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류증식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5초

기후변화와 녹조발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algal blooms)

  • 김석현;고석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52
    • /
    • 2022
  • 남조류 (cyanobacteria)의 대량증식에 의한 녹조현상은 수질 악화 및 수중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 기존 연구에서는 시아노박테리아 증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식별하였다. 특히, 최근 (2020)에 수행된 한 연구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4대 강에 위치한 16개의 지점에서수집된 세 가지 환경 변수, 수온, 유속 및 인(phosphorus)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아노박테리아 발생에 대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온도가 남조류에 발생에 대한 가장 지배적인 요인임을 시사하였다. 온실가스 배출에 의한 기온의 상승으로 특징되는 기후변화는 전 지구에 급격한 환경변화를 유발하고 있으며 이는 남조류 증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4대 강에서 다년간 수집된 수온(℃) 및 녹조 (cells/㎖) 데이터에 기반하여 온도-환경변수 민감도 (scaling)를 분석함으로써 기후변화와 남조류 증식의 연관성을 판단해 보고자 한다.

  • PDF

Vibrio alginolyticus가 Shewanella sp. SR-14의 미세조류 증식저해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brio alginolyticus on the Algicidal Activity of Shewanella sp. SR-14)

  • 김지회;박희연;이태식;김신희;박정흠;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0-434
    • /
    • 2001
  • 미세조류 증식 저해균 Shewanella sp. SR-14와 연안해역에서 우점종으로 분포하는 세균인 Vibrio alginolyticus가 규조, Chaetoceros calcitran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V. ajginolyticus가 Shewanella sp. SR-14의 C. calcitrans 증식저해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혼합배양으로 측정하였다. Shewsnella sp. SR-14와 해수에서 분리한 V. alginolyticus는 미세조류 배양용 무기배지에서 단독 또는 혼합 배양하여도 잘 증식하였으며, C. calcitrans와 혼합배양시 Shewanella sp. SR-14는 조류증식을 저해한 반면 V alginolyticus는 이 조류의 증식을 촉진하였다. 조류가 첨가된 배지에 Shewanella sp. SR-14의 최초 접종균수가 V. alginolyticus와 거의 같거나 1 log 정도 적게 접종되었을 때에는 C. calcitrans에 대한 Shewanella sp. SR-14의 증식 저해활성이 유지되었으나 V. alginolricus의 최초균수가 Shewanella sp. SR-14보다 3 log 이상 많았을 때에는 조류증식 저해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경안천 현장실험조에서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 증식억제 (Enclosure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Various Plants on Algae)

  • 임병진;정원화;전선옥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304-310
    • /
    • 2000
  • 팔당호 지류인 경안천 만입부에서 현장실험조를 이용하여 조류증식 억제 효율을 조사하였다. Microcystis가 우점하고 평균 Chl a 농도가 30${\sim}$50 ${\mu}$g/l를 나타내는 경안천 만입부 현장실험조에서 습체식물 2.5 g/l 투여 결과, 은행잎, 잣잎, 솔잎 투여조는 초기부터 조류증식억제 효과를 보이면서 조류가 최고 성장기에 이를 때까지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수생식물중 애기마름 투여조가 다른 식물 투여조에 비해 가장 효과가 좋았다. 7일째에 조류증식 억제율은 솔잎 85%, 은행잎 80%, 잣잎 75%, 애기마름 78%, 줄 59% 창포 투여조 30%순이었고, 갈대 투여조는 효과가 없었다. 솔잎, 잣잎, 은행잎, 애기마름을 건조시켜 0.25 g/l와 1 g/l로 투여한 결과, 솔잎과 애기마름은 0.25 g/l에서 각각 53%, 90%로 좋은 효과를 나타낸 반면, 잣잎과 은행잎은 1 g/l 투여량에서 효과가 좋았다. 조류증식억제 효과 원인을 찾기 위해 식물체내 유기화합물을 분석해 본 결과 애기마름에서는 4-(4-hydroxyphenyl)-2-butanone과 2, 4-bis (1, 1-dimethylethyl)-phenol, p-CYMEN-8-0L이 검출되었고, 잣잎은 2, 4-bis (1, 1-dimethylethyl)-phenol이 검출되었다.

  • PDF

담수유입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번식 후의 연안 수질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Quality after Diatom Blooms Due to Freshwater Inflow)

  • 이영식;박영태;김귀영;최용규;이필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79
    • /
    • 2006
  • 연안해역의 수질특성 및 일차생산 증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담수 유입 후 규조류가 대량 번식한 상태와 담수가 유입되지 않고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해수의 수질특성을 조사차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호우로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된 해역에서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와 Thalassiosira spp.가 각각 $1,200{\sim}5,000cells/mL,\;750{\sim}1,200cells/mL$의 농도로 관찰되었다. 2)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수온, PH, 용존산소농도가 높게 조사되어, 두 곳 사이의 거리가 20m 정도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두 곳의 수질특성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질소 인, 규소의 농도가 낮게 조사되어, 호우로 질소, 인, 규소보다는 규조류가 증식하기 위해 필요한 미량원소가 육지로부터 풍부하게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DIN/DIP, $DIN/SiO_2-Si$ 비는 모두 규조류가 대량 증식한 정점과 그렇지 않은 정점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제어 현장 적용성 실험 (Application of Various Plants as an Inhibitor of Algal Growth: Studies in Barge Enclosure and Artificially Eutrophicated Pond)

  • 김상훈;전선옥;임병진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123-132
    • /
    • 2002
  • 인공부영양화 실험실에서 조류를 대량 증식 시켜 초기세포수의 농도가 $10^4\;cells/ml$가 되게 한 후 잣잎, 솔잎, 은행잎은 각각 0.5 g/l를 투여하였고 애기마름은 0.3 g/l를 투여하여 조류제어 효과를 실험하였다. 그리고 북한강 인근의 바지선에 현장 조류제어 실험조를 설치하여 남조류(Microcystis)가 최대로 증식할 때 솔잎은 0.3 g/l를 투여하여 조류제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공실험지에서는 잣잎과 솔잎은 Chl-3와 조류세포수 모두 평균 65%의 억제 효율을 보여 비교적 양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은행잎은 Chl-a는 33%, 조류세포수는 55%로 잣잎과 솔잎에 비하여 조류제어 효과가 다소 감소하였다. 애기마름도 0.1 g/l와 0.3 g/l로 투여량과는 거의 상관없이 Chl-a늘 34%, 조류세포수는 $55{\sim}67%$의 조류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5현장 실험조에서는 초기 Chl-a농도는 $70{\sim}90\;{\mu}g/l$로 비교적 높은 농포를 보였으며 우점조류는 남조류인 Microcystis이었다. 솔잎은 Chl-a로보았을 때는 74%, 조류세포수는 83%의 조류제어효과를 보였다. 은행잎은 Chl-a로 보았을 때는 40%, 조류세포수는 65%로 솔잎 투여에 비해서는 조류 증식억제 효과가 감소하였다.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제어실칩 결과 솔잎이 현장에서 조류제어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투여량은 0.3 g/l가 이상적이며 다음이 잣잎 0.5 g/l가 비교적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 솔잎 투여량은 0.3 g/l에서 $70{\sim}80%$의 조류제어 효과를 나타내었고 독소량도 80%이상 제거되었다. 한편 은행잎과 애기마름은 조류제어 효과는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투여량은 추가적으로 실험을 더 수행해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식물체내 유기화합물 분석결과 조류제어에 효과가 있는 페놀 성분이 검출되었고 식물체 생태독성시험 결과 식물체 투여량은 $1{\sim}5\;g/l$가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lteromonas sp. SR-14가 생산하는 조류증식 저해 물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s Produced by Alteromonas sp. SR-14)

  • 김지회;이희정;이태식;김형락;이명숙;장독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0-276
    • /
    • 1999
  • Alteromonas sp. SR-14의 배양여액을 사용하여 C. calcitran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조류 증식저해 물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Alteromonas sp. SR-14의 peptone broth 배양여액은 C. calcitrans에 대하여 증식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균에 의한 조류 증식 저해 물질은 온도 $15~20^{\circ}C$, pH 7.0~9.0, 염분 농도 $23~30{\textperthousand}$의배양 조건에서 강한 활성으로 생성되었으며, 이러한 조건(온도 $20^{\circ}C$, pH 8.0, 염분 농도 $30\textperthousand$)에서는 정지기부터 활성이 증가하였다. Alteromonas sp. SR-14가 peptone broth에서 생산하는 조류 증식 저해 물질의 분자량은 약 3KDa~12KDa의 복합 물질이었는데, $10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하였을 때 3~10KDa 이하의 물질은 내열성이 있었으나 10KDa 이상의 물질은 불활성 되었다.

  • PDF

규조류 Chaetoceros sp. 증식 저해균 Alteromonas sp. SR-14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arine Bacterium, Alteromonas sp. SR-14 Inhibiting the Growth of Diatom, Chaetoceros Species)

  • 김지회;박정흠;송영환;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59
    • /
    • 1999
  • 일반적으로 규조류는 무독한 적조생물로 알려져 있으나, Chaetoceros spp.의 특정한 종은 적조를 형성할 경우 수산생물에 직$\cdot$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해양 세균을 이용하여 규조류 Chaetoceros spp. 적조의 방제기술 개발을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연안에서 Chsetoceros calcitrans증식 저해균을 검색 분리하였으며 분리균의 세균학적 특성과 각종 규조류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C. calcitrans에 대해서 증식 저해활성이 간한 균을 검색$\cdot$분리한 결과 Alteromonas sp.로 동정되었으며, 이 균을 Alteromonas sp. SR-14로 명명하였다 2. Alteromonas sp. SR-14는 생해수, 숙성해수, 무기염 배지 및 미세조류 C. calcitrans 배양석액에서 증식할 수 있었다. 3. Alteromonas sp. SR-14는 C. calcitrans, C. muclleri 및 C. negracile 등에 대해서만 증식 저해활성이 있었다. 4. Alteromonas sp. SR-14에 의한 C. calcitrans의 사멸과정은 대부분의 경우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세포 내용물만 서서히 소실되었고, 부분적으로는 protoplast도 출현하였다가 용해되는 경우도 있었다.

  • PDF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icrocystis aeruginosa (Cyanophyceae) Growth by Plants in vitro)

  • 정원화;변명섭;전선옥;임병진
    • 생태와환경
    • /
    • 제33권2호통권90호
    • /
    • pp.136-144
    • /
    • 2000
  • 팔당호 주변에서 자생하는 식물체를 이용하여 실험실 내에서 배양된 남조류에 투여하여 조류증식 억제 효율을 조사하였다. 조류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 육상식물을 이용하는 경우 조류 밀도가 10$^{4}$ cells/ml 범위에서의 0.5g/l 투여량은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던 반면, 2.5 g/l 투여량에서는 95%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 조류 밀도가 10$^{6}$ cells/ml 범위에서의 육상식물 투여량은 2.5 g/l 이상이 필요했다. 조류성장 억제에 육상식물은 잣잎, 수생식물은 애기마름이 큰 효과를 보였다. 애기마름 투여조는 조류 밀도가 10$^{6}$ cells/ml 범위에서도 2.5 g/l 투여량으로 50%의 억제 효율이 나타났다. 식물을 이용한 조류 증식 억제 효과는 식물 투여 후 7일째 후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습체, 건체, 추출물 비교시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육상식물 투여조의 경우 1.25 g/l 투여량에 비해 2.5 g/l 투여량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고, 애기마름은 1.25 g/l 투여량에서도 99%의 효과를 보였다. 건체식물은 습체식물에 비해 초기에도 높은 효과를 보였다. 조류의 비증식속도로 보았을 때도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가장 효과가 좋았고 다음으로 건체, 습체식물 투여순으로 조류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섬유상 담체를 이용한 영양염류 제거 및 조류 증식 억제에 관한 연구 (Efficiency of Nutritive Salts Removal and Algae Growth Inhibition Using a Fibrous Carrier)

  • 박신해;강대종;양경순;전수빈;오광중
    • 청정기술
    • /
    • 제21권4호
    • /
    • pp.257-26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물리·화학적 조류 증식 억제 방법의 문제점이 보완되어진 자연친화적인 생물학적 억제방법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섬유상 담체들의 생물막 형성 두께와 물리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폴리에스터 담체가 가장 적절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부영양화 호소에서의 영양염류 제거와 조류증식 억제 효율을 분석하였다. 질소, 인 제거율은 14.59%, 6.36%, 그리고 조류증식 억제효율 비교를 위한 식물플랑크톤 성장 억제률은 77%로 영양염류와 식물플랑크톤 수치가 증가한 대조군에 비해서 높은 효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터 섬유상 담체를 적용하여 호소에서 자연친화적인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eromonas sp. SR-14에 의한 규조 Chaetoceros calcitrans 증식저해 (Growth Inhibition of the Diatom, Chaetoceros calcitrans by Alteromonas sp. SR-14)

  • 김지회;박희연;조용철;조묘헌;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0-164
    • /
    • 1999
  • 해양 세균을 이용하여 규조류, Chaetoceros spp. 적조의 방제기술 개발을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연안에서 분리된 Alteromonas sp. SR-14가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Chaetoceros calcitran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lteromonas sp. SR-14를 C. calcitrans와 혼합배양하였을 때 조류 증식 저해활성은 $20^{\circ}C$에서는 강하였으나 $25^{\circ}C$ 이상에서는 활성이 없었다. 그리고 C. calcitrans의 초기농도가 약 $10^4$ cells/ml이었을 때 Alteromonas sp. SR-14를 10 cells/ml 이하만 접종하여도 증식을 저해하였다. Alteromonas sp. SR-14는 대수기의 C. calcitrans에 대해서 저해 활성이 강하였고, 무기 영양염의 첨가나 1,300$\~$4,600 lux에서 조도변화 및 200 rpm으로의 진탕 등의 배양조건은 세균의 조류증식 저해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