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1급 부정교합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Angle씨 제3급 부정교합의 치험예 (A case report of Angle's Class 3 malocclusion)

  • 백형선;황충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3권7호통권194호
    • /
    • pp.625-630
    • /
    • 1985
  • 11 years 7 months old female had a reverse object of anterior teeth and class III molar relationship. Maxillary right and left canines were erupted labially and lower left lateral incisor was congenitally missed. She was treated by rapid palatal expansion and full band technique with extract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second mola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axilary arch was expanded. 2. Anterior cross-bite and crowding was corrected. 3. Molar relationship was corrected. 4. Profile was somewhat improved.

  • PDF

상악 제1대구치 이소 맹출의 예측 인자 (Predictive Factors of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 선지민;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84-291
    • /
    • 2016
  • 본 연구는 이소맹출한 상악 제1대구치의 자율적 수정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상군과 가역성과 비가역성 이소맹출의 차이점을 비교 평가하고자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와 인접치아 간의 장축과 교합평면간의 각도를 파노라마상에서 측정하였고, 제2유구치의 교합관계도 조사하였다. 이소맹출군과 정상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 < 0.05), 가역성과 비가역성 이소맹출군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제2유구치와 제1대구치 그리고 제2대구치 치배 간의 각도는 정상군에 비해 이소맹출 군에서 작은 값을 보였으며, 근심 계단형이 이소맹출군에서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치배의 각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소맹출한 상악 제1대구치는 상악 저성장의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성장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GROWTH PREDICTION AND SIZE OF THE FRONTAL SINUS)

  • 경승현;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73-479
    • /
    • 1997
  • 성장기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시 치아 이동만으로 치료를 할 것인지, 악 정형 치료를 동반할 것인지, 아니면 성장후 수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악골의 성장을 예측하는 과정을 치료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전두동은 조기에 성장이 완료되고 하악골은 20세까지 성장을 지속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크기간에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228명을 골격선 제I급, 제II급, 제III급 부정교합의 3군으로 분류하고 하악골의 장경과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3가지 지수(ANB, APDI, Wits)를 측정하여, 서로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전두동의 크기와 ANB(-0.3633), APDI(0.296), Wits(-0.2380), 하악골 장경(0.2704)은 높은 상관성을 (p<0.001) 보였다. 2.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가 골격성 제 I 급 부정교합군이나 II 급 부정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FILE CHANG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FTER WEARING PROTRACTION HEAD GEAR)

  • 임중기;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5-401
    • /
    • 1995
  •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상악 열성장, 하악 과성장과 두 양상의 조합형태로 나뉠 수 있다. 이중 상악 열성장을 동반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경우,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의 치료효과는 상악골의 전하방 이동과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외 선학들에 의해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치료효과에 대한 많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 결과가 발표되었으나, 연조직 측모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고, 또한 치료를 받은 환자간의 치료효과에 대한 비교도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 받은 93명의 환자를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개봉합 opening여부(구강내 장치), 안모성장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각 유형에 따라 어떠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의 변화가 관찰되는지 여부와, Angle씨 제 I 급 부정교합의 정상군 2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사이에 경조직과 연조직에 있어서 성장량과 치료량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시 골격적 계측항목과 치아와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성장량보다 많은 치료에 의한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남녀별 치료개시 나이에 따른 상악골 전방이동량과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3. R.P.E.에서 La-Li보다 유의성 있는 상악골(A point)의 전방이동을 보였으며, 상악 전치의 순측 돌출이 La-Li를 사용하였을때 보다 감소되었다. 4. 안모성장 형태에 따라서는 상악골 전방이동량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을 나타내는 계측치에서 counterclockwise군이 clockwise군보다 많은 변화를 나타냈다. 5. 상순과 하순의 후경변화는 하부 골조직과 상하악 치아의 위치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순의 고경과 nasolabial angle이 증가하고, mentolabial angle이 감소되었다.

  • PDF

Angle I 급 부정교합자의 제2대구치 석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LCIFICATION OF THE SECOND MOLARS IN ANGLE CLASS I MALOCCLUSION)

  • 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1-204
    • /
    • 1983
  • To study the calcification of second molars in Class I malocclusion with normal craniofacial structure, the author examined cephalograms, orthopantomograms, periapical films of 538 children from 7 y 0 m to 15y 11m old who had Class I malocclusion with normal craniofacial structure, and observed the calcification stage of upper and lower second mol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s of crown completion of upper and lower second molars are $8.82{\pm}1.14,\;8.72{\pm}0.75$ in boys, and $8.60{\pm}1.46,\;8.22{\pm}0.92$ in girls. 2. The mean ages of root completion of upper and lower second molars are $14.25{\pm}1.46,\;14.15{\pm}0.83$ in boys, and $14.12{\pm}0.93,\;14.15{\pm}0.83$ in girls. 3.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he calcification stages of upper second molars and those of lower second molars in both sexes.

  • PDF

제3급 부정교합자의 악각전절흔 심도와 두안면골격 형태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THE DEPTH OF THE ANTEGONIAL NOTCH AND THE CRANIOFACIAL MORPHOLOGY IN CLASS III MALOCCLUSION)

  • 김형수;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3-135
    • /
    • 198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antegonial notch and the craniofacial morphology, and to predict the mandibular growth direction & potential in class III malocclusion. The computerized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longitudi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50 children with class III malocclusion, divided into two groups ; 30 deep notch subjects (more than 2.6mm) and 20 shallow notch subjects (less than 1.5mm).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mandibular growth direction in deep notch group was more vertically directed than in shallow notch group. 2. Deep notch group had shorter anterior & posterior cranial base than shallow notch group. 3.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ep & shallow notch groups in the amount of mandibular growth during treatment period. 4. Notch depth increased in both deep & shallow notch groups during treatment period.

  • PDF

설측교정장치를 이용한 치험증례의 임상적 고찰 (CASE REPORTS OF CLASS I MALOCCLUSION TREATED WITH LINGUAL APPLIANCE)

  • 경희문;김일봉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09-324
    • /
    • 1991
  • 저자는 3명의 제1급 부정교합 환자를 소구치 발치를 동반하여 설측교정장치로 치료한 결과 비교적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설측교정장치에 의한 치료는 순측장치에 의한 치료보다는 적절한 치아이동에 어려움이 있으며 아직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있으나 향후 재료 및 치료기술의 개발로 대부분의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 설측교정장치는 교정치료동안 심미성인 문제로 교정치료를 포기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교정치료에 대한 동기유발과 함께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미래의 교정치료장치라고 생각한다.

  • PDF

교정력에 의한 치은열구 삼출액의 양 및 효소활성의 변동 (DYNAMICS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VOLUME AND ENZYME ACTIVITIES AFTER APPLICATION OF ORTHODONTIC FORCE)

  • 강애리;류현모;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7-145
    • /
    • 1989
  • 교정력을 가함으로 인한 치은열구 삼출액의 양 및 삼출액 내에 함유된 arylsulfatase와 $\beta$-glucuronidase 활성의 변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Angle씨 1급 부정교합 환자중 상하악 좌우 제1소구치를 발치한 환자 12명을 선정하여 장치의 장착전, 교정력은 가하지 않고 장치만 장착한 상태, 교정력을 가하고 1주후 및 교정력이 감소하여 다움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 내원한 시기에 각각 환자의 원심 치은열구에서 삼출액을 채취하였다. 삼출액의 양은 전 기간을 통하여 뚜렷한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Arylsulfatase의 활성은 치료전에 비하여 교정장치만 장착한 이후부터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교정력을 가한 이후 효소의 활성은 2차시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beta$-glucuronidase의 활성은 교정장치만 장착한 이후에도 증가하였으며, 교정력을 가한 이후에도 2차시기의 활성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교정력이 상실된 4차시기에는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beta$-glucuronidase의 활성은 첫 교정력을 가함에 의한 치조골 및 치주조직 재형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좋은 지표로 사료된다.

  • PDF

제3대구치가 Angle 씨 3급 부정교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IRD MOLARS O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 이정은;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95-707
    • /
    • 199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ird molar on the occlusal plane in Angle's class El malocclusion with possibilities of posterior crowding and the interrelationships of occlusal plane inclinations to other skeletal patterns. Above investigations might showed that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third molars with possibilities of posterior crowding in establish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s for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events of third molars causing possible posterior crowding, maxillary third molars showed more mesial inclinations than second molars, and compared to those with third molar missing cases, first molars were more mesially inclined and displaced more inferiorly from the palatal plane and OP-MP was increase , thus the occlusal plane was less steep. 2. In events of third molars causing possible posterior crowding, the anglulation between AB line and mandibular plane was decreased and ANB showed negative values. Thus chin points were more protruded, ramus were more anteriorly displaced, and increase in lower facial height, genial angle, effective mandibular length and mandibular plane angle were observed. This in all caused more vertical opening and more severe skeletal disturbance. 3. OP-MP was increased as the maxillary first molars were more inferiorly displaced from the palatal plane. As this angle was increased mandibular planes were more inferiorly inclined and LFH, genial angle, effective mandibular length were more increased and mandibular ramus was more anteriorly placed. 4. As the maxillary first molars were more inferiorly placed from the palatal plane, more increased OP-MP/PP-MP ratio made the occlusal plane less steep. As OP-MP/PP-MP was increased, mandibular ramus was more anteriorly placed and made longer, and facial angle and effective mandibular length were increased.

  • PDF

Angle씨 제 3 급 부정교합 환자 치료 전후의 안모 연조직 변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SOFT TISSUE PROFILE CHANGES IN PRE-POST TREATMENT OF ANGLE'S CLASS III MALOCCULUSION)

  • 김재우;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7-183
    • /
    • 1983
  • The soft tissue covering of the f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facial esthetics, speech and other physiologic functions. Thus, it is recognised by all clinical orthodontists that success of orthodontic treat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soft tissues of the 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bony and soft tissues in prepost treatment of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The sample consisted of 18 males and 37 females, pretreatment age of 9 years to 11 years. For this study 11 landmarks were plotted, 14 linear length, 4 soft tissue thickness and 2 angles were measur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linear measurements of bony and soft tissue changes, A, Is, Ss, Ls and Li were located more anteriorly in both sexes. However Si and B showed more remarkable anterior movement in female. 2. In the comparison of the changes of the soft tissue thickness, Ss and Li in male subjects and Ss in female subjects increased. 3. In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the soft tissue profile and changes in the skeletal profile, Is: Ls, Il: Li and B: Si in both sex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However A:Ss had remarkable significant correlation in female.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ange in ${\angle}A$ and change in ${\angle}B$ in all sexes. 5. There were littl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distance difference of Is and Ii and Change in distance difference of Ls and Li in all sex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