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각보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3초

조각보와 매듭을 활용한 전통 배자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Traditional Baeja Design Applied Jogakbo and Knot)

  • 양숙향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89-203
    • /
    • 2014
  • In this study, Creative motifs using face composition of Jogakbo and Knot Symbo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raditional Baeja of Joseon Dynasty to develop design contents of traditional clothes. As for study method, 7 motifs of new formative image that integrates traditional beauty and contemporary sense were developed by applying Knot Symbols and face compositions of Jogakbo with the use of Adobe Illustrator CS6 and Adobe Photoshop CS6 vector graphic software. The motifs were designed in contemporary image in face compositions like rectangle pattern, triangle pattern, dual rectangle pattern, vertical and horizontal pattern, pinwheel pattern, gojunmun pattern and free pattern by involving various changes like repetition, rotation, reduction, expansion and decomposition and using the colors used in the Jogakbo. It is desired that through this study, traditional Baeja may develop to bear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image so that our traditional clothes design may become global. Also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ulture products of Hanbok like Jeogori, pants and skirt that require change of design in the global era while maintaining traditional beauty to appeal to the emotions of world citizens.

  • PDF

조각보의 형태적 특징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제안 (A proposal for fashion design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ogakbo')

  • 박한힘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5-163
    • /
    • 2021
  • This design proposal research is meaningful as Jogakbo can retain the traditional value of the it's design as it becomes a contemporary design proposal. As a specific method of research, history was been investigated to find meaning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defined through prior research under the theme of Jogakbo. Ideas, such as silhouettes, details for design, and the making domestic and foreign designer examples were obtained. The fabric used for the works were recycled from past leather works. All materials are sheep skin. There were various processed surfaces used to avoid monotony. Jogakbo's cotton composition focused on free and radial patterns. The pattern was manufactured using a flat and 3D combination, and the selection of items was mainly made with a simple and light silhouette, so that Jogakbo's details, such as dresses, slip dress, and vests could stand out. Color is an important factor in Jogakbo. However, traditions which are relics of the times, do not need to be preserved in their original form. If changes are inherited with reasonable grounds and directions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the significance and values are retained are sufficient. It is hoped that these design development studie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so that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can continue to change and develop positively.

이동 클라이언트에서 효율적인 XML 질의 처리를 위한 XML 조각 스트림 구성 기법 (Techniques of XML Fragment Stream Organization for Efficient XML Query Processing in Mobile Clients)

  • 류정훈;강현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5-94
    • /
    • 2009
  • XML이 웹에서 데이터 교환의 표준으로 부각된 이래 전자 거래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며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도 XML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질의 처리에 관한 연구가 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XML 문서를 XML 조각으로 분할하여 스트리밍하고 이동 클라이언트에서 이를 수신하면서 질의 처리하는 기법이 제안되었다. XML 조각 스트림에대한 질의 처리는 스트림을 구성하는 각 조각의 전송 순서에 따라 평균 접근 시간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질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XML 조각 스트림 구성 방법이 요구되며, 튜닝 시간의 단축을 통해 에너지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인덱싱도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질의 빈도와 질의 처리 시 접근되는 XML 조각의 크기 및 중복에 기반을 둔 XML 조각 스트림 구성 및 능동 XML 형식의 인덱스 구성을 제안한다. 구현 및 성능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법이 다양한 사용자 질의 집합 및 빈도에 대해 기존의 XML 조각 스트림 구성 기법에 비해 접근 시간 및 튜닝 시간 양면에서 모두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야생동물의 행동권을 고려한 설악산 국립공원과 오대산 국립공원간 서식지 연결 (Habitat Connectivity between S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with a Consideration of Wildlife Home Range)

  • 강혜순;김진영;박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0-161
    • /
    • 2005
  • 설악산국립공원과 오대산국립공원은 20.7km 떨어져 있으나 백두대간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 문에 야생동식물의 서식지와 이통통로로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협소한 크기, 조각화, 지 리적 격리와 같은 경관적 특성에 의해 이 두 국립공원은 적절한 생태적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법을 이용하여 두 국립공원과 인근 속초시, 고성군, 인제군, 양양군, 홍천군 일대 총 면적 $4573.6 km^2$인 지역을 대상으로 조각화 현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육식동물이며 보호종으로 지정된 삵의 서식지조건에 부합하는 경관조각을 파악하고 삵의 이동이 가능한 경관조각들의 연결망과 연결지점을 설정하였다. 다양한 도로와 인위적 시설로 인해 조사지역은 총 24,701개의 경관조각으로 단절되어 있었다. 식생과 최소 서식지면적, 조각간 거리와 같은 서식지 조건을 고려하였을 때 이 중 39개 경관조각이 삵의 잠재서식지로 선택되었다. 나아가 계방산과 방태산 일대의 3개 조각이 국립공원의 조각화와 고립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연결망의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또한 점봉산과 방태산 일대의 조각이 삵이 두 국립공원으로 분산할 수 있는, 공급지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거의 모든 국립공원이 조사된 두 국립공원과 유사한 경관적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생 생물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국립 공원과 인근 지역에서의 조각화 현상과 경관조각의 연결성을 평가하는 과제가 매우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흑조위축병 바이러스 RNA를 절단하는 망치머리형 라이보자임의 제작 (Construction of a Hammerhead Ribozyme that Cleaves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NA)

  • 김주곤;손성한;이석순;황영수;박종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22-527
    • /
    • 1995
  • 흑조위축병 바이러스(RBSDV)에 대한 antiviral agent를 개발하기위하여 RBSDV 게놈 조각 3번을 절단하는 망치머리형 구조의 라이보자임을 설계하였다. 라이보자임과 기질의 oligonucleotides는 DNA 합성기로 합성 후 서로 합치고, pBluescript KS(+)에 삽입하였다. 라이보자임과 기질 RNA는 $T_3$ RNA polymerase로 기내 전사하여 각각 193과 183 nucleotide의 RNA를 얻었다. 기질 RNA는 라이보자임 RNA에 의해 $55^{\circ}C$에서 2개의 조각으로 절단되었으나 $37^{\circ}C$에서는 절단되지 않았다. 또한 RBSDV의 3번 조각 RNA도 동일한 라이보자임에 의해 절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합성된 헤머해드 라이보자임은 기내 절단 능력을 가지며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antiviral agent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 보자기의 장식성 연구 (Korean Wrapping Cloths as a Decorative Art)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83-1896
    • /
    • 2009
  • 이 논문은 조선후기 보자기에 적용된 다양한 장식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보자기는 물건을 싸거나 음식을 덮는 등 일차적으로는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보자기 제작은 전래된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현세적 기원의 행위이기도 했으며, 또한 조선의 엄격한 유교 윤리 하에서 여성의 창작 욕구가 자유롭게 발현된 생활 속 여흥의 일부이기도 했다. 한국의 보자기에는 조각 잇기, 자수, 회염, 인염, 오려내기 세공 등 다양한 장식 기법이 활용되었다. 조각 잇기 기법이 활용된 조각보에서는 조선 여인들의 절약습관이 돋보이는데 이는 특히 자원의 재활용을 중시하는 오늘날의 가치와도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 자수가 놓인 수보에서는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여인들의 소박한 바램이 읽혀진다. 한국 보자기는 회염이나 인염으로 장식되기도 했는데, 이들은 한국 복식 유물에서는 보기 어려운 장식 기법들이다. 농담을 조절한 다양한 색채의 당채 기법이나 단일색의 먹물 채색, 여러 종류의 도안이 새겨진 목판을 이용한 인염 기법 등이 이용되었다. 음식물이 묻지 않게 하기 위해 때로는 기름 종이로 보자기를 만들기도 했는데, 이러한 식지보에는 오려내기 세공이 장식 기법으로 활용되었다. 오려내기 기법의 원리는 스텐실 염색과 비슷하여 이를 또한 섬유제품 디자인에 활용할 수도 있다.

순찰차량 시트에서 유리조각의 분포 연구 (A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glass particles on patrol car seats)

  • 김미혜;고강석;김수경;홍성욱
    • 분석과학
    • /
    • 제29권3호
    • /
    • pp.136-141
    • /
    • 2016
  • 충남지역에서 운행되는 10대의 순찰차량에서 유리조각의 분포를 연구하였다. 각 차량의 앞좌석(운전석, 조수석)과 뒷좌석에서 유리조각을 채취하였다. 채취영역은 각 좌석에서 등이 접촉하는 부분(이하 등받이로 표기),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분(이하 아랫면으로 표기) 및 엉덩이와 등받이의 사이 공간(이하 모서리로 표기)으로 설정하여 채취하였다. 채취영역에서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전사한 뒤 입체현미경을 사용하여 접착테이프에 있는 유리조각을 찾았다. 발견된 유리조각의 총 개수는 679 개였다. 그 중에서 경찰들이 주로 사용하는 앞좌석에서 발견된 유리조각의 수는 471 개(운전석 293, 조수석 178)였다. 유리조각 대부분의 크기는 0.49 mm 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리조각의 대부분이 뒷좌석보다 앞좌석에서 주로 발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앞좌석에 있던 유리조각이 차량을 사용하는 경찰에게 전이되고, 경찰관이 범죄자와 접촉할 경우 이 유리조각이 범죄자에게 2차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2차전이로 인해 유리조각 증거가 오염되어 증거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경찰은 순찰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차오염에 대한 방지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조각공간과 건축공간의 관계 (Entre l' espace sculptural et, l' espace architectural)

  • 이봉순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5권
    • /
    • pp.175-216
    • /
    • 2003
  • 시각이 아닌 오감체계에 관계하는 때문에 현대미술은 외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곧 예술 작품들은 하나의 장소를 관객에게 제공하여, 심리적, 물리적, 또는 예술이 존재여부에 관한 갖가지 질문들을 제기한다. 모든 예술 작품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념 또는 아이디어에 우선하는 현대미술은 그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의 사회적 배경과 보편성을 간과할 수 없다. 우리의 물체 인식은 결국 우리의 경험체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간주하면, 현대미술의 새로운 형태는 보편적 특질들이 그 특질들 이상의 상태로 보여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창조 행위의 시작은 현대인간의 문화 읽기이며 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역사는 지나간 시간을 기록한 것이며, 이 또한 우리의 지식과 정보 체계에 속한다. 회화가 평면에 입체감을 표현하는 것과는 달리 조각은 자연 속, 즉 실재공간 속에 있는 모든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시각(visible) 이외에도 촉각(tangible)이 관여하게 된다. 조각의 특수성은 촉각(tangible)이 우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과 촉각은 매우 적극적으로 미학적 경험에 참여하는 감각으로 이들을 서로 분리하여 생각하기가 무척 힘들다. 왜냐하면 어떤 경험에 있어서 기억연합 또는 감각 연합에 의해 하나의 감각이 다른 여러 감각을 촉발하여 연쇄반응 혹은 '형태 Gestalt'를 이루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근대 조각 작품들은 조각대 위에 고정되어 있는 구상 형태를 지녔기 때문에 조각작품 자체가 지닌 외적 형태와 그 자체내의 공간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미로의 비너스 조각은 대리석과 비너스 형태의 결합이다. 때문에 관객은 그 주변을 돌면서 우리 신체의 내적 공간과 시각에 의존하면서 그 작품의 중량감, 양감, 형태 등의 특질과 만나게 된다. 그러나 현대 추상조각과 개념조각은 이보다 좀 더 확장된 공간을 제시한다. 이것은 현대조각이 건축개념을 수용한 때문이며, 그것이 때로는 안 쪽에서 때로는 바깥 쪽에서 그 형태를 결정하며, 보고 듣고 느끼고 만져지고 왕래하는 등의 인식 영역인 관객의 오감체계에 직접적으로 관계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건축 공간에서,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 지각한다. 대강 요약하자면 공간은 객관적 상태이기보다는 인식영역의 주관성을 통해 받아들여진 우리가 지나쳐온 것들이나 체험된 공간이다. 여기서 '받아들여지는' 일은 과거 경험들의 주체들, 언어와 문화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 즉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중앙이 아니다. 중앙은 바로 나, 둘러싸여진 나이다 나는 나의 동작에 따라 그 공간의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동적인 중심이다 (이때의 나는 위치의 축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작품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건축공간개념이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개념에 이용되었다고 본다. 현대미술에서 In situ작업과 특정한 장소를 위한 기획되어진 최근의 프로젝트 작업들은 대형화되어있으며, 건축에서처럼 특정한 장소를 만들어낸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는 또한 '조각영역의 확장 (La sculpture dans le champ elargi)'에서 현대조각이 건축과 환경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녀에 의하면, 1960년대 이후의 현대조각은 이러한 탈 귀속성과 조각의 자율성을 획득함으로써 조각은 건축물이 아니면서 건축물 주변에 위치하거나 풍경이 아니면서 풍경 안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의 대형조각 작품들 - 예를 들어 대형화된 미니별 조각이나 개념미술, 또는 대지예술 등 -은 풍경의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환경으로부터 구분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들 조각은 더 이상 만져지는 실체이거나 점유하는 공간의 상징언어를 지닌 조각의 범주에 한정되지 않게 된다. 조각과 건축의 공간인식을 인체의 크기와 관련하여 보면, 메를로 퐁티(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 은 우리가 논하는 작품의 공간체계를 분석하는데 지침표가 되어준다.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정신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몸과 함께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지각은 우리가 부단히 눈을 움직이고 만지고 냄새를 맡고 주변을 돌아 다니면서 세계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 진다.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나타나는 신체적 표현은 몸 자체가 원천적으로 지향적 활동의 주체로서 파악되는 한 이미 항상(恒常, constant) 의미 현상을 지니다. 우리의 지각이 움직이는 몸의 지향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은 우리의 몸의 지향활동이 의식에 선행함을 의미한다. 몸의 움직임은 의식의 의도를 표현할 때에만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 자체가 살아있는 표현이다. 우리의 몸짓, 표정은 우리 의식이 의도하기 전에 이미 의미가 담겨있다. 몸은 그 자체가 기호(Signe)적이다. 결국. 메를로 퐁티에게서 세상(le monde entier)은 그 자신이 주체가 되어 인식한다, 그리고 이 인식 구조에는 우리의 몸이 구심점(le point centripete)이 된다. 만약 우리가 이러한 메를로 퐁티의 개념을 염두에 둔다면, 예술작품의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재료와 크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속임수를 가지는 비밀분산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ecret Sharing Scheme with Cheaters)

  • 김문정;오수현;원동호;채영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991-994
    • /
    • 2002
  • A. Shamir 는 비밀 정보 D를 n개의 조각으로 나눈 후, $k(k{\leq}D)$개의 조각으로는 D를 복원할 수 있으나, (k-1)개 이하의 조각으로는 복원할 수 없는 비밀 분산 방식을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이 방식은 대수학에서의 체(field) 이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다항식에 대한 Lagrange interpolation에 기반하고 있으며, 키 복구 시스템 등에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 후에, Tompa 등은 Shamir 의 방식이 어떤 형태의 속임수에 대하여 안전하지 않음을 보이고 이 방식을 약간 변형하여 속임수에 대해 안전한 방식을 제안하였다. Tompa 등이 제안한 방식은 안전성이 어떤 증명 되지않은 가정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Shamir 방식의 특성을 보존한다. 본 고에서는 위의 방법들을 수학적으로 세밀히 분석하여 보다 자세한 증명들을 제시하고, 키 복구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 각 방식의 유용성과 단점들을 비교한다.

  • PDF

한국 전통 조각보 소재에 따른 배색 연구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Colors According to Korea Tradition Jogak-bo Materials)

  • 이연순;이정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3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fabrics, colors, and arrangement of color in Jogak-bo which were developed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It is expected that from the analysis of the number, distribution and arrangement of colors of Jogak-bo in the late Chosun we can suggest various color arrangements thoset can be applied to modern fash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number of colors of Jogak-bo according to material, silk fabrics Jogak-bo used a variety of colors whereas hemp fabrics Jogak-bo mostly used one color showing contrast between silk fabrics Jogak-bo and hemp fabrics ones. Second, as for the distribution of colors of silk Jogak-bo and hemp fabrics ones, warm colors were used most frequently. On the other hand, fewer achromatic colors were used to silk fabrics Jogak-bo, and they were more applied to hemp fabrics Jogak-bo. As for the use of cold colors, fewer cold colors were applied to hemp fabrics Jogak-bo compared to silk fabrics Jogak-bo. Third, as for the arrangement of colors, various colors were used in silk fabrics Jogak-bo, but a single color or not more than 1 color was applied to hemp fabrics Jogak-bo. It well demonstrates brilliance and glamour of silk Jogak-bo and stability and unity of hemp fabrics Jogak-bo. As for the arrangement of colors of Jogak-bo, most of Jogak-bo showed contrasting colors and shades, and similar colors and shades were hardly found in silk fabrics Jogak-bo whereas they were frequently found in hemp fabrics Jogak-b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