to accumulate manufacturing errors and asymmetric bolting. This paper describes that the shaft behavior due to assembling errors of the radial bearings donot affect the rotaitonal accuracy of the shaft. But when the amplitude of the assembling errors increasees over the certain value, the bearing can not support the shaft properly.

Sensor-based Remote Monitoring for Ship Block Assembly (선박 블록 조립을 위한 센서 기반 원격 모니터링)

  • Lee, Sang-D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
    • /
    • pp.73-80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 sensor-based remote monitoring technique for ship block assembly and implementation of a prototype system. Instead of manual processing or optical measuring devices, the proposed approach attaches some distance-measuring sensor nodes to ship blocks. Remote monitoring of the assembly status makes it possible to minimize marginal errors during ship block assembly process, and helps efficient ship building.

Improvement of Assembling Efficiency for Moving Magnet Type Actuator in High Density Optical Disc (고밀도 광 디스크용 가동자석형 구동기의 조립성능 개선)

  • 김도환;정호섭;윤용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356-361
    • /
    • 2004
  • A moving-magnet type pickup actuator has an assembly error . That is, the actuating part of an actuator is shifted from initial position after we assemble it into yoke. This is the result of an effect of magnetic force between magnet and yoke. We performed magnetic-analysis using FEA. As a result of simulation, we improved the assembl ing efficiency for moving-magnet type actuator.

  • PDF

An Algorithm for Optimized Accuracy Calculation of Hull Block Assembly (선박 블록 조립 후 최적 정도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 연구)

  • Noh, Jac-Kyo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5
    • /
    • pp.552-560
    • /
    • 2013
  • In this paper, an optimization algorithm for the block assembly accuracy control assessment is proposed with consideration for the current block assembly process and accuracy control procedure used in the shipbuilding site.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root mean square error of the distances between design and measured data of the other control points with respect to a specific point of the whole control points. The control poin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points on the control line and the other points. The grouped data are used as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ombination of 6 degrees of freedom in the registration process when constituting constraints and calculating objective function. The optimization algorithm is developed by using combination of the sampling method and the point to point relation based modified ICP algorithm which has an allowable error check procedure that makes sure that error between design and measured point is under allowable error.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e design and measured data of two blocks data which are verified and validated by an expert in the shipbuilding site, it implies that the choice of whole control points as target points for the accuracy calculation shows better results than that of the control points on the control line as target points for the accuracy of the calculation and the best optimized result can be acquired from the accuracy calculation with a fixed point on the control line as the reference point of the registration.

Assembly Performance Evaluation for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s Using k-nearest Neighbor and Vision Sensor (k-근접 이웃 및 비전센서를 활용한 프리팹 강구조물 조립 성능 평가 기술)

  • Bang, Hyuntae;Yu, Byeongjun;Jeon, Haemi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5 no.5
    • /
    • pp.259-266
    • /
    • 2022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eep learning and vision sensor-based assembl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isfor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s. The assembly parts were segment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receptive field block convolution module inspired by the eccentric function of the human visual system. The quality of the assembly was evaluated by detecting the bolt holes in the segmented assembly part and calculating the bolt hole positions.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evaluation, models of standard and defective assembly parts were produced using a 3D printer. The assembly part segmentation network was trained based on the 3D model images captured from a vision sensor. The sbolt hole positions in the segmented assembly image were calculated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the assembly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the k-nearest neighbor algorithm was verifi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ssembly parts were segmented with high precision, and the assembly performance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bolt holes in the detected assembly part was evaluated with a classification error of less than 5%.

Optimum Balancing Using G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평형잡이에 관한 연구)

  • 최원호;양보석;주호진;임동수;노철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137-141
    • /
    • 1995
  •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 원인 중 약 60% 이상이 불평형(unbalance)에 의한 진동이다. 불평형은 기계의 과도한 진동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단축 및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게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부드럽고 진동이 없는 운전을 위하여 평형잡이(balancing)는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불평형은 축 중심선에 대하여 회전체의 질량 분포가 비대칭이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그 원인으로는 부품 자체가 비대칭에서 오는 설계 또는 제도 오차, 주물의 기포 및 용접의 불균일 등에 의한 재질상의 결함, 그리고 부품조립시 형상누적공차 등에 의한 가공.조립오차 등이 있다. ISO의 정의에 따르면 평형잡이는 회전체의 질량 분포를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저널의 진동과 베어링의 작용력들이 운전속도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특정한 한계내에 있도록 보증하게 하기 위한 조정을 하는 과정이다. 불평형 상태에 대한 조사도 평형잡이로 표현된다. 그러나 수정이 필요하다고 간주된다면 수행된다. 모든 회전체는 초기 불평형(initial unbalance)이라 불리는 임의의 불평형을 가지고 출발한다. 완벽하게 평형이 잡힌 회전체를 달성하는 것이 평형잡이 작업의 목적은 아니다. 임의의 잔류 불평형(residual unbalance)은 항상 허용된다. 경제적인 이유에서 회전체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적절한 허용치보다 더 이상 평형잡이를 하지 않는다. 현장에서 현장 평형잡이를 수행하게 될 경우, 가끔 계산된 수정질량이 매우 클 경우가 있다. 이때 기게의 조건상 큰 수정질량을 부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작은 수정질량으로 평형잡이를 할 수 있다면 기계의 안정성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향계수법(Influence Coefficient Method : ICM)의 기본 개념과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 GA)을 이용하여 회전기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허용진동 내에서의 최적 수정질량 계산법을 제시한다.

  • PDF

Optimization of Injection Molding Process using the IDESIGN Program (I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항 사출성형공정의 최적화)

  • 민병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2
    • /
    • pp.66-72
    • /
    • 1997
  • 사출성형품의 품질특성으로 외관, 치수, 기계적 강도 등이 있으나 조립부품으로써 사 될경우에는 치수가 주요한 품질이 된다. 성형품은 용융수지의 특성상 사출공정 중 수축을 일으키므로 이를 고려해서 금형설계가 이루어지지만 실제 사출과정에서 공정변수를 최적화 하여 관리하지 않으면 허용오차 내의 치수를 얻기가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조립부의 치수가 허용오차 내에서 얻어지도록 설계시 적용된 수축률과 측정된 수축률의 차이를 목적 함수로 하여 최소화 시키며 반복이차계획 알고리즘을 채택한 I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해 최적 사출성형조건을 구하였다. 제약조건은 성형품의 부위별 수축률 편차 및 싱크마크 깊이 가 공정변수의 부등호 제약식으로 도출되었고 성형이 이루어지는 공정변수의 상하한 값이 최대 및 최소 경계값으로 적용되었다.

  • PDF

Adjustment System by Optical Measurements of Assembly Tolerancies of VCR HEAD (조립오차의 광학식 측정에 의한 VCR HEAD 조정 SYSTEM)

  • Yun, Byung-Han;Yun, Jong-S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5.07b
    • /
    • pp.849-851
    • /
    • 1995
  • Magnetic heads on vcr drum are adjusted for protrusion, rotational angle, setting angle between two symmetrically positioned heads and height difference. Developed adjustment system covered assembly spec., namely ${\pm}2{\mu}m$ and ${\pm}30{\mu}m$ in rotational angle by using the image processing to determine head positions and S/W algorithm to compensate mechanical errors.

  • PDF

Improvement of Quality by CAE Flow Analysis (CAE 유동해석을 통한 글라스 홀더 플레이트 (G/H Plate)의 품질개선)

  • 안계운;허용정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122-124
    • /
    • 2003
  • 본 연구는 사출성형공정 후 조립공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출성형물의 Weld line에 의한 사출성형물의 파괴현상을 해석하고 개선된 품질을 얻기 위한 시도이다. 사출성형 관련 설계는 사출금형설계 전문가의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수행되어 왔으며, 설계에 필요한 설계자의 경험이 전무한 경우 많은 시행 오차를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글라스 홀더 플레이트를 사출성형하고 조립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생산 중 발생되고 있는 Weld line에 의한 제품의 강도 문제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제품 품질을 향상 하고자 해석과 평가를 시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