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각장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3초

정맥 내의 IV 카테터 조각을 3D MDCT 볼륨렌더링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HU 임계치 (HU Threshold Value for IV Catheter Fragment in Peripheral Vein of Volume Rendering 3D MDCT Imaging)

  • 장근조;권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06-212
    • /
    • 2007
  • IV(intravenous) 카데터 조각을 정맥 내에서 정확한 위치 및 크기를 확인하기위해 MDCT의 3D 재구성 기법인 볼륨렌더링의 임계치를 측정하고 변화에 따라 IV 카데터 조각의 영상을 구현하였다. 3D프로그램에서 파일럿 방법으로 IV 카데터의 HU(hounsfield unit) 값을 측정하였고, IV 카데터가 남아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프로파일과 관심영역 테이블 기능을 이용하여 IV 카데터의 HU 값을 측정하여 임계치를 설정하여 IV 카데터 조각의 위치 및 크기를 볼륨렌더링 영상에서 확인 하였다. 볼륨렌더링 영상에서 HU의 임계치 설정은 IV 카데터 조각의 정확한 위치 및 크기를 확인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제1호 장도장 전수자 임동훈

  • 한국건설안전기술협회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30호
    • /
    • pp.32-33
    • /
    • 2004
  • 외형뜨기, 조각과 용접 등 100여 단계의 세부공정을 모두 수작업으로 해야만 하는 작업. 그래서 하루 10시간씩 일해도 꼬박 4일이 걸리는 은장도 제작으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가고 있는 울산 광역시무형문화재 제1호 장도장 전수자 임동훈씨를 만났다.

  • PDF

88올림픽공원 조각공원의 조성 과정 및 전후 담론의 해석 (Development Process of the 88 Seoul Olympic Park as Sculpture Park and Its Discourses)

  • 신명진;성종상;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6-56
    • /
    • 2020
  • 88올림픽공원은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전환점인 88서울올림픽대회를 기념하는 공간으로서 체육공원, 사적공원, 조각공원 등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한 도시 공원이다. 문화올림픽이라는 슬로건 아래 88서울올림픽은 국가 홍보의 장으로 적극 활용되었으며, 이와 같은 차원에서 1986년 기 준공되었던 공원은 1, 2차 세계야외조각 심포지엄 및 국제조각초대전을 거치며 190여 점의 작품이 설치되면서 조각공원으로 재조성되었다. 본 연구는 조각공원으로서 88올림픽공원의 조성 과정 및 전후 담론을 살펴봄으로써 88올림픽공원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고하고자 한다. 조성 과정 및 그 전후, 88올림픽공원을 둘러싼 여러 담론이 나타났다. 먼저, 추상 양식 조각품의 비율이 높아 한국의 문화를 보여주는 데 역부족이라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대한 논의가 번졌다. 둘째, 조성 과정에서 몽촌토성 훼손 등 사적지 보존 문제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다. 셋째, 공원의 정체성에 관한 공방이 있었다. 이에 더해 조각공원 프로그램의 후속 도입으로 인해 공간과 작품의 간극이 해소되지 못했기에 통합된 도시공원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조각공원으로서 88올림픽공원은 세계화, 민족성, 공공성, 예술성 등에 대한 논의가 대형 공원 조성과 맞물려 공론화된 초창기 사례로, 추후 도시 경관의 문화·예술적 실천에 대한 탐구에 있어 유의미한 역사적 맥락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정치·문화·예술·조경을 아우르는 88올림픽공원의 조성 전후 담론을 살펴봄으로써 1980년대 문화예술과 도시 공간에 대한 논의가 벌어진 지점을 포착하고 해석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조선후기 천통책표지 문양 능화판 12책 출품

  • 김상호
    • 프린팅코리아
    • /
    • 제10권11호
    • /
    • pp.112-113
    • /
    • 2011
  •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했던가, 고활자 특별전문가 각자 장인 이창석씨의 아들인 이운천씨가 제36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운천씨는 조선후기 능화판을 출품, 문화재청장상을 수상하여 첫 출품의 첫 수상으로, 그것도 본상에 드는 영예를 안았다. 그가 출품한 작품은 조선시대에 많이 사용한 길상화문판 등 12가지 문양을 선별하여 조각한 것이다.

  • PDF

적응적 쉘유한요소를 이용한 박스형 구조물의 좌굴해석 (Buckling Analysis of Box-typed Structures using Adaptive Shell Finite Elements)

  • 송명관;김선훈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65-27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h-유한요소 세분화에 의한 박스형 절판 구조물의 선형좌굴 유한요소해석법을 제안한다. 면내회전 자유도를 갖는 변절점 평판쉘유한요소를 사용하여 유한요소의 거동을 개선하고 6자유도를 갖는 다른 유한요소와의 자유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개발된 평판쉘유한요소에 의하여 박스형 절판구조물의 정확한 구조해석이 가능한데, 변절점유한요소를 정식화함으로써 적응적 h-유한요소 세분화시에 발생하는 다른 패턴의 사각형 유한요소 세분화망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결한다. 오차평가에 대한 개선된 응력장을 얻기 위하여 상위수렴 조각회복법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상위수렴 조각회복법에 의한 개선된 응력장에 의하여 구성된 유한요소 세분화망을 이용하여 좌굴하중과 좌굴모드를 자동적으로 구할 수 있도록 한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RNA1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RNA1 Gen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송영환;고상석;이영석;강현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7-84
    • /
    • 1989
  • Saccharomyces cerevisiae의 RNAI 유전자의 온도 감수성 돌연변이 균주는 성장허용 온도인 23"C에서는 정상적인 성"J--을하나, 성 장억제 온도인 36°C에서는 tRNA, rRNA 그러고 mRNA 의 선우울질을을 핵내에 축적함으후써 성장을 못한다. 본 실 험에서는 complementation 에 의하여 RNAI 유전자를 클로녕하였으며 concomitant loss 실험에 의하여 이 유천자의 클로닝 을 확인하였다.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한 결과 3.5kb의 Bgl II 조각내에 RNAI 유전자가 존재함을 알 수 있였으며, 2.1kb에 해당하는 BamH I -Bgl II 조각에서는 RNAI 유전지에 의한 complementation 능력이 상실되는 것으후 보아 RNAI 유전자 는 3.5kb의 BglIl 조각내에 포함되는 BamH 1 자리 주위에 결쳐 있픔을 알 수 있었다.

  • PDF

반 무한체 위의 사각조각 표면에 작용하는 접선하중에 의한 반 무한체내의 응력 해석 (The Stress Field in the Body by Tangential Loading of a Rectangular Patch on a Semi-Infinite Solid)

  • 이문주;구영필;조용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4권4호
    • /
    • pp.1032-1038
    • /
    • 2000
  • The stress field in the body by tangential loading of a rectangular patch on a semi-infinite solid has been solved analytically using potential function. The validity of result of this study was proved by Saint-Venant's principle in the remote region and in the vicinity of the surface with superposition of point loads.

벤트그라스 품종이 Microdochium nivale에 의한 자주색설부병에 대한 감수성 차이 (Difference of Susceptibility on Bentgrass Cultivars to Pink Snow Mold Caused by Microdochium nivale)

  • 장태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7-183
    • /
    • 2011
  • 벤트그라스 3종류의 품종에 대한 감수성을 잎 조각 검정와 전체식물에 대하여 9개의 Microdochum nivale 균주를 이용하여 온도가 조절된 공간에서 평가 하였다. 위스콘신 골프장에서 감염된 병반에서 얻은 자주색 설부병 균주에 대하여 온도와 살균제에 대한 반응시험을 하였다. 잎 조각 검정과와 전체식물을 이용한 시험은 80일된 잔디로 평가하였다. 9균주는 2종류의 살균제에 감수성이 었으며, 온도에 대하여 균주간에 차이를 보였다. 잎조각을 이용한 검정에서도 벤트그라스 품종과 종간에도 뚜렸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식물을 이용한 시험에서도 품종과 종간에 병 심각성에 차이를 보였는데, 특별히 4배수체인 크리핑과 콜로니얼 벤트그라스와 2배체인 벨벧벤트그라스 종과 품종간에 M. nivale 균주에 대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자주색 설부병에 대한 벤트그라스 평가에 응용될 수 있고, 육종을 하는데도 품종간에 전망적인 예측 평가을 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폐 미세플라스틱(PET)의 물벼룩 만성독성 연구 (Effect of Chronic Toxicity by Waste Microplastics (PET) on Daphnia magna)

  • 한보미;박건우;유승우;김창해;정진호;나주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281-289
    • /
    • 2021
  • 상업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컵은 환경으로 유입되어 파편화되어 미세플라스틱 (MP)이 될 수 있다. 또한 MP는 수생 생물에게 섭식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부작용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회용 컵에서 유래된 MP 조각이 물벼룩에게 미치는 급성 및 만성 독성을 평가했다. MP 조각은 33.18 ±7.76 ㎛ 크기의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MP 조각으로 확인되었으며, 3종류의 첨가제 (1- Propanone. 1-phenyl-3-[2-(phenylmethoxy)phenyl]-, p-Xylene and ethylbenzene)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48시간 급성 독성은 최고 농도의 PET MP (200 mg L-1)에 노출된 물벼룩에서 20%의 유영저해 및 사망을 발견하였다. 21일 만성 독성은 5 mg L-1의 PET MP 조각에 노출된 D. magna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줄어든 생존율 (31%)과 번식 (52%)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PET MP는 태어난 개체의 발달 이상을 (3.5%) 대조군 (0.3%)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p < 0.05)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MP 조각의 섭취에 의한 장 막힘과 더 긴 체류 시간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회용 컵 (PET 폴리머)이 작은 크기의 MP 조각으로 단편화되면 수생 생물에 심각한 생태학적 위험을 제기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MP 독성 및 첨가제에 대한 근본적인 독성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