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2경부고속도로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제62회 타이어 안전점검 결과

  • 송영기
    • 타이어
    • /
    • 통권190호
    • /
    • pp.51-53
    • /
    • 1997
  • 우리 협회에서는 고속 도로상에서 타이어 정비 불량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타이어의 올바른 사용방법을 홍보하고자 제62회 타이어 안전점검 및 서비스 행사를 지난 4월 29일~ 4월 30일(2일간) 경부고속도로 망향 휴게소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 PDF

고속도로상에서의 타이어점검

  • 대한타이어공업협회
    • 타이어
    • /
    • 통권95호
    • /
    • pp.27-29
    • /
    • 1981
  • 본협회에서는 81년도 춘계 노상 타이어 점검 및 서비스를 지난 5월 14일,15일(2일간)경부고속도로 추풍령휴게소(서울 기점 214Km)에서 실시하였다. 이번 점검 결과를 보면, 총점검차량 376대중 무려 43%에 해당되는 160대가 정비불량이었으며, 차종별로는 트럭이 52%로서 가장 불량하였으며, 정비불량 항목별로는 이상마모가 48%로 제일 많았다. 또한 고속버스(관광버스 포함)에서는 22%(134대중 30대)정도가 아직두 Snow 타이어를 1본에서 4본까지 주로 후축에 끼고 있었다.

  • PDF

고속도로(高速道路) 비탈면(面)에서 주변환경(周邊環境)을 고려(考慮)한 녹화공법(綠花工法)과 식생선발(植生選拔)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election of Vegetation and Method for the Revegetation on the Highway Slope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우보명;전기성;김경훈;최형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4호
    • /
    • pp.619-633
    • /
    • 1996
  • 고속도로 절개지비탈에서 주변환경을 고려한 녹화공법과 식생선발을 위해, 1995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중부지역 고속도로비탈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고속도로 절개지비탈의 녹화공법으로 18개 공법이 시공되었는데, 가장 많이 시공된 공법은 여러가지 유형의 종자뿜어붙이기공법(45개소)이며, 다음은 평떼붙이기공법(25개소), 볏짚거적덮기공법(12개소) 순이었다. 노선별 출현식물의 종수는 중부선이 243종으로 가장 많았고, 중앙선 223종, 경부선 2구간 210종, 서해안선 199종, 경부선 1구간 179종, 서울순환선 163종, 신갈-안산선 148종, 제 2경인선 141종, 경인선 123종 순이었다. 균재도는 대부분의 노선에서, 비탈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6개노선), 종다양도는 경부 1구간 비탈상부에서 가장 높았다. 고속도로 절개지 비탈 녹화공법 선정은 절개지비탈의 토질, 경사도, 면적, 위치 등 주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하였으며, 절개지 비탈 녹화공사에 적합한 식물종으로 83종이 선발되었다.

  • PDF

부산항 컨테이너 화물수송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 in Busan Port)

  • 오석기;오윤표;윤칠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1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ment strategies for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 in Busan port. Therefore, it was forecasted the future container cargo demand using logistic curve formula. In 2011, container cargo demand was forecasted 8.791 million TEU(T/S including 12.559 million TEU). In order to improvement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 this study presented following; $\circled1$ port facilities expansion, $\circled2$ diversity of container transport modes. $\circled3$ make up ICD and exclusive container roads, $\circled4$ the second Seoul-Busan Expressway.

  • PDF

부산항 컨테이너 화물수송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es in Busan Port)

  • 오석기;오윤표;윤칠용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rategies for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es in Busan port. Therefore, container cargoes forecasting is done through logistic methods based on past trends. In 2011, container cargoes demand was forecasted 8.791 million TEU(T/S including 12.559 million TEU). In order to improve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circled1 port facilities expansion, \circled2 diversity of container transport modes, \circled3 make up ICD and exclusive container roads, \circled4 the second Seoul-Busan Expressway.

  • PDF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 등급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by grade for highway traffic accident)

  • 이혜령;금기정;손승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57-165
    • /
    • 2011
  • 최근 고속도로 사고발생량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치사율은 증가하는 추세임에 따라 고속도로의 교통사고 감소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고속도로의 경우 사고다발지점의 등급별 관리기준을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어 이에 대한 등급별 사고 영향 인자를 파악하는 것이 세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경부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해당구간 내 사고지점에 대한 등급별 데이터를 기준으로 주변환경 요인 중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고, 사고특성을 분석하여 사고등급을 결정지을 수 있는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사고관련 변수 중 고정변수인 기하구조를 기준으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특성을 고려한 수량화이론 제2류 기법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한 결과, 사고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평면선형의 경우 승합차종과 차대 사람이, 종단구배는 트레일러 특수차량과 차대 사람, 방책시설은 주시태만과 흐린 날씨가 공통인자로 분석되었다.

고속도로 터널 입·출구부 유형과 주변 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ype of Tunnel Entrance and Exit)

  • 이상철;최송현;김동필;송재탁;오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61-172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에 건설된 터널 입 출구부를 중심으로 유형과 식생경관 등 주변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형별 상세조사지를 선정하여 각 터널별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경관 및 자연성을 증진시켜 향후 건설될 터널 입 출구부를 자연친화적으로 유도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일부 구간의 터널을 전수 조사하였다.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을 갱문형식을 중심으로 면벽형과 돌출형으로 구분하고 식생경관은 층위적 관점과 자연미적 관점을 고려하여 다층동질형, 다층이질형, 단층동질형, 단층이질형, 초지형(나지형)으로 총 5개로 분류하였다.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과 식생도입 가능성의 관점에서 식생복구 잠재성을 파악하였다. 구조적 안정성의 요소로는 사면높이와 법면경사를 선정하였으며, 식생도입 가능성은 생육기반 조성의 용이성을 구분하여 각 요소별 정량화 값을 부여하여 다소 변형된 정규 분포로 5개의 등급으로 식생복구 잠재성을 구분하였다. 터널 입 출구부의 유형은 면벽형이 33개소로 돌출형보다 많았으며, 식생경관은 단층이질형, 다층이질형, 초지형, 다층동질형 순이었다. 또한 식생복구 잠재성이 뛰어난 곳은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이 모두 돌출형이었으며 이는 돌출된 구조물 위에 성토를 실시하고 성토사면으로 인해 주변지형과 조화를 이루었으며 사면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로 생육기반 확보가 용이한 것으로 사료된다. 개선안 도출을 위해 7개의 터널을 상세조사한 결과를 보면, 터널 입 출구부는 지형, 안정성, 공사비, 유지관리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공사비 및 안정성 등이 우선시 되어 비탈면을 최소화하는 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 결과, 식생기반이 원활히 형성되지 못했으며 식생기반이 형성된 곳이어도 생태적으로 건전한 식생복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에 건설될 고속도로 터널 입 출구부는 입지 및 자연 생태 조사를 사전에 실시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고 훼손면적 범위를 최소화하는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안정성을 기초로 한 적극적 식생복원 기법을 도입하여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지역의 특색에 맞는 터널 건설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