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경문화

Search Result 848,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Study on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s in Cultural Heritage Industry (문화재 수리의 조경분야 공종 분류에 관한 연구)

  • Kim, Min-Seon;Lee, Jae-Yong;Kim, Cho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2
    • /
    • pp.59-6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 the standard for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and establishing the scope of landscaping repair works. Standard construction specifications currently specify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 around the planting construction, while standard work estimate does not include the field of landscaping. The landscaping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nd the standard work estim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hould be, however, applied, so it is difficult to specifically understand what is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 in the cultural heritage industry. From 1961 to 1980, not only the tree planting but also a variety of landscaping facilities had been specified as the landscaping repair works, and it was found that all of these work classifications are established as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total of 20 work classifications were verified by comprehensively arranging those specified in notices of tender for working drawing services for cultural heritages during three years, from 2018 to 2020, except for those for the maintenance and Dancheong of architectures, plant protection and conservation. All 20 work classifications corresponded to the landscaping work class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the basis of the landscaping work class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divided the landscaping repair work classifications into site-building and shaping, planting work, facility construction, paving work,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and vegetation maintenance, by considering the specialty of cultural heritage space.

An Examination of Japanese Modes Expressed in American Spatial Design (미국 건축 및 조경디자인에 나타난 일본양식에 관한 고찰)

  • 김신원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3 no.1
    • /
    • pp.189-214
    • /
    • 1995
  • 본 연구는 미국의 건축 및 조경공간 형성에 미친 일본문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문화 및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미국건축 및 조경에 나타난 그 면모에 관한 것이다. 1853년 미국과 일본의 문화교류를 시작으로 일본의 예술과 건축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1893년 Chicago에서 열렸던 Wor1ds Columbian Exposition에서 선보인 일본의 건축물은 당시 미국의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후 일본의 공간디인은 건축뿐만 아니라 조경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미국의 공간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미국의 공간디자인에 영향을 준 일본문화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와 구별되는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고찰해보고, 미국 현대건축의 선구자인 Frank Lloyd Wright, Greece and Greene, Philip Johnson, Richard J. Neutra의 작품 및 조경디자이너인 Ethelbert E. Furlong, James C. Rose의 작품속에 나타난 일본식 공간디자인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장래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미국문화의 특성이 고찰되어 미국과 일본의 두 문화가 비교 파악되기 위한 개념적 근거가 마련되고, 일본식 공간디자인이 미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어졌으며 미국식 공간 디자인으로 전환되었는지 살펴보며, 어떤 이유에서 일본의 공간디자인 양식이 미국의 건축 및 조경분야에서 문화적으로 일본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과 중국의 공간디자인 양식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를 구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