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골세포주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5초

간헐적인 압축하중이 조골세포주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mittent Compressive Loading to Growth of Pre-osteoblast Cells)

  • 최성규;박정훈;이승재;이인환;강상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59
    • /
    • 2010
  •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mechanical stimulation takes a role in improving cell growth. Also, became generally known that skeletal system as bone or cartilage tissues take influence of compression loading.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custom-made bioreactor and analyzed that conditions of compressive loading would influence cell growth. To compare the effect of intermittent compressive loading on cell-encapsulated agarose scaffold, we cultured preosteoblast cell (MC3T3-E1 cells) statically and dynamically. And dynamic culture conditions were produced by changing parameters such as the iteration time and interval delay time. Also, cellencapsulated agarose scaffold were subjected to 10 % dynamic compressive strain at 1㎐ frequency for 7 days. After cell culture, cell proliferation was assessed with PI stain assay for fluorescence images and flow cytometry (FACS).

MC3T3-E1 조골세포주와 RAW 264.7 파골세포주에서 길경을 함유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골다공증 효과 (Anti-osteoporotic Activity of Mixed Herbal Extract Involving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in Osteoblastic MC3T3-E1 and Osteoclastic RAW 264.7 Cells)

  • 정재인;이현숙;김형준;김용민;김수현;유동진;김은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5
    • /
    • 2018
  • 목 적: 본 연구는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root)를 함유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ExMH-PGR)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C3T3-E1 조골세포주와 RAW 264.7 파골세포주를 이용하여 in vitro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방 법: 배양액에 다양한 농도의 ExMH-PGR를 첨가하여 MC3T3-E1 세포와 RAW 264.7 세포의 세포증식을 비교하였다. MC3T3-E1 세포에서 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 콜라겐 합성, 오스테올칼신 생성, 무기질 축적을 분석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활성과 actin ring 형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ExMH-PGR는 $25{\mu}g/mL$ 농도까지 유의한 수준으로 ALP 활성, 콜라겐 합성, 그리고 오스테올칼신 형성을 증가시켰다. $50{\sim}200{\mu}g/mL$의 ExMH-PGR은 TRAP 활성과 actin ring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결 론: ExMH-PGR은 조골세포의 활성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

백서조골세포의 기능에 대한 저수준레이저의 효과 (Effects of Low-Level Laser Irradiation on the Rat Osteoblast Function)

  • Ki-Suk Kim;Jung-Keun Kim;Jung-Kun Kim;Masahru Shimizu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15-23
    • /
    • 1996
  • 저수준레이저조사 (low level lser irradiation, LLLI) 가 골형성을 자극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골아세포기능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별로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백서 두 개관 조골세포양 세포(ROB)와 백서 조골세포주(ROS17/2.8)에 대한 저수준레이저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증식,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석회화 결질형성등을 관찰하였다. 두가지 배양 세포군에 저수준레이저를 조사한 결과 저수준레이저가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석회화 결절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저수준레이저는 조골세포의 기능과 무기질침착을 자극함으로써 골형성을 촉진한다고 추정된다.

  • PDF

(${\Delta}^{12}PGJ_2$ 및 PPAR 감마 길항체가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lta}^{12}PGJ2$ and $PPAR{\Gamma}$ Agonist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 허정미;김경화;정경욱;이혜준;류인철;구영;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133-152
    • /
    • 2005
  • 1. 목적 Prostaglandin은 치주질환과 관련된 국소적 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elta}^{12}PGJ_2$는 생체 내에서 혈장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천연 $PGD_2$ 대사산물이며 peroxisome- proliferator에 의해 활성화되는 감마 수용체 (PPAR ${\Gamma}$)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갖는 리간드로서 핵 수용체군에 속하는 전사조절인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골화 과정에서 ${\Delta}^{12}PGJ_2$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조골세포주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관련된 세포기전을 조사하는 데에 있다. 2. 방법 인간 골육종세포주인 Saos-2 (ATCC.HTB 85)와 쥐의 조골세포주 (MC3T3-E1)를 배양한 후 실험군에 농도가 각각 $10^{-5}$, $10^{-6}$, $10^{-7}$, $10^{-8}$, $10^{-9}$ 몰인 ${\Delta}^{12}PGJ_2$와 ciglitazone (합성 PPAR 감마 길항체)를 첨가하였다. 조골세포에서 PPAR 감마의 발현을 관찰하기 위해 역전사효소-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특정한 primer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세포 증식은 1일, 2일, 3 일째에 MI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고, 2 일째에 알칼리성 인산효소 (ALPase) 생산을 측정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얻은 적정한 농도에서 다양한 조골세포 분화의 표지자들-제 1 형 교원질, 알칼리성 인산효소, osteopontin 및 bone sialoprotein-에 대한 간이 정량적 역전사효소-중합효소연쇄반응 (semiquantitative RT-PCR)을 실시하였으며 골결절 형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석회화 분석도 시행하였다. 3. 결과 ${\Delta}^{12}PGJ_2$와 ciglitazone 모두 Saos-2 세포주의 증식을 촉진시켰다 .$10^{-8}$ 몰의 ${\Delta}^{12}PGJ_2$$10^{-6}$몰의 ciglitazone을 첨가한 실험군을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시간에 비례하여 세포 증식률이 증가되었다. 알칼리성 인산효소의 활성화 검사에서도 증식률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간이 정량적 RT-PCR에서는 ${\Delta}^{12}PGJ_2$로 처리한 군의 경우 제 1 형 교원질, 알칼리성 인산효소, osteopontin, 그리고 bone sialoprotein의 상대적 mRNA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석회화 분석에서는 MC3T3-E1 세포를 $10^{-6}$ 몰의 ${\Delta}^{12}PGJ_2$로 처리한 군과 $10^{-5}$ 몰의 ciglitazone으로 처리한 군에서 현저한 골결절 형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Delta}^{12}PGJ_2$가 유용한 골 유도물질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작용기전이 PPAR 감마-의존형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섬유모세포성장인자-23이 D1 간엽줄기세포에서 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기질 광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broblast Growth Factor 23 o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of D1 Mesenchymal Stem Cells)

  • 박경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1-337
    • /
    • 2016
  • 섬유모세포성장인자-23(fibroblast growth factor 23, FGF23)은 뼈를 형성하는 세포에서 주로 생성되지만 그 작용은 신장에서 이루어진다. FGF23은 신장의 나트륨-인산염 공동수송체(Na-phosphate cotransporter)를 억제하여 인산염 재흡수를 감소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산염 항상성을 조절하는 작용과는 별개로 이것은 in vivo에서 뼈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개골 조골세포를 이용한 연구에서도 FGF23은 조골세포의 발달, 즉 분화 및 기질의 광화(mineralization)에 악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FGF23이 골수 유래 간엽줄기세포에서 조골세포로의 발달에 있어서도 유사한 영향을 줄 것인지를 조사한 것이다. 간엽줄기세포주인 D1 세포를 β-glycerophosphate, ascorbic acid, dexamethazone이 포함된 조골배(osteogenic medium)에 배양하여 alkaline phosphatase (Alp) 염색으로 분화를, Alizarin red 염색과 기질의 칼슘 함량의 분석을 통해 광화를 평가하였다. 분화 촉진 유전자인 Runx2, osteocalcin, Alp와 광화 억제 유전자인 Enpp1, Ank의 발현은 RT-PCR로 분석하였다. D1 세포의 증식과 조골세포로의 분화는 생리학적 농도를 훨씬 초과하는 FGF23의 농도에 의해서도 달라지지 않았다. FGF23 처치 1주, 2주, 3주 후 Alizarin red 염색에 의한 광화 정도의 평가에서도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두 군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광화는 증가되었다. 기질에 침착된 칼슘의 양 또한 차이가 없었다. 분화 촉진 유전자와 광화 억제 유전자의 발현도 양 군 간에 다르지 않았다. 이러한 부정적인(negative) 결과는 FGF23에 의한 세포 내 신호전달의 장애가 아님이 Erk 인산화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두개골의 조골세포와 달리 FGF23은 간엽줄기세포에서 조골세포로의 분화와 광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MC3T3-E1 조골세포주의 osteocalcin과 osteopontin mRNA 발현에 미치는 방사선의 영향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mRNA expression of the osteocalcin and osteoponti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 조수범;이상래;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3호
    • /
    • pp.179-185
    • /
    • 2003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phenotypic expression of the MC3T3-El osteoblastic cell line, particularly on the expression of osteocalcin and osteopontin. Materials and Methods: Cells were irradiated with a single dose of 0.5, 1,4, and 8 Gy at a dose rate of 5.38 Gy/min using a cesium 137 irradiator. After the specimens were harvested, RNA was extracted on the 3rd, 7th, 14th, and 21st day after irradiation. The RNA strands were reverse-transcribed and the resulting cDNAs were subjected to amplification by PCR. Results: The irradiated cells demonstrat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osteocalcin and a dose-dependent decrease in osteopontin mRNA expression compared with the non-irradiated control group, The amount of osteocalcin mRNA expression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3rd day after irradiation of 0,5, 1,4, and 8 Gy, and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3rd, 14th, and 21 st day after irradiation in the 8 Gy expos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degree of osteopontin mRNA ex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7th day after irradiation of 0,5, 1,4, and 8Gy,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each single dose of 0,5, 1, 4, and 8 Gy influenced the mRNA expression of osteocalcin and osteopontin associated with the calcification stage of osteoblastic cells, suggesting that each single dose affected bone formation at the cell level.

  • PDF

혈소판농축혈장이 조골세포주의 세포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on the Cellula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Cell Line)

  • 정태욱;장경수;김창회;김영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0권1호
    • /
    • pp.31-41
    • /
    • 2004
  • The osseointegration in implant therapy is achieved following general wound healing mechanism. Platelet play a major role in wound healing process. In addition to blood clot formation, they secrete many growth factors which regulate the attachmen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early all cell types. The use of these growth factors is now known to be very effective methods to improve the cellular activity. Platelet-rich plasma which is made with the newly developed technique concentrating platelets 3-folds or more is also proven to be very effective method to stimulate and accelerate the healing of bone and soft tissue. Previous study proved that platelet-rich plasma enhanced the cellular attachment by inducing fibronectin, vitronectin from osteoblast. So,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on the cellula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vitro. The effect on the proliferation was evaluated by MTT assay. To evaluate autocrine and paracrine effect, conditioned medium was made and compared. By measuring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the effect on the cellular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The cellular proliferation of osteoblast cell line in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platelet-rich plasma and conditioned medium.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platelet-rich plasma and conditioned medium. These findings imply that platelet-rich plasma enhance the cellula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nd maximize the cellular activity by using the autocrine and paracrine effect.

Oleanolic acid 및 그 유도체가 MC3T3-E1 조골세포주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leanolic Acid and its Derivatives o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Osteoblastic Cell)

  • 김세원;이창호;정희경;조성신;이홍기;박용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91-500
    • /
    • 2011
  • Ursolic acid, triterpenoid compound has been shown to stimulate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enhance bone for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imilar triterpenoid compounds, oleanolic acid (OA) and its derivatives, such as oleanolic acid acetate (OAA) and oleanolic acetate methyl ester (OAM) on the bone formation in MC3T3-E1 osteoblast cells. We determined cellular proliferation,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mineralization, and expression of osteoblast specific genes and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phosphorylation. Treatment of $0.1-10{\mu}m$ OA, OAA, and OAM increased cellular proliferation, but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dimethyl sulfoxide (DMSO). OA, OAA, and OAM at 5uM concentration enhanced ALP expression, mineralization, and osteocalcin (OCN) mRNA level. In conclusion, OA and its derivatives stimulated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by increasing ALP, mineralization, and OCN mRNA express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mong treatment of OA, OAA, and O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