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 III급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이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ON 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 성상진;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49-366
    • /
    • 1994
  • The method of treatme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ust be chosen according to an etiology and timing of the treatment. Maxillry protraction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growing children with maxillary deficiency. The efficacy of maxillary protraction has been viewed as a result of downward-backward displacement of mandible and compensatory dental displacement during the treatment rather than forward -downward growth of maxilla itself. In this study, 104 subjects treated with maxllary protraction, and 19 males and 21 females with known annual growth amount have been chosen longitudinally as treated group and normal group, respectively. And changes in position of maxilla, mandible and dentition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on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by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reated group showed mor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compare to the normal group and the mandible displaced backward compare to the normal group. 2. Downward movement of maxilla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gicance in female 12 year old group and downward movement of mandible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3. In treated group, maxillary central incisor moved more forward than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8, 10 year-old groups and female 8, 9, 10 year-old groups. In treated group, downward mov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and female 7,8 year-old group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nd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th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due to maxillary protraction was effective compared to normal growth amount of the normal group.

  • PDF

저한성 외배엽 이형성증을 가진 소아 환자에서 의치 유지력 향상을 위한 보철 치료 전략: 두 가지 증례 보고 (Prosthetic Treatment Strategies for Improving Denture Reten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Hypohidrotic Ectodermal Dysplasia: a Report of Two Cases)

  • 전홍주;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83-494
    • /
    • 2023
  • 이 논문은 저한성 외배엽 이형성증(Hypohidrotic Ectodermal Dysplasia, HED)으로 인한 부분무치증을 가진 소아 환자에게 의치의 유지력 증가 방법에 관한 두 가지 증례를 보고한다. 두 환자 모두 다수의 치아 결손 및 원추형의 견치와 치조골 위축, 골격적 III급 경향이 나타났다. 첫 번째 증례에서는, 변형된 형태의 Conical-Crown Retained Denture (CCRD)를 이용해 견치를 피개하였다. 이 방법은 치아를 삭제하거나 코핑 없이 진행되었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심한 치조제 흡수와 함께 하악 좌측 견치가 원심으로 경사지어 맹출한 상황에서, 하이브리드 세라믹 크라운을 사용하여 견치를 수복한 후, 흡착성 원리를 이용한 클라스프 유지 가철식 의치로 변경하였다. 두 환자는 현재 보철물 유지 관리 및 성장양상을 평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 이 증례는 HED로 인하여 의치의 유지력이 부족한 소아 환자에게 적용된 창의적인 보철 치료 방법을 제시하였다.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OCCLUSAL PLANE IN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FENDING ON THE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 황충주;임선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7-253
    • /
    • 1998
  •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조절이나 절충치료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환자의 대부분이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상하악 동시 수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양악 수술에서, 교합평면의 설정은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어지며, 바람직한 기능 및 심미적인 결과와 술후 안정성을 얻을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 (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_1$)과 수술 직후($T_2$-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_3$-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양악 수술 후 $T_2와\;T_3$시기의 유의차를 보인 값은 교합평면과 하악평면이 이루는 각 이었으며 그외의 교합평면의 경사도에선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교합평면의 술후 재발량은 SN평면과, FH평면에 대해서 각각 $0.24^{\circ}{\pm}2.43{\circ},\;0.15{\circ}{\pm}2.16{\circ}$로 양악 수술 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유지되었다. 2. A군과 B군사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3. A군및 B군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술자 및 수술방법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_3-T_2$)는 술후의 치아에 의한 변화 보다는 악골의 변화($T_3-T_2$)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하악골의 변화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5.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_3-T_2$)는 수술에 의한 상악골의 impaction양, 하악골의 후퇴량($T_2-T_1$)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PDF

골격성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의 치아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MATURATION IN CHILDREN WITH SKELETAL ANTERIOR CROSSBITE)

  • 신종현;권민석;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59-366
    • /
    • 2010
  • 전치부 교환기의 반대교합 아동에서는 골격적 특성이 강할수록 상하 치아의 성숙도에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쉽게 관찰할수 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가 가능한 상하 치령의 차이가 III급 부정교합의 조기 징후로 개연성이 있다면, 이것은 조기 감별진단의 한 도구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Hellman 치령 IIA, IIC의 환자를 대상으로, 측두방사선사진,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석고 모형과 임상사진을 조사하여 정상교합군과 전치부 반대교합군 각 50명을 선택하였다. 이들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Demirjian법으로 각 군의 상하 치령 및 제1대구치 맹출율을 구하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군과 반대교합군 모두에서 역령에 비해 치령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2. 정상교합군과 반대교합군의 상하 치령의 차이는 각각 0.22세와 0.69세로 반대교합군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다(p<0.05). 3. 정상교합군에 비해 반대교합군에서 상하 제1대구치 맹출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p<0.05).

치아성숙도와 골성숙도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s between dental and skeletal maturity)

  • 이영미;김광원;윤영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3-157
    • /
    • 2000
  • 본 연구는 성장중인 부정교합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계획의 수립, 치료방법 및 시기, 예후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판단의 지침이 되는 치아성숙도와 경추 및 수완부 골 성숙도의 연령별 성숙정도와 이들 상호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개인의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성장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중, 동일한 날짜에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수완부방사선사진 및 파노라마사진이 모두 있으며,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개파열 및 구순열등의 선천적 기형이 없는 1055명 (남자 458명, 여자 59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상, 하악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의 치아성숙도와 경추 (CVMI)및 수완부 (SMI)의 골성숙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모두에서 치아성숙도와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01). 2. 남녀모두에서 수완부 골성숙도와 경추의 골성숙도 사이에 0.91-0.93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남녀모두에서 수완부 골성숙도와 상,하악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성숙도 사이에 0.8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경추의 골성숙도는 상악견치의 성숙도와 0.8의 높은 상관관켸를 보였다. 5. 남녀모두에서 연령별 경추 및 수완부의 골성숙단계와 치아성숙단계를 구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와 치아성숙도는 개인의 사춘기 성장정도를 평가하여 부정교합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면 서울시 환자가 전체 내원 환자의 $70\%$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울시 내원환자중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을 중심으로 반경 3-6km의 거주자가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경 9Km이내에서 전체의 $69\%$를 차지하였다. 4. 수평피개보다는 수직피개가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개방교합의 경향이 커질수록 치근흡수의 빈도가 높았다. 5.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에 대해서는 반대교합과 개방교합을 함께 나타내는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고 사료된다. 6. 치료전에는 차이가 없던 남,여군 사이에 치료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치료 효과에 관계없이 남여에 따른 성장양상의 차이가 그대로 표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개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55.19\%$로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두 항목 모두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 a값, b값 모두 표고버섯 분말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모든 처리구에서 기존 무첨가구와 극히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에서 색 (color), 먹을때의 느낌 (chewiness)과 단맛(sweetness)의 경우 무첨가구와

  • PDF

한국 치위생과 학생의 치열궁 크기 및 형태와 교합 (The Size, Form of Dental Arch and Occlus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in Korea)

  • 황지민;이춘선;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0-396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대생의 치열궁의 크기 및 형태와 교합유형을 조사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치위생과 여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열궁의 크기 및 형태와 교합을 산술평균 및 빈도를 분석한 결과 상악의 견치 간 폭경은 34.38 mm, 제1대구치 폭경은 52.05 mm였으며, 견치 장경은 8.60 mm, 제1대구치장경은 28.69 mm였다. 하악은 견치 간 폭경이 26.42 mm, 제1대구치 폭경이 44.83 mm였으며, 장경은 견치가 5.54 mm, 제1대구치가 24.38 mm였다. 치열궁의 형태는 상악에서 정상이 29.0%, 협착이 60.5%, 공극이 10.5%였으며, 하악은 정상이 29.0%, 협착이 55.7%, 공극이 15.2%였다. 교합은 정상이 16.7%였으며, I급 부정교합이 55.7%로 가장 많았고, II급은 20.5%, III급은 7.1%였다. 치열궁의 형태와 교합에 따른 치열궁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하악의 제1대구치 폭경이 치열궁의 형태가 공극인 경우에 45.95로 가장 컸으며, 정상이 44.73, 협착이 44.58을 기록하였다(p=0.032). 치열궁 형태와 교합관계는 상 하악 모두 I, II, III급 부정교합에서 협착이 71.8%, 76.7%, 60.0%와 69.2%, 60.5%, 60.0%로 가장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과거에 비해 여러 원인으로 치열궁의 장 폭경이 줄어들고 있으며, 협착으로 인한 부정교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치과검진과 구강악습관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양산시 청소년의 부정교합 유병률 및 관련 자존감 조사 (The Prevalence of Malocclusion and Related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Yangsan)

  • 류현정;김형준;정태성;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96-305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요소들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각 요소와 자존감의 연관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양산시 소재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380명을 대상으로 부정교합 요소별 유병률과 자존감 상태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gle 분류에 의한 제1대구치 관계는 I, II 및 III급 교합이 각각 69.0%, 19.4%, 10.6%로 나타났다. 수평피개는 정상 86.9%, 반대교합 5.6%, 큰 수평피개 6.6%, 극심히 큰 수평피개 0.8%로 나타났다. 수직피개는 정상 94.1%, 과개교합 4.7%, 개방교합 1.2%였다. 정중선 불일치는 0~1 mm는 98.2%, 2~4 mm는 1.4%, 5 mm 이상은 0.4%였다. 총생은 상, 하악에 총생이 있는 경우가 각각 9.6%, 14.1%, 양악 모두의 경우가 24.1%였으며, 치간공극은 상, 하악에만 있는 경우가 각각 3.0%, 2.4%, 양악 모두의 경우는 1.7%였다. 부정교합 요소별 자존감의 차이는 여자의 경우, 반대교합과 개방교합 그룹에서 자존감 지수가 낮은 값을 보였다(p < 0.05).

골격성 III급 무치악 환자에서 전치부 중립대를 고려한 총의치 제작 증례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of a skeletal class III edentulous patient considering anterior neutral zone: a case report)

  • 김수헌;김형준;박상원;임현필;박찬;장우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2호
    • /
    • pp.91-99
    • /
    • 2024
  • 골격성 3급 무치악 환자의 경우 총의치 제작 시 잔존치조제 관계를 고려하여 교차교합을 형성해 줌으로써 의치의 안정을 얻을 수 있다. 골격성 3급 악간관계에서 전치부를 정상교합 관계로 형성하는 것은 전방 캔틸레버를 가중시켜 의치의 안정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하지만, 환자들은 총의치를 사용할 때 기능적인 면 뿐 아니라 심미적인 면 또한 중요시한다. 전치부 인공치들이 어떻게 배열되느냐에 따라 총의치의 심미성이 좌우되어, 골격성 3급 악간관계를 갖는 무치악 환자에서 정상교합이나 절단교합을 활용한 총의치 제작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3급 악간관계를 갖는 무치악 환자에게 상악 전치부에 중립대를 고려하여 전치부 절단교합을 형성하여 의치를 제작하였고, 우수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상악 열성장형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의 상악 치아 성숙도 (THE DENTAL MATURATION OF MAXILLA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 안울진;노홍석;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9-128
    • /
    • 2011
  •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반대교합 평가과정에서는 부정교합의 골격적 특성이 강할수록 상악 치아의 맹출 및 형성이 현격히 지연되는 것이 흔히 감지되었다. 만일 두개안면부의 전후방적 골격적 특성이 치아의 성숙도와 연관성을 가진다면, 치아의 발육과 맹출에 대한 평가가 반대교합의 조기 감별진단의 한 도구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초기 혼합치열기의 상악 열성장형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 상악의 치아 석회화도와 맹출률, 그리고 측두방사선규격사진 분석을 통한 수종의 계측치 간 연관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교정적 목적으로 내원한 Hellman 치령IIA IIC 아동 중,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 증례로부터 상악 열성장군과 상악 정상군 각 50례를 무작위 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측두방사선 규격사진과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각 군의 골격적 양상, 상하악 치아의 석회화도와 맹출률을 구하고 그 차이와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 군의 상악 치아 성숙도 비교에 있어서 상악 열성장군의 제 1대구치만 석회화도와 맹출률 이 낮게 나타났다(p<0.05). 2. 역령은 상악 치아의 석회화도와 맹출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3. 상하악의 전후방적 악골 관계중 Wits는 상악 제 1대구치의 석회화도와 맹출률 모두를, SNA는 맹출률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나타났다(p<0.05).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Hard Tissue in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 황충주;임선아;문정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9-249
    • /
    • 1999
  • 악안면 부조화를 치료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형태를 얻고자 하는 악교정 수술에 있어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특히 심한 상 하악의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시행되는 양악 수술에선 상악골과 하악골이 삼차원적인 공간에서 동시에 재배치되는데, 상악골의 재배치에 따라 하악골은 전후 좌우 위치가 결정되면서 새로운 교합평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교합평면은 양악 수술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상악골의 새로운 위치를 결정하게되므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시에 최적의 기능적, 심미적 결과와 수술 후 안정성을 얻을 수 있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 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으로 수술되었을 때 경조직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_1$) 과 수술 직후($T_2$-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_3$-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A군과 B군 모두 수술에 의하여 ANS의 수직적 위치보다 PNS의 수직적 위치가 감소되었다. 즉 상하악 복합체가 후상방으로 회전되었다. 2. $T_3$$T_2$와 유의차를 보이는 값은 두군 모두에서 수직 계측항목에서 HRP-Me(p<0.01), 각도 계측항목에선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Mn. plane angle(p<0.05)이 유의차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RP-Me이 감소하면서 하악평면각은 증가 하였다. 3. A군과 B군사이에서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4. 수술에 의한 B와 Pog.의 수평 이동량은 수술후 B와 Pog.의 수평 재발량과 그리고 PNS의 수직 재발량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평면각의 수술에 의한 변화량과 gonial angle의 술후 변화량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