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리사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3초

호텔조리사가 인식한 총주방장의 리더십 유형에 대한 주관성 연구 (A Subjectivity Study on the Leadership Types of the Executive Chef Recognized by Hotel Cook)

  • 정대식;김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34-443
    • /
    • 2021
  • 본 연구는 총주방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호텔 조리사들의 인식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호텔 조리사의 유형별 직무의 만족도 및 업무기술의 향상과 인간적 관계에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팀워크 및 업무의 효율 향상에 일조하는 데 있다. 특히 호텔기업에서 업무의 특성상 엄격한 직급 구분에 따른 수직적 지휘체계의 부서에서 일 하는 호텔 조리사들이 인식하는 총주방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주관성에 대하여 Q방법론적 분석을 행함으로써 총주방장의 리더십 유형이 업무의 몰입도와 개인적 기술향상 및 팀워크에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리더십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제1유형(N=4) :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의 모두를 선호 또는 비선호의 복합적 형태의 유형, 제2유형(N=4) : 변혁적 리더십 선호 유형, 제3유형(N=3) :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의 모두를 선호 또는 비선호의 복합적 형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호텔 조리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총주방장의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 또는 서번트 리더십 등의 획일적인 리더십 보다는 서로 상충된 조리사 개개인의 경력과 업무기술(능력치)에 맞는 개별적인 상황에 맞게 고려된 리더십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Q방법론의 이론적인 논의와 함께 리더십 유형을 설명하고 이를 기본으로 Q분석의 주관성연구 분석 방법을 이용해 호텔 조리사들이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에 따른 주관성을 다양하게 규명해 보고 새로운 리더십을 제시 하고자 한다.

IPA 분석 기법에 기초한 조리사의 직업 선택 동기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Satisfaction with Career Choice Motivations for Chefs through IPA Analysis)

  • 김헌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5-2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동기요인이 조리사에 대한 직업을 선택하게 하는 지에 대해 학술적인 고찰을 거쳐 직업선택 동기의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IPA 분석하고, 동기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리사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현실, 자기중심, 가치 등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안정은 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회사를 운영하는 경영자는 직원들에게 승진의 기회 증가, 능력발휘 기회, 보상, 경력개발,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하여 종사원들이 안정적으로 근무할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업체에서 운영하는 영업장이나 특급호텔에서는 개인이 운영하는 영업장과는 달리 초과수당, 세탁서비스, 직원식당, 야근수당, 40시간 근무 등 근로기준법이 적용하여 운영하지만, 아직까지는 기업체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개인운영업장이나 신규오픈한 대부분의 호텔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후생복리의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고, 이직율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경주지역 특급호텔에 종사하는 조리사들의 직무에 대한 실태와 의식조사 연구(II) -조리사들의 조리기술과 조리사 및 외식산업의 발전에 관한 견해- (A Study on the Job Attitude of Cook at Deluxe Hotel in Kyongju(II) - An Analysis on Development of Technics, Cook and Food Industry -)

  • 신애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4-313
    • /
    • 1997
  • A survey was conducted to get information on the job attitude of cooks working for deluxe hotels at Bomun, Kyongju. Total 203 cooks participated the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y believ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good cooking is the deep attention. Although 51% of the cooks estimated their level of expertise as average, 64% of them believed that their level of cooking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 areas. They indicated that an important factor to be a good cook is a sincere attitude but not an academic background or knowledge. However, they believed that their insufficient knowledge on cooking is the greatest hinderance for improvement of cooking skill. For promotion, the ability of cooking and human relationship were indicated as important factors. Cooks for Korean dishes had the best prospect, while Western cooking had relatively lower prospect among them. For the improvement of hotel cooking department, a recruitment of superior manpower, adjustment of hotel policy, expanded study opportunity, and proper arrangement of equipments were suggested in order.

  • PDF

특급 호텔 조리사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반생산적 과업 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Culinary Employees' Stress Coping Styles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 in a Deluxe Hotel)

  • 정효선;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4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특급 호텔 조리사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반생산적 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총 345의 표본을 가지고, 2개의 가설을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chi}^2$=736.474 (p<.001), df=233, CMIN/DF=3.161, GFI=.853, NFI=.901, CFI=.930, RMSEA=.079로 조사되었다. 가설 $1^a$는 특급 호텔 조리사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동료에 대한 반생산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고 설정하였으며, 검증결과 회피 대처(${\beta}$=.325), 감정 대처(${\beta}$=.261), 직무대처(${\beta}$=-.203)가 동료에 대한 반생산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1^b$는 조리사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고 설정하였는데, 직무 대처(${\beta}$=-.307), 회피 대처(${\beta}$=.262), 감정 대처(${\beta}$=.146) 등의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어 역시 채택되었다. 가설 2는 조리사의 반생산적 행동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고 설정하였는데, 반생산적 행동 중 동료에 대한 반생산적 행동(${\beta}$=.431)은 이직의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행동(${\beta}$=.101)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되었다.

  • PDF

경남 일부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yeongnam)

  • 안정미;김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39-1147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5월 13일부터 6월 10일까지 창원시 진해구에 소재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교 32개 학교의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76부가 회수(회수율 92%)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의 평균 점수는 16.60점(20점 만점 기준)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5), 학교형태(P<0.001), 일일 급식횟수(P<0.001)에 따라서는 위생지식이 차이를 보여 조리사 자격증이 있는 집단이 위생지식 수준이 높았으며, 고등학교의 위생지식 수준이 초 중학교의 위생지식 수준보다 높았고 하루 2 3식을 제공하는 학교가 1식 제공하는 학교보다 위생지식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전체 위생관리 수행도는 4.77점(5점 척도 기준)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교차오염(4.88)> 배식관리(4.83)> 채소소독관리(4.81)> 세척관리(4.77)> 냉장 냉동관리(4.72)> 개인위생 관리(4.69)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리사 자격증 소지 여부(P<0.05), 1일 학생 급식인원수(P<0.001), 일일 급식횟수(P<0.05)가 전체 위생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이 미소지 집단보다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았으며, 1일 학생 급식인원수 701~1,100명인 집단이 700명 이하인 집단보다 수행도가 높았고, 1일 급식회수가 2 3식인 집단이 하루 1식을 제공하는 집단보다 수행도가 높았다. 셋째,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 분석 결과 우선 위생지식 점수 수준이 높은 집단의 위생관리 수행도가 평균 4.85로 나타나 위생지식 점수 수준이 낮은 집단(4.66)에 비해 위생관리 수행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한 위생지식은 위생관리 수행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위생지식이 높은 조리종사원이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6%로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P<0.001)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이 높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리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와 일일 배식횟수가 2 3식인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조리사 자격증이 없는 경우와 배식횟수 1식인 종사원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급식위생에 있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한 개인위생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경남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원 대상 위생교육 시 개인위생에 대한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조리사 자격증이 없으며, 학생수가 적고 일일 배식횟수가 적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낮게 조사되었으므로 이들을 위한 반복적인 위생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동시에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낮은 수행도의 원인을 밝혀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영향 미치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향후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위생교육의 실시를 통하여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질 때 궁극적으로 위생관리 수행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