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2인산칼슘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5초

해양 퇴적물의 혐기적 용출특성과 이에 미치는 산소발생제 CaO2의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aerobic Release Characteristics of Marine Sediment and Effect of CaO2, an Oxygen Releasing Compound)

  • 권성현;조대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047-4054
    • /
    • 2010
  • 실험실 규모의 모사 실험을 통하여 해양 부영양화를 촉진하는 퇴적물의 용출 특성을 연구하였다. 즉 pH, ORP, 질소성분, 인성분 등 주요 환경인자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용출율을 계산하였다. 또한 산소발생제인 과산화칼슘을 이용하여 자연적 용출의 제어효과를 분석하였다. 산소발생제 처리에 따라 호기적 조건으로의 퇴적토 환경변화가 일어났으며 COD, $NH_3$-N의 용출율이 감소하고 질산화 촉진으로 NOx 성분은 증가하였다. 총인과 인산염인도 Ca 이온의 불용화 기작에 의거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퇴적토의 용출로 인한 해양 부영양화 억제 방법론을 정립하고자한다.

초지에 대한 인산질비료의 시용에 관한 연구 II. 초지조성 및 관리시에 인산질비료의 시용이 초지식생 및 목초의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in Grassland II. Effects of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at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grassland on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grasses)

  • 박근제;이필상;최기준;황석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8-273
    • /
    • 1993
  • 본 시험은 초지조성시와 관리시에 시용하는 인산질 비료의 시용이 초지식생, 목초 및 토양의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무시용구의 3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포장 배치하여 1989년 9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수원 근교에서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산질 비료 무시용구의 식생은 불량하였으며 인산시용에 의해서 두과 목초의 비율이 증가되었는데 특히 초지관리시의 인산효과가 현저하였다. 2. 목초의 무기물 함량중 질소, 인, 칼슘, 마그네슘 등은 인산 시용구에서 증가되었고 K/Ca+Mg 당량비는 낮아졌으나, K 및 Ca/P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3. 인산 시용에 의해 표토(0∼10cm)의 유효인산함량. Ca및 Mg의 치환용량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칼륨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산지 초지조성 및 관리시에 인산질 비료의 시용은 필수적이며 특히 초지관리시의 지속적인 시용은 조성시의 무시용을 거의 보완할 수 있었다.

  • PDF

경남지역 논 토양 화학성분 변동조사 (Monitoring of Chemical Properties from Paddy Soil in Gyeongnam Province)

  • 이영한;이성태;허재영;김민근;홍광표;송원두;노치웅;이진호;전원태;고병구;노기안;하상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0-146
    • /
    • 2010
  • 효율적인 논 토양의 양분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지역 논 토양 260 지점의 화학성분 변동을 1999년부터 2007년까지 4년 주기로 분석하였다. 논 토양의 화학성분 평균 함량은 pH 5.7 (범위 4.4-7.6), 유기물 29 g $kg^{-1}$ (1-86), 유효인산 202 mg $kg^{-1}$ (2-1,218), 치환성 칼륨 0.32 $cmol_c\;kg^{-1}$ (0.04-1.80), 치환성 칼슘 5.4 $cmol_c\;kg^{-1}$ (0.4-33.1), 치환성 마그네슘 1.2 $cmol_c\;kg^{-1}$ (0.2-6.0) 및 유효규산 103 mg $kg^{-1}$ (21-742) 였다. 연도별 토양 화학성분 변동 특성을 요약하면 유효인산 함량은 1999년부터 이미 적정범위 보다 높았고 유효규산 함량은 아직까지도 많이 부족한 상태였으며 치환성 양이온은 칼슘과 마그네슘에 비해 칼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연도별 주성분 분석결과 Eigenvalue가 1.0 이상인 주성분은 2개였고 제1주성분 (PC 1)에 속하는 토양 화학성은 치환성 칼슘 (0.511), 치환성 마그네슘 (0.478), pH (0.402), 유효규산 (0.395) 및 치환성 칼륨 (0.392) 등 5개였으며 제2주성분 (PC 2)에 속하는 토양 화학성분은 유효인산 (0.664) 및 유기물 함량 (0.551) 등 2개였다. 토양 특성은 제 1주성분이 39.1%, 제 2주성분이 20.4%로서 전체 59.5%의 자료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 토양의 화학성분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한 결과는 다양한 농업환경 변동을 이해하고 대응함으로서 지속적인 농업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관점에서 주성분 분석은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산염이 견사련용수의 경수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Sodium Phosphates as Auxiliary Agents for Softening Hard Water to Degum Silk)

  • 신봉섭;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7-43
    • /
    • 1994
  • 네 종의 서로 다른 인산염을 견정련 보조제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정련용수 중 금속이온의 봉쇄, 정련용액의 pH 변화, 그리고 연감효과에 대하여 검토하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칼슘경도성분에 대한 봉쇄효과는 TSPP와 SPD가 높은 봉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PM과 SHP는 비교적 낮은 봉쇄효과를 보였다. 2. 철성분에 대한 봉쇄효과는 SHP와 TSPP가 우수한 봉쇄능력이 있었다. 3. 4종의 인산염 중 TSPP와 pH값이 가장 높지만 비누에 비해서는 낮다. 4. 정련속의 pH값은 인산염의 종류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으나 pH값이 클수록 정련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나노 입자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morphous Calcium Phosphate Nanoparticles)

  • 한지훈;정성욱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740-74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ACP) 나노 입자의 합성과 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CaCl_2$))과 아데노신 인산나트륨(disodium adenosine triphosphate ($Na_2ATP$)) 그리고 피트산 나트륨(sodium phytate) 첨가제를 열수 반응을 통해 상대적으로 단분산된 100 nm 크기 이하의 ACP 나노 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고 나노 입자의 화학적 조성과 구조를 재료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피트산 나트륨 첨가제의 사용을 통해 얻은 ACP 나노 입자는 비정질성을 유지하고 결정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로의 전환을 방지하는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향상된 안정성을 가지는 ACP 나노 입자는 재생 의학 분야에서의 생체 적합 물질로의 응용에 중요한 잠재적 용도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미나리 유기재배를 위한 활용자재 시용효과 (Applications of Agro-Based Materials for Water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DC) Organic Farming)

  • 안병구;문영훈;권영립;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92
    • /
    • 2010
  • 미나리 유기재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관행 재배구를 대조구로 하고 유용미생물제(effective microorganism), 액상규산염(silicate solution), 및 유기액상비료(organic liquid fertilizer)를 사용하여 재배하였다. 미나리 수확기에 조사한 토양 pH, EC, OM, 유효인산, 치환성 칼슘, 유효규산함량은 수확기에 감소하였고, 치환성칼륨과 마그네슘은 1, 2년차에는 수확기에 감소하였지만, 3년차에는 증가하였다. 대조구에 비해 액상규산염을 사용할 경우 pH, 유기물, 유효인산함량이 감소하였고, 유용미생물제는 치환성 Ca과 Mg, 유기액상비료는 EC와 치환성 Ca과 K가 감소하였다. 미나리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원소 가운데 C, N, P, K, 및 S는 대조구보다 함유량이 많았고, Ca과 Mg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과 역병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점무늬병은 대조구에서 나타났다. 생육시기별로 처리간에 엽록소 함량 차이는 없었지만, 액상규산염을 사용한 구의 초장은 60.2 cm, 수량 3,698 kg/10a로 가장 적었고, 유기액상비료를 사용한 경우 66.0 cm와 4,387 kg/10a로 가장 많았다.

하수 인 고도처리를 위한 인 결정여과공정 운전결과 및 부산슬러지 특성 검토 (Operating result of Hydroxyapatite Crystallization-Filtration (HCF) process and characterization of its sludge for wastewater effluent)

  • 장향연;김원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1-401
    • /
    • 2022
  • 우리나라 대규모 하수처리장에 상용화되어있는 응집공정의 운영상 난점을 극복하고자 대체공정으로 고안된 인 결정여과공정(HCF, Hydroxyapatite Crystallization-Filtration process)의 pilot plant를 구축하고 부산슬러지의 자원화를 위해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hydroxyapatite(HAP) 결정화공정 내 탈탄산(decarbonation) 단계를 생략하는 HCF공정의 경우에 고농도의 Ca2+ 주입과 처리수내 탄산염으로 인해 HAP을 포함하는 석회계 슬러지가 발생하는데, 이는 산성화된 토양의 개량제(중화제)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I하수처리장 2차침전지 후단에 구축된 처리용량 27.1 - 135.6 m3/day HCF pilot plant의 전처리 조건은 pH 10.0 - 11.0, Ca2+ 농도 80 mg/L이었다. 결정여과조는 선속도 1.0 - 5.0 m/hr, 상향류로 운전되며, 여재는 2.0 - 3.0 mm의 석회석 모래를 충전하였다. 역세척은 중앙에 Air lifting pipe를 설치하여 역세척수가 처리수와 분리배출되도록 설계하였고, 침전시켜 역세척 슬러지를 회수하였다. 처리수의 평균 T-P, PO4-P 및 SS는 각각 0.05, 0.04, 1.1 mg/L으로 모든 항목에서 방류수 수질기준 이하로 안정적으로 유출되었다. 회수된 HCF 슬러지는 SEM-EDX, XRD, FT-IR을 활용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SEM-EDX로 분석된 슬러지의 원자분율은 CaCO3 또는 HAP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XRD spectrum 분석결과, 슬러지의 주요 구성성분은 calcite, HAP, phosphoric acid(H3PO4) 및 brusite로 나타났다. FT-IR 분석결과, 슬러지는 대부분 인산염 및 탄산염의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입수의 인 농도가 높을수록 슬러지 내 HAP의 함량이 calcite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의 Ca2+을 주입하여 탈탄산단계를 생략한 HCF의 부산슬러지는 HAP 이외에도 CaCO3와 칼슘-인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 인 고도처리를 위한 HCF공정의 하수처리시설 인 고도처리 적용이 검증되었으며, 부산슬러지를 산성화된 토양의 개량제(중화제) 또는 비료로서의 재활용 및 자원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화학 팽창제의 가스 발생과 쿠키의 텍스쳐 비교 (Gas Production of Chemical Leavening Agents and Effects on Textures of Cookies)

  • 양성연;김상용;장규섭;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31-1137
    • /
    • 1997
  • 팽창제 종류에 따른 시간별 가스 발생 속도 및 쿠키 텍스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실험에 사용된 가스 발생 장치에 의해서도 가스 발생 속도에 따라 크게 3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는 소암모늄명반을 제외하고는 문헌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속효성 평창제로는 주석산, 주석영, 후말산, 소암모늄명반이었고 이단 반응성 팽창제로는 산성피로인산나트륨, 무수모노인산칼슘, 소명반이었으며, 지효성 팽창제로는 중탄산암모늄, 중탄산나트륨, 글루코노-델타-락톤, 염화암모늄 등이었다. 제품 팽창률이 가장 높았던 것은 중탄산암모늄이었고 후미 면에서 가장 깨끗한 것은 글루코노-델타-락톤이었다. 팽창률이 높을수록 texture profile graph상에서 multi-peak를 나타내어 brittleness가 뛰어났으며 단순회귀분석에 의해, 팽창률과 brittleness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다$(r^2=0.8176)$. 중탄산암모늄을 사용한 쿠키 제품의 brittleness가 가장 높았다.

  • PDF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수산화인회석의 형상변화 (Morphology Changes of Hydroxyapatite in Different Hydrolysis Conditions)

  • 최경림;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0-356
    • /
    • 2018
  • 수산화인회석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생체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 농도, pH를 조절하여 인산수소칼슘 중간체의 가수분해반응을 통해 c면이 배향된 수산화인회석을 합성하였다. 염기조건에서 전구체의 농도가 낮을 경우 막대 형태의 수산화인회석 결정이 모여 불규칙한 형태의 입자를 만들었고 농도가 높을 경우 수산화인회석결정의 c면이 노출된 판 형태의 입자를 만들었으며 이에 따라 입자의 제타전위 차가 3 mV가 되었다. 생성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XRD, SEM, FT-IR, 제타전위측정기를 통해 평가하였다.

영양소 함량을 고려한 육계 대체 원료사료의 대체가격 계산 (Calculation of Replacement Price for Alternative Feed Ingredient in Consideration of Nutrient Content in Feed Ingredient Fed to Broiler Chickens)

  • 안수현;공창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79
    • /
    • 2018
  • 본 연구의 주제는 대체원료를 옥수수와 대두박을 대신해 첨가될 때의 원료가격들의 변화와 대체원료의 적정한 가격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옥수수과 대두박 그리고 대체원료의 가격 변화는 각각의 원료사료들의 영양소 함량과 가격 및 대체원료의 첨가량을 바탕으로 계산된다. 원료사료의 가격 변화 계산에 필요한 각 원료사료들의 대체가는 대체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새로 추가되거나 제외되는 영양소의 함량들을 %로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본 계산에서 사료가격의 순변화는 질소보정 외관상 대사에너지(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표준회장가소화(Standardized ileal digestible) 라이신(Lys), 메티오닌(Met), 트레오닌(Thr) 및 트립토판(Trp) 그리고 총 칼슘(Total Ca)과 가용인(Available P) 함량을 바탕으로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옥수수주정박 단위무게당 새로 첨가되거나 제외되는 원료사료들의 함량에 대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1 ${\times}$ 옥수수주정박 + 0.0334 ${\times}$ 대두유 + 0.0182 ${\times}$ 석회석 = 0.8893 ${\times}$ 옥수수 + 0.13 ${\times}$ 대두박 + 0.0004 ${\times}$ 라이신 + 0.0022 ${\times}$ 메티오닌 + 0.0005 ${\times}$ 트립토판 + 0.0028 ${\times}$ 트레오닌 + 0.0264 ${\times}$ 제2인산칼슘 위 식과 원료사료들의 가격을 이용하여 옥수수주정박을 각 원료사료의 에너지와 영양소함량을 고려하여 15% 정도 옥수수와 대두박을 대체시 옥수수주정박의 가격은 270원/kg으로 계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이용한 엑셀기반 계산 프로그램은 육계 사료에서 대체원료의 경제적 가치를 판단할 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